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2-09 13:34 조회109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 석가모니의 깨달음이 ‘나’라고 믿었던 존재가 고유한 ‘나’가 아님을 인식했고 그래서 진정한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달아서 얻어진 것이라면 깨달음 자체가 부처가 되는 길이라고 봐야하는 것 아닌가요? 

   

- 지금까지 사람들이 말하는 깨달음에 관한 이야기들을 들어보면 그래야 할 것 같죠? 하지만 이것만으로는 부족해요. 앞서 깨달음은 원효라는 승려의 해골바가지의 물 이야기처럼 내 사고를 가로막고 있던 틀을 깨는 과정이에요. 그러니까 석가모니의 진정한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인식하는 것 자체는 깨달음이라고 볼 수 있죠. 

   

◆ 그러면 부처가 되는 과정에서는 단순히 진정한 ‘나’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깨닫는 것만으로는 부처가 될 수 없다는 뜻인가요? 

   

- 예. 이 세상에는 진정한 ‘나’가 누구인지 찾아가는 사람들도 많이 있고 또 스스로 진정한 ‘나’는 없다는 것을 깨달은 사람들도 많을 거라고 생각해요. 그리고 그러한 깨달음의 경험을 기반으로 사람들에게 깨달음은 어떤 것인지 나름의 생각을 전하죠. 그런데 이러한 깨달음의 상태가 과연 석가모니가 이루었다는 부처와 같을까요? 제가 보는 관점에서는 아니라고 봐요. 아직 하나가 더 남아있거든요. 

   

◆ 그 남아있는 것이 무엇인가요? 

   

- 그 것이 아마도 승려들 사이에 부처가 되는 비법 아닌 비법으로 내려올 것이라고 생각하는데 그 이유는 석가모니가 부처가 되는 바로 그 순간 무엇인가 알 수 없는 현상이 벌어졌는데 그것이 무엇인지 아직까지 그 누구도 정확하게 찾아내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봐요. 

   

◆ 무슨 뜻인지 도무지 알 수 없는 말씀만 하시네요. 그래서 그 현상이 무엇인데요? 

   

- 깨달음은 앞서 내가 가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과정이라고 했잖아요? 알을 깨고 세상에 나오는 것과 같이요. 알을 깨고 나오면 그 다음에 기다리는 것은 무엇일까요? 

   

◆ 현실을 마주하는 것이겠죠. 소리로 또는 감각적으로만 느끼던 세상의 진짜 모습을 직접 보고 듣고 느끼고 할 테니까요. 

   

- 맞아요. 그러면 동물적 본능에 따라 살아가던 ‘나’는 진정한 ‘나’가 될 수 없음을 깨달아 껍질을 벗고 나면 보이는 것이 무엇이 있을까요? 

   

◆ 아직도 이해하기 어려운 이야기만 하시네요. 무슨 뜻인가요? 지금까지의 나는 진정한 내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는다는 것은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나’라는 존재는 없다는 것을 뜻하는 것 같은데 그렇다면 내가 없음을 깨닫고 나서 나를 보면 무엇이 보이는 지를 묻는 질문인가요? 

   

- 예, 맞아요. ‘나’라는 존재가 다 허상이고 진짜 ‘나’는 없다면 ‘나’를 보았을 때 무엇이 보일까요? 

   

◆ 없겠죠. 아무것도. 

   

- 바로 그 부분이 석가모니가 부처가 되는 과정의 마지막 남겨진 또 하나의 알려지지 않은 과정이에요. ‘나’라는 존재는 처음부터 없었다는 것을 단순히 깨달아서 인식하는 것이 아니라 ‘없다’는 것을 직접 보는 과정이죠.

   

◆ 그건 말이 안 되는 것 같은데요. 없는 것을 어떻게 봐요? 깜깜한 밤중에도 별빛이 있는데 이 세상에 없는 것을 어떻게 볼 수 있겠어요? 혹시 비유를 하시는 것은 아닌가요? 없다는 것을 눈으로 보듯이 뚜렷하게 인식해야 한다는 의미를 그렇게 말씀하시는 것은 아닌가요? 

   

- 눈으로 보듯 뚜렷하게 인식한다는 말은 많은 사람들이 해 왔던 이야기죠? 특히 불교에서요. 그 이유가 실제로 없는 것을 본다는 것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에요. 자신들이 볼 수 없으니 비유일 것이라고 추측하는 것이죠. 그러니까 석가모니가 부처를 이루는 마지막 단계에서 어떤 현상이 벌어졌는지 다 알려져 있음에도 그것을 자신의 착각으로 엉뚱하게 해석을 하는 거죠. 

   

◆ 그러면 ‘없다’는 것을 볼 수 있다는 뜻인가요? 어떻게요? 

   

- 사람이 보는 방법에는 몇 가지가 있는 지 생각해 보셨나요? 

   

◆ 보는 것은 말 그대로 눈으로 보는 것인데 한 가지 방법 말고 또 있나요? 

   

- 있죠. 당연히. 그리고 질문자도 경험한 적이 있을 텐데요? 

   

◆ 아니요. 그런 적 없어요. 

   

- 꿈 안 꾸세요? 꿈에 보이는 건 보이는 게 아닌가요? 

   

◆ 아, 꿈이 있었네요. 

   

- 또 있어요. 제가 예전에 당구를 쳤었는데 그 때 저뿐 아니라 친구들이 가끔 하던 말이 있었죠. 방에 누웠는데 천정에 당구공들이 그려지고 공이 굴러가는 모습이 보이기도 한다고요. 

   

◆ 그러고 보니 공부하는 학생들 중에는 책의 페이지를 그림으로 그대로 저장하기도 하고 또 머릿속에서 책장을 넘기기도 한다고 들었어요. 수학 문제를 풀 때 3차원으로 두뇌에 떠 올려놓고 계산을 하는 경우도 있다고 들었고요. 그러면 이것도 보는 것인가요? 

   

- 물론이죠. 실제 눈을 통해 시각정보가 들어오는 것은 아니지만 두뇌 자체가 이미지를 그려낼 수 있을 뿐 아니라 심지어 당구공을 움직이듯 시뮬레이션도 가능하잖아요. 그러니까 두뇌를 통해 보는 것이죠. 

   

◆ 그러면 없다는 것을 본다는 것도 그 현상을 두뇌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꿈은 이성적 두뇌로 통제가 되지 않는 것이라서 시뮬레이션을 할 수 없지만 깨어있는 상태에서는 가능하죠. 그리고 후에 이야기 할 기회가 있겠지만 두뇌의 시뮬레이션 기능이 바로 뉴턴이나 아인슈타인과 같은 천재들이 새로운 개념, 예를 들면 인공위성과 같은 개념을 창조하는 데 있어서 핵심역할을 해요. 보이지 않으니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만들어 봐야 하거든요.

   

◆ 시뮬레이션을 하는 두뇌에 대해서는 후에 다시 질문할게요. 먼저 궁금한 것은 없다는 것을 보는 방법은 어느 정도 이해가 갈 것 같기는 한데 없다는 것을 두뇌의 시뮬레이션을 통해 본다는 것이 부처가 되는 것과 어떤 연관이 있죠? 당구공을 머릿속에 그려서 움직이는 것도 두뇌를 통해 보는 것이고 없다는 것을 보는 것도 두뇌를 통해 보는 것이잖아요. 그런데 유독 없다는 것을 보는 것이 부처가 되는 열쇠가 된다는 부분에서는 이해가 가지 않아요. 

   

- 존재하는 것을 보는 방법은 상대적으로 쉬워요. 보이는 것을 만들기 위해 에너지를 사용하면 되니까요. 하지만 없다는 것을 보려면 반대로 시뮬레이션을 통해 이미지를 만들어내는 두뇌영역의 불을 모두 꺼야 한다는 거죠. 그래서 어려워요. TV를 켜면 화면에 동영상이 재생되듯이 재생이 되지만 끄면 깜깜하잖아요? 그런데 사람의 두뇌는 태어나면서부터 항상 켜져 있어요. 그러니까 끄기만 하면 없는 현상을 볼 수 있죠. 

   

◆ 껐는데 어떻게 볼 수 있죠? TV가 꺼지면 볼 수 없잖아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866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10
8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35
8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50
86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45
8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67
86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62
8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기반을 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85
85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81
8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96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10
85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06
8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117
85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105
8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11
85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110
8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122
85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119
8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31
84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20
8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28
84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34
8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29
8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45
8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독립된 삶’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큰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172
84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70
8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89
84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86
83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8
8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며 달을 보라고 가르치는데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본다고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13
8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219
8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들은 국민을 애완동물처럼 길들이고자 한다. 어떻게 그리고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226
8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생존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227
83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29
8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과 이태원 참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235
83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228
8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51
83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247
8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게임이나 도박에 빠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243
82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213
8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231
82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32
8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의 원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219
82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24
8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53
82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219
8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고자 생각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215
82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226
8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속의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58
818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238
8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232
816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6
81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는 과거가 아닌 현재의 두뇌사용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질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242
81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243
8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무뎌지는 감정은 기억력 저하로 이어지고 기억력 저하는 치매로 이어질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257
8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좋았던 기억보다 고생한 기억이 오래 남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310
81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8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6 268
8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96
8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288
8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299
8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 사고력을 결정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28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C 927 Brunette Ave, Coquitlam, BC V3K 1C8
Tel: 604 544 5155, Fax: 778 397 8288,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