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12-23 14:08 조회580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 종속되어 살아가는 삶이 종속이라는 단어의 의미만을 놓고 생각하면 부정적인 이미지가 있지만 사람이 살아가면서 누군가에게 기대는 경우가 생기잖아요. 이런 관점에서 생각한다면 종속되어 살아가는 삶도 의미가 없다고 볼 수는 없을 것 같은데 지난 번 이러한 삶은 극과 극으로 나뉜다고 하셨잖아요? 어떤 뜻인가요? 

   

- 종속된다는 뜻은 조금 전 해석한 대로 누군가에게 기대어 살아간다는 뜻이잖아요? 그러니까 그 사람을 통해 내가 원하는 것을 충족하면 즐겁고 행복한 삶이 될 것이고 그렇지 않으면 괴롭고 힘든 삶이 되겠죠. 

   

◆ 하지만 중간도 존재하지 않을까요? 원하는 것을 얻으면 좋고 그렇지 않아도 상관없는 경우요. 

   

- 원하는 것을 얻어도 얻지 않아도 영향을 받지 않는다면 종속된 삶이라고 할 수 있을까요? 종속이라는 개념의 뿌리에 어떤 감정이 있는지 생각해 본 적 있으세요? 

   

◆ 종속의 뿌리라면 종속이 가진 의미를 뜻하는 것 같은데 그 안에 감정이 있다면 내가 필요로 하는 것을 원하는 감정 아닐까요? 

   

- 물론 원하는 감정이죠. 그런데 원하는 감정에도 두 가지가 있다는 것은 생각해 본 적 없죠? 

   

◆ 원하는 것의 두 가지라면 욕심하고 필요로 하는 것으로 나눌 수 있을까요? 

   

- 원한다는 것 자체가 욕심이자 필요이니까 그렇게 나눌 수는 없겠죠? 

   

◆ 그러면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원한다는 것은 어떤 건가요? 

   

- 동물적 생존본능에서 오는 원하는 것과 인간 고유의 두뇌기능에서 생기는 원하는 것, 이렇게 두 종류가 있어요. 

   

◆ 이 둘이 다른 건가요? 다르다면 어떻게 다른가요? 

   

-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은 말 그대로 생존을 이어가는 데 꼭 필요한 것이죠. 먹을 것을 원하고, 지금 같은 추운 겨울에 따뜻하고 안전한 잠자리를 원하는 것과 같이 생존에 꼭 필요한 것을 원하는 것이죠. 

   

◆ 생존본능을 위해 원하는 것이 생긴다는 것은 이해가 가는데 그러면 인간 고유의 두뇌기능에서 오는 욕심은요? 

   

- 두뇌를 발달하고자 하는 욕심이에요. 

   

◆ 두뇌발달을 위한 욕심이라고요? 정확하게 어떤 것을 뜻하는지 예를 들어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새로운 지식을 접하면 새로운 것을 알았다는 것에 즐겁죠? 두뇌를 복잡하게 만들던 문제가 해결되면 마치 막혔던 것이 시원하게 뚫린 것처럼 느껴지죠? 이러한 두뇌의 작용이 바로 인간 고유의 두뇌능력에 바탕을 둔 생각하는 능력을 키우고자 하는 욕망에서 오는 것들이에요. 

   

◆ 지금 인간 고유의 두뇌능력이라고 하셨는데 동물적 생존본능과는 어떻게 다른가요? 

   

- 생존본능은 스스로 생각을 해서 찾아가는 과정이 없이 그저 ‘좋다/나쁘다’, ‘맞다/틀리다’, ‘이렇다/저렇다’, ‘맛이 있다/없다’와 같이 결론을 내리는 과정에 생각의 과정이 들어가 있는 경우가 별로 없어요. 하지만 수학 문제나 물리적인 현상에 답을 찾는 과정에는 일련의 생각이 있죠. 그리고 그 생각이 논리적이고요. 이렇게 논리적인 생각을 할 수 있는 두뇌능력은 인간에게만 있어요. 

   

◆ 하지만 맛이 있고 없음을 따질 때에도 사람들은 나름대로 논리적으로 이유를 설명하잖아요. 이 경우 인간 고유의 두뇌를 사용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나요? 

   

- 그렇다고 볼 수 있어요. 내 입안에서 느껴지는 맛과 질감을 재료와 연결해서 이유를 찾고 자신이 찾은 이유를 설명하는 과정이 곧 생각의 과정이죠.

   

◆ 그러면 음식과 관련된 프로그램들이 인기가 있는 이유도 인간 고유의 두뇌능력을 자극하기 때문인가요? 

   

- 조금 전 설명한 것처럼 맛에 대한 구체적인 서술을 재료의 특성과 연결해서 논리적으로 설명한다면 그렇죠. 하지만 반대로 동물적 생존본능을 자극하는 경우에는 아니고요. 

   

◆ 동물적 생존본능을 자극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를 뜻하나요? 

   

- 예를 들면 씹는 소리를 중점적으로 들려주거나 얼마나 많이 먹는지를 보여주는 방송이요. 

   

◆ 저도 아삭거리는 소리가 맛있게 들리기도 하고 또 단맛이나 짠맛이 맛있게 느껴지기도 하는데 이러한 것이 모두 동물적 생존본능과 관계가 있다는 것인가요? 그리고 많이 먹는 것은 일반적으로 사람들이 많이 먹을 수가 없기 때문에 부러워한다고 생각이 되는데 이것도 생존본능 중 하나라고요? 

   

- 예. 우선 많이 먹는다는 것을 생각해볼게요. 많이 먹을 수 있는 사람이 왜 부러울까요? 

   

◆ 글쎄요? 내가 많이 먹지 못하기 때문 아닐까요? 

   

- 그 이유는 나 자신의 개인적인 것이지 객관화 된 이유가 아니죠? 

   

◆ 그렇기는 하지만 이런 이유 말고 다른 것은 찾지 못하겠는데, 객관적이라고 할 수 있는 이유가 있을까요? 

   

- 곰이 겨울을 나기 전에 많이 먹는다는 것은 잘 알려진 사실이죠? 겨울에는 먹을 것이 없기 때문에 겨울을 나기 위해 많이 먹이 살을 찌우죠. 인간도 마찬가지로 먹을 것을 구하기 힘든 시기를 넘기기 위해서는 많이 먹어두는 것이 유리할 수밖에 없었겠죠. 물론 지금은 먹을 것이 넘쳐나니 많이 먹는 것이 오히려 병을 유발하는 요소로 작용할 가능성이 높지만요. 

   

◆ 그러면 음식도 짠맛 단맛을 좋아하는 이유도 객관적인 이유가 있나요?

   

- 물론이죠. 짠맛을 내는 나트륨은 신경 전달에서 꼭 필요한 요소이고 단맛은 에너지를 만드는데 꼭 필요한 요소죠. 그러니까 끌릴 수밖에 없어요. 

   

◆ 그러면 먹는 이야기가 나왔으니 하나만 더 질문할게요. 에너지를 저장하면 음식을 구하기 어려운 시기를 넘길 수 있다는 것은 알겠는데 왜 지방으로 저장을 할까요?

   

- 식물은 감자나 고구마처럼 탄수화물로 에너지를 저장해요. 하지만 탄수화물은 무겁잖아요. 동물들은 움직여야 살 수 있고요. 그러니까 상대적으로 가볍지만 에너지는 높은 지방이 진화의 과정에서 선택받은 거죠. 

   

◆ 알 것 같네요. 그러면 이제 되돌아가서 동물적 생존본능에서 시작되는 욕심과 인간 고유의 두뇌능력에 바탕을 둔 욕심이 삶에 어떻게 다르게 작용하는지 이어서 설명해 주실 수 있을까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