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11-23 12:42 조회699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 현대사회처럼 과학기술이 발달하고 인간의 행동패턴도 사회과학으로 분석하면서 자연과 인간에 대한 이해도가 넓어진 시대에 세뇌라는 것이 가능한가 하는 의문이 들어요. 실제로 결정권자들이 인구정책을 펴서 인구가 줄어드는 것을 예방하는 방법으로 아이를 많이 낳을 것을 권하고 또 지원하는 방법도 제시하잖아요? 그런데 이러한 지원과 권장이 국민의 생각을 바꾸는 과정이라고는 생각하지 못했거든요. 이렇게 따지자면 세상 모든 사람들이 서로를 세뇌하려고 노력하는 것 아닌가요? 왜 부부사이에서도 서로의 생각으로 상대를 바꾸려고 하잖아요.  


- 맞아요. 부모는 자녀들이 부모 생각대로 따라오도록 만들려고 하고 선생님들은 학생들이 선생님들의 생각을 따르도록 만들려고 애를 쓰죠. 이 모든 것들이 상대를 세뇌하려는 노력이라고 볼 수 있어요. 


◆ 그렇다면 왜 권력자에 의한 세뇌만 언급을 하셨나요?  


- 그 이유는 권력이 강할수록 사람들의 생각을 틀에 가두어 정신적으로 움직이지 못하도록 만들 수 있는 힘이 더 크니까요. 인간이 강아지를 길들이는 것과 같죠. 집에서 강아지를 기르는데 강아지를 특정 장소에는 가지 못하도록 훈련을 하면 마치 보이지 않는 벽에 갇힌 것처럼 그 장소 앞에서 멈추고 더는 가지 못하잖아요.


◆ 말 그대로 훈련을 통해 잘 길들여진 것이라고 볼 수 있을 것 같기는 한데 아직 풀리지 않는 의문이 있어요. 앞서 질문했던 것처럼 사람들은 모두 생각을 하잖아요. 자신의 생각으로 현상을 분석하고 판단할 수 있는데 세뇌가 가능한 이유가 뭘까요?  


- 교육이요. 교육을 통해 사람들이 권력을 가진 자에게 복종을 하도록 훈련을 시키죠. 


◆ 개를 훈련시키듯 주입식 교육으로 학생들을 가르치면 그럴 수 있겠지만 주입식에서 멀어지고 있는 또는 멀어지려고 노력하는 교육은 다르지 않나요? 


- 아니요. 그렇지 않아요. 여기서 교육을 ‘가르치는 방법’으로 바꾸고 이야기를 이어갈게요. 세뇌를 시키는 과정은 주입식 교육 말고도 많아요. 세뇌를 ‘훈련받은 대로 따르거나 주어진 것을 받아들인다.’라는 관점에서 본다면 말이죠.


◆ 훈련을 받아서 세뇌가 되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주어진 것을 받아들인다는 것은 무엇을 뜻하나요? 


- 예를 들자면 노예가 노예로서의 자신을 받아들이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어요. 노예라는 신분이 주어진 상태에서 노예라는 신분을 받아들이고 노예로 살아가는 거죠.


◆ 그건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 않나요? 노예가 노예임을 부정하면 살아남지 못하잖아요. 


- 맞아요. 바로 그 점이 가장 큰 요소에요. 누구든 자신의 주어진 신분이나 위치를 잊으면 벌이 가해진다는 점이요. 그래서 세뇌의 과정은 이미 유전자에 깊이 새겨져 있어요. 


◆ 무슨 뜻이죠? 세뇌의 과정이 유전자에 새겨져 있다는 것이요? 


- 기록된 세계 역사에서 권력이 바뀌면 어떤 일이 벌어졌는지 혹시 기억나는 것 하나 있으세요? 


◆ 자세한 내용은 기억을 하지 못하지만 조선시대만 봐도 자신에게 대항하던 세력들을 죽이거나 유배를 보냈죠. 이게 유전자와 어떤 연관이 있나요? 


- 유전자라는 것은 진화의 과정에서 생존에 필요한 정보를 기록하는 가장 핵심이 되는 요소죠. 이렇게 생각해 보세요. 자신과 싸우던 상대를 죽인다는 것이 유전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는 지를요. 


◆ 죽었다면 그것으로 끝이니까 말 그대로 끝 아닌가요? 거기에 유전적으로 어떤 의미가 있을 것 같지는 않은데요. 


- 아주 큰 의미가 있어요. 반항하던 상대를 죽임으로서 내게 반항하는 유전자를 없앤 것이니까요. 심지어는 삼대를 멸한다는 말이 있을 정도로 주변 인물들까지 모두를 없애잖아요. 


◆ 잠깐만요. 그러니까 내게 반항하는 유전자를 없앰으로서 내게 복종하는 유전자만을 남긴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가장 원시적인 방법이기는 하지만 가장 효율적이죠. 유전자 깊숙이 반항은 생존을 위협하는 요소로 각인을 시키고 권력에는 복종을 해야 한다는 것을 새겨놓으니까요. 그러면 누가 시키지 않아도 자연스럽게 머리를 숙이죠. 


◆ 하지만 반란도 있잖아요. 반란을 하는 유전자는 또 다른가요? 


- 제 개인적인 해석으로는 두 가지 요소가 있어요. 하나는 크지는 않아도 권력을 가지고 있어 최고 권력자를 바꿀 수 있다는 생각을 할 수 있는 계층의 사람이 일으키는 반란과 두 번째는 어차피 죽을 목숨이라 반란이라도 해서 작은 가능성이라도 시도해 보려는 경우죠. 앞에서 다큐멘터리의 아이에나 이야기 기억나세요? 하이에나는 암컷이 우두머리이기 때문에 수컷들은 암컷의 새끼 중 어린 암컷에게 고개도 제대로 들지 못한다고 해요. 심지어는 아빠 라도요. 이렇게 서열이 뚜렷한 하이에나도 생존에 위협을 받으면 우두머리를 죽이더라고요. 


◆ 그렇다면 인간 사회의 경우 반란이 의미하는 것이 곧 지도자의 무능이라고 봐야 하나요? 국민들이 살기 어렵기 때문에 반란을 일으킬 테니까요.     


- 그렇게 해석해야죠. 그래서 시위가 끊이지 않고 또 많은 사람들이 거리로 나선다면 지도자의 자질이 부족하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볼 수 있어요. 이야기가 세뇌에서 잠시 벗어났는데 이 이야기는 내용이 길어지니까 다음에 다시 다루는 것은 어떨까요? 이 내용을 다루면 주제를 많이 벗어날 것 같거든요.


◆ 좋아요. 그러면 세뇌로 돌아가서 유전적 세뇌가 반란의 유전자를 없애는 것이라면 교육은 어떤 역할을 하나요? 앞서 주입식 교육을 제외하고요. 


- 학교에서 벌어지는 현상을 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어요. 체벌을 가하는 경우라던가 칭찬을 통해 가르치는 사람이 원하는 방향으로 학생들을 유도하는 것 등이 여기에 해당되죠. 하지만 가장 효과적인 세뇌방법은 따로 있어요. 그리고 그 방법은 가르치는 방법에 녹아있기 때문에 사람들이 직접 느끼기가 어렵죠. 


◆ 그게 뭔가요? 


- 바로 배우는 사람의 배우는 능력을 탓하는 것에요. 예를 들면 ‘달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는데 너는 내 손가락만 보니?’와 같은 것이죠. 


◆ 달을 보라고 손가락으로 가리키면 달을 봐야하는데 손가락만 본다면 손가락을 보는 사람의 능력이 부족한 것 아닌가요? 당연한 이야기 같은데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