[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의 민정 문서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의 민정 문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1-31 16:50 조회6,383회 댓글0건

본문

본 고을 사해점촌은 넓이가 5725보이다. 호수는 모두 11호이다. 사람 수는 모두 147명이다. 이 가운데 예부터 있었던 사람과 지난 3년 사이에 태어난 사람을 합하면 145명이다. 정은 29명(사내종 1명), 조자 7명(사내종 1명), 추자 12명, 소자 10명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사람은 소자 5명, 제공 1명이다. 정녀는 42명(계집종 5명), 조 여자 11명(계집종 1명), 추 여자 9명, 소 여자 8명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사람은 소 여자 8명(계집종 1명), 제모 2명, 노모 1명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다른 마을에서 이사 온 사람은 모두 2명인데, 추모 1명, 소자 1명이다. 

* 연령구분 : 소(1~9세), 추(10~12세), 조(13~15세), 정(16~57세), 제(58~60세), 노(60~ )

 

  말은 모두 25마리이다. 예부터 있었던 것이 22마리이고,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말이 3마리이다. 소는 모두 22마리인데, 예부터 있었던 것이 17마리이고, 지난 3년 사이에 늘어난 소가 5마리이다.

 

  논은 모두 102결이다. 관모답이 4결이고, 내시령답이 4결이다. 백성이 소유하고 있는 논은 94결이다. 이 가운데 촌주가 가진 논이 20결이다. 밭은 모두 62결이다. 모두 백성이 소유하고 있다. 삼밭(인삼밭)은 1결이다.

 

  뽕나무는 모두 1004그루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더 심은 것이 90그루이고, 예부터 있었던 것이 914그루이다. 잣나무는 모두 120그루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더 심은 것이 34그루이고, 예부터 있었던 것이 86그루이고, 호두나무는 모두 112그루이다. 지난 3년 사이에 더 심은 것이 38그루이고, 예부터 있었던 것이 74그루이다.

 

  연호의 변동 상황을 보니, 허락을 받고 이사 간 사람이 모두 5명이다. 정이 1명, 소자 1명, 정녀 1명, 소 여자 1명, 제모가 1명이다. 개별적으로 이사 간 사람이 모두 7명인데, 정이 2명, 소 여자 1명, 추자 1명, 소자 1명, 정녀 1명, 정비 1명이다. 죽은 자는 10명이다. 소자가 3명, 사내종 1명, 정녀 1명, 소 여자 1명, 노모 3명, 제모 1명이다. 팔았다고 보고한 것이 1명이다.

 

  없어진 것이 확실하여 보고된 것이 말이 2마리이다. 죽었다고 보고한 소는 모두 4마리이다."

                                                              《통일 신라 민정 문서》

 

  통일 신라 시대는 촌락의 토지 크기, 인구 수, 소와 말의 수, 토산물 등을 파악하는 토지 문서를 만들고, 조세(수확량의 10분의 1정도), 공물(촌락 단위로 특산물을 납부), 부역(16세에서 60세까지의 남자가 징발) 등을 거두었으며, 변동 사항을 조사하여 촌주가 3년마다  문서를 다시 작성하였다. 이 문서를 민정 문서라고 한다.

 1933년 10월에 일본 동대사(도다이 사)의 정창원에서 "화엄경론질"의 겉장을 수리하던 중 신라 시대 4개 촌의 사정을 기록한 2매의 문서가 발견되었다. 755년경의 통일 신라 시대의 문서이다. 신라 장적, 신라 촌락 문서라고도 한다. 오늘날 충북 청주 부근 4개 촌의 사정이 촌의 이름과 넓이, 가구, 인구, 우마(소와 말), 토지, 수목 등의 순으로 기재되어 있다. 당시 촌락의 경제 상황과 국가의 세무 행정을 알 수 있는 자료이다.  문서 작성 목적은 노동력과 생산 자원을 철저히 관리하여 조(곡식), 용(노동력), 조(특산물) 부과에 효율성을 기하기 위한 것이었다. 

* 촌주

신라 때 지방민을 효율적으로 다스리려고 지방의 유력자에게 준 지방 행정 조직의 말단 관직이다. 이들은 대개 10~13등급에 해당하는 관등을 가진 4, 5두품 신분에 해당하였다. 촌주는 자연 촌락 2~3개를 관할하면서 대개 중앙에서 파견한 지방관을 보좌하며 지방의 행정 업무를 담당하였다. 즉, 촌주는 지방관이 조세를 징수하거나 축성을 비롯한 각종 역역에 필요한 지방민의 동원을 도움으로써, 중앙 권력이 지방에 침투하는 매개 역할을 맡았다. 촌주는 이러한 직역(어떤 직업의 영역이나 범위)의 대가로 중앙 정부로부터 촌주위답이라는 토지를 받았다. 이후 중앙의 통제가 약화되는 신라 말기에 이르면 촌주는 점차 중앙의 통제에서 벗어났고, 이들 가운데 유력한 층은 스스로 대감, 장군 등이라 부르며 지방의 유력한 호족 세력으로 성장, 고려 왕조의 성립에 유력한 기반이 되었다.

 

  가구 수는 어떻게 산정하였을까? 

신라에서는 개별 가구 1 ~ 3개를 합하여 공연이라고 하였으며, 각 촌에는 10 ~ 15개의 공연이 있었다. 공연당 인구는 8 ~ 12명 정도였다. 공연은 9등호제로 구분되었다. - 상상호(13명), 상중호(12명), 상하호(11명), 중상호(10명), 중중호(9명), 중하호(8명), 하상호(7명), 하중호(6명), 하하호(5명)까지로 나누었다. 신라는 이를 촌락별 점수인 계연으로 환산하여 특산물 공납을 부과하는 기준으로 삼았다.

 

  촌락의 인구는 어떻게 표시하였을까? 

촌민은 크게 양인과 노비, 남자와 여자로 나누어 그 숫자를 기재하였다. 특히, 사람은 남녀별로 1등급(1~5세), 2등급(6~10세), 3등급(11~15세), 4등급(16~60. 정남), 5등급(61~70세), 6등급(71~ )으로 구분하고(정남녀, 조자녀, 추자녀, 소자녀, 제공모, 노공모), 16세에서 60세의 남자(정남)의 연령을 기준으로 나이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여 기록하였다. 호(가구)는 사람의 많고 적음에 따라 상상호(한 집에 정남의 숫자을 무려 13명까지 파악, 인구가 적은 당시로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숫자인데 이것은 정부에서 그만큼 노동력 확보에 혈안이 되어 있었다는 증거이다. 노동력을 확보하려 한 것은 기술의 정체 때문인 것으로 여겨진다.)에서 하하호(한 집에 정남의 숫자가 5명)까지 9등급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기록된 4개 촌은 호구 43개에 총인구는 노비 25명을 포함하여 442명(남 194, 여 248)이며, 소 53마리, 말 61마리, 뽕나무 4249그루 등의 재산을 소유하고 있었다.

 

  토지는 어떻게 기록하였을까?

각 촌락에는 지목별로 토지 결수가 기재되어 있는데, 지목으로는 연수유전 ․ 답(정전. 15세 이상의 남자에게 나누어 주던 토지), 촌주위답(촌주), 내시령답(내시령), 관모전 ․ 답(왕실, 관청 수조지, 농민 공동 경작), 마전(삼베를 공납으로 수취하기 위하여 설정한 토지) 등 토지의 종류와 면적을 기록하였다. 마전을 제외한 나머지 토지는 국가 직역과 관련된 토지이다. 네 촌락에는 총 310결과 248결 정도의 연수유전 ․ 답이 있어서 이를 기준으로 조세 액수가 결정되었다.

 

  가축과 나무의 숫자는 얼마나 되었을까?

민정 문서에는 공연(개별 가구 1 ~ 3개를 합한 것)당 2 ~ 3마리 정도의 많은 소와 말이 기재되어 있다. 이는 경작 활동에 소가 절대적으로 많이 필요하고, 이들 촌에 군마(군대에서 쓰는 말)의 사육 의무가 부과되었기 때문이다. 또한 민정 문서에는 뽕나무, 잣나무, 가래나무 등의 숫자가 자세히 기재되어 있다. 이들 나무에 대한 파악은 특산물 납부를 위한 기준을 설정하는 것과 관련 있다.

 

  한편 촌락의 인구는 남자의 수가 적고 사망률이 높아 감소의 추세를 보이고 있다. 몇 장에 지나지 않는 분량이지만 통일 신라 시대의 토지 제도를 이해하는 데 귀중한 자료로서 당시의 율령(법률) 정치가 한때는 질서정연했다는 사실을 말해 주고 있다.

 

 

 

 

 

* 정창원

창건연대는 쇼무왕대인 덴뵤 연간(729~749)으로 추정되며 왕실의 유물창고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55건 1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021
2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019
2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 vs. 내가 내리는 판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015
2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014
2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삶에서 행복과 자유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012
2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두뇌능력과 사고력은 차원이 다른 두뇌의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1007
2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1006
228 생활 속의 자녀교육 (33) -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999
2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고유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998
2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992
2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989
2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물질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와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983
2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육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981
2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76
2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967
2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키우는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967
2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는 신개념을 만드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966
2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의 종류 그리고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959
2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959
2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종류의 행복한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958
2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구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953
2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948
2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지식을 배워가는 공부는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941
2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939
2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헌왕후 심씨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935
2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는 모든 것은 허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932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926
2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개념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910
2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909
2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정서적 안정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901
2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력을 넘어서는 인간의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898
2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력과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vs 지식을 익히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890
2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떡잎부터 차이나는 공부머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885
2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초석; 스스로 내리는 정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882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인들의 근친혼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879
2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개념을 정립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871
1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자유에 대한 갈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864
1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정보처리 방식이 가진 장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862
1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쟁의 시작은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861
1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몽주(1337~1392)와 정도전(1342~139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860
1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람은 지식인이 아닌 창조적 사고능력을 지닌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850
1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혜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847
1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언어에 갇혔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846
1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에 갇히면 이해력과 창의력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843
19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840
1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공부의 효율을 늘리는 공부 방법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838
1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는 꿰어진 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836
18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820
1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818
1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817
1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813
1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바보 온달(? ~ 59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812
1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예습을 통해 학교 공부를 준비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810
1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일반 대학과 직업기술에 초점을 둔 대학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802
1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방법을 목표로 설정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801
18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가두는 교수법 vs. 열어주는 교수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801
1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를 벗어나지 못한 인간의 모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800
1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799
1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794
1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8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