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원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7-06 06:15 조회822회 댓글0건관련링크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원인
◆ 욕망을 채우는 과정에서의 성취는 삶의 행복을 얻을 수 있지만 이런 행복은 오래가지 못하고 허무함이 밀려올 수 있다는 말은 이해가 가요. 그런데 사람에 따라서 허무함을 쉽게 느끼는 경우도 있지만 그렇지 않아 보이는 경우도 있는 것 같은데 이유가 뭘까요?
- 허무함이 강하게 오는 경우는 보통 본능에서 오는 욕망을 추구하는 경우라고 보면 될 거에요.
◆ 예를 들면요?
- 즉흥적인 오감의 만족을 추구하는 경우가 여기에 해당하죠. 예를 들면 성관계 같은 것이요.
◆ 성적인 만족은 허무함이 쉽게 밀려든다는 뜻인가요? 그러면 입맛의 만족, 촉각의 만족 등도 여기에 해당하겠네요?
- 맞아요. 본능에 가까운 욕망의 충족을 추구할수록 허무함은 떠 빨리 밀려오죠.
◆ 그러면 물건을 사면서 만족하는 경우는요? 예를 들어 명품을 살 때의 즐거움과 행복을 추구하는 사람도 있다고 들었거든요.
- 그것도 말 그대로 인스턴트 만족이죠. 그런 만족에서 오는 허무함을 극복하는 방법은 새로운 것을 계속 사 모아는 거고요. 성적인 만족과 크게 다르지 않아요. 지속적인 자극을 원하니까요.
◆ 앞서의 이야기와 함께 정리를 해 보면, 목표를 이루기 위해 도전을 하고 그 결과로 얻어지는 행복은 다시 새로운 도전의 씨앗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삶이 즐거울 수 있지만, 즉흥적인 오감의 만족을 얻었을 때는 행복과 즐거움은 곧 허무로 이어진다는 뜻으로 정리할 수 있는 것 같은데, 맞나요?
- 예. 그래서 행복에도 종류가 있다고 저는 이야기해요.
◆ 오감의 만족에서 얻는 행복은 왜 허무로 이어질까요?
- 인간의 삶은 동물의 삶과 다르니까요.
◆ 하지만 단순해 보이는 동물의 세계도 끊임없는 도전이 존재하잖아요. 계절에 따라 배고픔의 시간을 견디는 것 같이요. 이 설명만으로 인간이 느끼는 허무함을 이해하기는 어려운 것 같은데요.
- 예. 설명이 어렵죠. 왜냐하면 허무함은 조금 더 진화한 형태의 감정이거든요. 삶의 의미를 찾는 과정에서 만들어지는 것이니까요.
◆ 삶의 의미라면, 오감을 통한 만족은 삶의 의미를 부여하지 못한다는 뜻인가요?
- 사람에 따라 종류와 정도는 다르지만 그럴 수 있어요.
◆ 무슨 뜻이죠?
- 성적 만족을 예로 들면, 남자는 성관계가 끝났을 때 큰 의미가 남지 않을 수 있어 허무함이 밀려올 수 있어요. 하지만 여자의 경우 임신과 육아라는 미래가 있기 때문에 사실상 성관계는 새로운 삶의 시작일 수 있고 그래서 허무함보다는 미래에 대한 불안과 기대가 함께 존재할 수 있죠.
◆ 지금 이 이야기를 토대로 생각하면, 도전을 통한 성취를 이어가는 사람의 경우 성적 만족과 같은 욕구충족을 추구하지 않아야 할 것 같은데, 그런가요? 오감보다는 성취감이 우선일 테니까요.
- 도전을 통한 성취를 추구하는 사람의 경우 성적 욕망도 도전의 대상이 될 수 있어요. 그러면 성적 만족을 찾아가는 과정이 포함된 도전이 될 수 있으니까요.
◆ 그렇게 되면 성에 집착하게 되지 않을까요?
- 가능성이 없지는 않지만, 꼭 그렇지는 않아요. 도전을 통한 성취는 방법을 생각하는 과정이 포함되기 때문에 대상에 집착하는 것이 아니라 생각하는 과정을 즐기는 거거든요.
◆ 잘 이해가 가지 않아요.
- 조금 다르게 설명하자면, 골프하는 방법을 생각하면서 골프를 즐기던 사람이 어느 순간 테니스를 하겠다고 결정하고 테니스로 분야를 바꿔 테니스하는 방법을 생각하면서 자신의 길을 찾아가는 경우죠.
◆ 그러니까 방법을 생각하는 과정이 있으면 대상에 상관없이 도전을 즐길 수 있기 때문에 한 가지에 집착할 일이 없다는 뜻으로 해석하면 될까요?
- 예. 부연설명하자면 에베레스트 산 등반에 도전하는 사람이 성적인 면에서도 목표를 세우고 성취하기 위한 방법을 생각하면서 접근하면 허무함이 아닌 다음의 새로운 목표를 만들어가며 즐길 수 있다는 말이죠.
◆ 이런 사람은 분야에 상관없이 다양한 분야에서 다양한 성취를 이루겠네요? 그러면 반대로 자신의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내지만 또 다른 이면에서는 자신만의 집착이 있는 사람은 어떻게 봐야 하나요? 예를 들면 뛰어난 음악 실력을 갖춘 가수가 명품 악기에 집착한다던가 하는 경우요.
- 능동적으로 방법을 찾는 생각을 하지 못하면 그럴 수 있어요. 달리 말하자면, 자신은 분명 뛰어난 음악적 재능은 발휘하고 있지만, 그 재능이 어디서 어떻게 오는 것인지는 스스로도 인지하지 못하고 능력만 발휘하는 경우요. 스스로 과정을 인지하지 못하기 때문에 자신의 분야에서는 두각을 나타낼 수는 있지만 다른 분야로의 적용은 어렵죠. 그러니까 또 다시 오감의 만족을 위한 집착에 빠지는 거고요.
◆ 그래서 사회적으로 물의를 일으키는 연예인이나 정치인 등이 있는 건가보군요. 그러면 권력이나 재력으로 자신이 원하는 욕망을 충족하고자 타인을 해하는 경우는요? 예를 들면 권력을 이용한 성폭행 같은 경우요. 이 경우도 마찬가지로 자신의 분야에서는 능력을 발휘하지만 다른 분야에서는 어렵기 때문에 성적 집착이 생기고, 그래서 무력으로라도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고자 하는 욕망에서 발생하는 현상으로 해석할 수 있을까요? 이 질문을 하는 이유는 지금까지의 이야기 한 내용과 비슷한 것 같으면서도 조금 차이가 있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있어서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