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원인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7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원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7-06 06:15 조회82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원인


◆ 욕망을 채우는 과정에서의 성취는 삶의 행복을 얻을 수 있지만 이런 행복은 오래가지 못하고 허무함이 밀려올 수 있다는 말은 이해가 가요. 그런데 사람에 따라서 허무함을 쉽게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아 보이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이유가 뭘까요? 


- 허무함이 강하게 오는 경우는 보통 본능에서 오는 욕망을 추구하는 경우라고 보면 될 거에요.


◆ 예를 들면요?


- 즉흥적인 오감의 만족을 추구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하죠. 예를 들면 성관계 같은 것이요.


◆ 성적인 만족은 허무함이 쉽게 밀려든다는 뜻인가요? 그러면 입맛의 만족, 촉각의 만족 등도 여기에 해당하겠네요?


- 맞아요. 본능에 가까운 욕망의 충족을 추구할수록 허무함은 떠 빨리 밀려오죠.


◆ 그러면 물건을 사면서 만족하는 경우는요? 예를 들어 명품을 살 때의 즐거움과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거든요.


- 그것도 말 그대로 인스턴트 만족이죠. 그런 만족에서 오는 허무함을 극복하는 방법은 새로운 것을 계속 사 모아는 거고요. 성적인 만족과 크게 다르지 않아요. 지속적인 자극을 원하니까요.


◆ 앞서의 이야기와 함께 정리를 해 보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도전을 하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행복은 다시 새로운 도전의 씨앗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삶이 즐거울 수 있지만, 즉흥적인 오감의 만족을 얻었을 때는 행복과 즐거움은 곧 허무로 이어진다는 뜻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 같은데, 맞나요?


- 예. 그래서 행복에도 종류가 있다고 저는 이야기해요.


◆ 오감의 만족에서 얻는 행복은 왜 허무로 이어질까요?


- 인간의 삶은 동물의 삶과 다르니까요.


◆ 하지만 단순해 보이는 동물의 세계도 끊임없는 도전이 존재하잖아요. 계절에 따라 배고픔의 시간을 견디는 것 같이요. 이 설명만으로 인간이 느끼는 허무함을 이해하기는 어려운 것 같은데요. 


- 예. 설명이 어렵죠. 왜냐하면 허무함은 조금 더 진화한 형태의 감정이거든요.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니까요. 


◆ 삶의 의미라면, 오감을 통한 만족은 삶의 의미를 부여하지 못한다는 뜻인가요? 


- 사람에 따라 종류와 정도는 다르지만 그럴 수 있어요. 


◆ 무슨 뜻이죠?


- 성적 만족을 예로 들면, 남자는 성관계가 끝났을 때 큰 의미가 남지 않을 수 있어 허무함이 밀려올 수 있어요. 하지만 여자의 경우 임신과 육아라는 미래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성관계는 새로운 삶의 시작일 수 있고 그래서 허무함보다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기대가 함께 존재할 수 있죠.


◆ 지금 이 이야기를 토대로 생각하면, 도전을 통한 성취를 이어가는 사람의 경우 성적 만족과 같은 욕구충족을 추구하지 않아야 할 것 같은데, 그런가요? 오감보다는 성취감이 우선일 테니까요. 


- 도전을 통한 성취를 추구하는 사람의 경우 성적 욕망도 도전의 대상이 될 수 있어요. 그러면 성적 만족을 찾아가는 과정이 포함된 도전이 될 수 있으니까요.


◆ 그렇게 되면 성에 집착하게 되지 않을까요? 


-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꼭 그렇지는 않아요. 도전을 통한 성취는 방법을 생각하는 과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대상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과정을 즐기는 거거든요. 


◆ 잘 이해가 가지 않아요. 


- 조금 다르게 설명하자면, 골프하는 방법을 생각하면서 골프를 즐기던 사람이 어느 순간 테니스를 하겠다고 결정하고 테니스로 분야를 바꿔 테니스하는 방법을 생각하면서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경우죠.


◆ 그러니까 방법을 생각하는 과정이 있으면 대상에 상관없이 도전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한 가지에 집착할 일이 없다는 뜻으로 해석하면 될까요?


- 예. 부연설명하자면 에베레스트 산 등반에 도전하는 사람이 성적인 면에서도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하면서 접근하면 허무함이 아닌 다음의 새로운 목표를 만들어가며 즐길 수 있다는 말이죠.


◆ 이런 사람은 분야에 상관없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성취를 이루겠네요? 그러면 반대로 자신의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만 또 다른 이면에서는 자신만의 집착이 있는 사람은 어떻게 봐야 하나요? 예를 들면 뛰어난 음악 실력을 갖춘 가수가 명품 악기에 집착한다던가 하는 경우요. 


- 능동적으로 방법을 찾는 생각을 하지 못하면 그럴 수 있어요. 달리 말하자면, 자신은 분명 뛰어난 음악적 재능은 발휘하고 있지만, 그 재능이 어디서 어떻게 오는 것인지는 스스로도 인지하지 못하고 능력만 발휘하는 경우요. 스스로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낼 수는 있지만 다른 분야로의 적용은 어렵죠. 그러니까 또 다시 오감의 만족을 위한 집착에 빠지는 거고요. 


◆ 그래서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연예인이나 정치인 등이 있는 건가보군요. 그러면 권력이나 재력으로 자신이 원하는 욕망을 충족하고자 타인을 해하는 경우는요? 예를 들면 권력을 이용한 성폭행 같은 경우요.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분야에서는 능력을 발휘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어렵기 때문에 성적 집착이 생기고, 그래서 무력으로라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망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을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의 이야기 한 내용과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조금 차이가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어서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86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986 11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괴로움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408
985 11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상천하 유아독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379
984 11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을 살지 못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4 407
983 10월 2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은 판단을 내릴 때 유용하다. 하지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426
982 10월 1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업=본능’, 본능을 벗어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370
981 10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업’은 본능적 욕구이자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428
980 10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업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6 532
979 9월 2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훈육과 교육으로 자녀의 생각을 바꾸려는 부모와 교육기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568
978 9월 2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누워 침을 뱉으면서도 모르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575
977 9월 1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안의 벽을 허물 수 있는 사람은 오직 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637
976 9월 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바탕으로 한 판단에는 이유와 근거가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504
975 8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철학자는 생각하는 방법을 가진 사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561
974 8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의도에 따라 생각하는 능력을 잃어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673
973 8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시켜 지식을 습득하도록 가르치는 교육은 배우는 사람의 두뇌를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651
972 8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르쳐 주는 지식을 이해해 습득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671
971 7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 없이 맛있다고 음식을 먹는 행위는 돼지가 음식을 먹는 것과…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742
970 7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 발달에 도움이 되는 경험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727
열람중 7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원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823
968 7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을 채우기 위한 도전은 행복과 함께 허무함을 부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679
967 6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두뇌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650
966 6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추상적이라는 의미는 정의를 내릴 수 없다는 듯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748
965 6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화를 보며 즐거워하면 두뇌는 퇴화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66
964 6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운 삶을 위한 생각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858
963 5월 3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을 지치게 만드는 생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774
962 5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서로가 서로를 길들이려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761
961 5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9 815
9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랑에 눈이 머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753
959 5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30 834
958 4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신호 체계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과 사회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788
957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982
956 4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을 가진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869
955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981
954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780
953 3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는 직장,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914
952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932
951 3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시험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959
950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924
949 2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언어와 두뇌 발달의 핵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786
948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959
947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823
946 2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신호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792
945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941
944 아이엘츠 제대로 공부하기/에세이를 쓰실때 유용한 표현들과 함께 라이팅 점수도 챙겨보세요~!!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873
943 1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989
942 기초 영어 회화 <날씨와 관련된 필수 패턴> "지난 밤에 진눈깨비가 내렸어요." 를 영어로~~????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817
941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1352
940 1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꿈을 이루기 위한 삶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1108
939 12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높은 시험성적은 두뇌가 지식의 노예화가 되었다는 증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2195
938 <왕초보 영어회화>공손한 표현 "Would you like to~" 쉽게 쓰고 계신가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2112
937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984
936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Writing 관련 빈출문제를 통한 문장 작성 방법~!! 라이팅 공부 중이시라면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994
935 12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목표를 만들 수 있는 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181
934 [아이엘츠IDP공식시험센터] 아이엘츠 기초반 수업에서 배우는 어휘! 사람의 외모 및 성격 관련 어휘,표현에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819
933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961
932 [헤럴드아카데미] 셀핍 Writing문제 답안작성 꿀팁!! 함께 풀어보세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1189
931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930
930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 셀핍 시험을 준비중이시라면 꼭 필요한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860
929 11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1071
928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를 준비중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806
927 11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4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07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