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10-31 15:43 조회1,858회 댓글0건

본문


sjy.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자기가 하고 싶은 것을 꾸준히 하면 좋은 결과 얻을 수 있어

이번 칼럼에서는 지난 두 칼럼에 이어서 올해의 노벨 화학상 수상자들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올해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과학자들은 초고해상도의 형광현미경을 개발한 미국 하워드 휴즈 의학 연구소의 에릭 베치그(Eric Betzig), 독일 막스 플랑크연구소의 슈테판 헬(Stephan Hell), 그리고 미국 스텐포드 대학의 윌리엄 머너(William E. Moerner)입니다. 

20141011_stp505_0.jpg

이들의 초고해상도 현미경의 개발로 생화학분야의 오랜 희망이던 ‘살아있는’ 분자단위의 세포들을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가능해졌고, 그 덕분에 암세포의 분자단위의 매커니즘을 연구하는 의학계, DNA의 전사과정이나 그에 의해 만들어지는 단백질의 내부구조 등을 연구하는 유전공학분야 등 생화학관련 거의 대부분의 연구분야에 새로운 장을 열게 한 것이 이번 노벨 화학상 선정의 이유라 할 수 있습니다.

 
현미경에 관한 이야기를 하려니 먼저 ‘관측한다’, ‘본다’라는 것을 먼저 간단히 설명드려야 할 것 같습니다. 

‘보다’라는 것은 언어적 의미로는 ‘스스로 보고자 하는 것을 자의적으로 바라보는’이라는 의미로 다분히 능동적인 행위라고 볼 수 있지만, 과학적으로 ‘보다’라는 것은 원리적으로 매우 수동적인 의미를 갖습니다. 

우리가 눈을 통해서 사물을 보는 것은 그 사물로부터 반사되어 나오는 광학적 신호, 즉 반사된 빛을 시각 신경을 통해 읽어드리는 것입니다. 

아이들이 입는 귀여운 우비가 노란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우비에 칠해져 있는 물질이 외부로부터 빛을 받을 때, 다른 영역의 빛들은 흡수를 하고 노란색에 해당하는 파장의 빛만을 반사시키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우리 눈에 노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광학현미경은 물체가 너무나 작아서 반사되어 나오는 빛이 구분되지 않는 것을 광학렌즈를 통해 확대시켜주는 실험기구일 뿐, 역시 물체로부터 나오는 빛을 읽어드리는 최종 측정기구는 사람의 눈입니다. 

이러한 광학 현미경은 설명드린 대로 빛을 이용하기 때문에 빛의 회절현상(diffraction)으로 인한 한계 해상도를 갖게 됩니다. 

조금 쉽게 설명드리자면, 종이에 잉크로 점을 찍으면, 점을 아무리 작게 찍어도 자체의 번짐현상때문에 어느 정도의 점의 크기를 갖게 되고, 그로 인하여 너무 가까이 두 점을 찍으면 두 점의 번짐이 서로 겹쳐 두 점을 구분할 수 없게 됩니다. 

빛의 회절현상이란 빛이 렌즈나 슬릿 등을 통과하면서 휘어짐에 의해 번짐과 비슷한 현상을 갖게 되는 성질을 말합니다. 

이는 빛과 같은 파동의 고유 특성으로서 빛을 이용하는 광학현미경은 두 잉크로 찍은 점이 구별되지 않는 것처럼 두개의 광원으로부터 출발한 빛이지만 서로의 회절현상에 겹쳐 구분이 되지 않는 한계점이 생기고, 이 한계를 분해능이라고 합니다. 

일반적인 광학현미경은 약 0.2 마이크로미터 (1 마이크로미터 = 100만분의 1 미터) 정도의 한계를 갖는데, 이러한 광학 현미경으로는 동식물 세포내의 세포핵, 미토콘드리아나, 그리고 대부분의 박테리아 정도를 관찰할 수는 있지만, 그보다 십분의 1 에서 약 천분의 1정도 작은 크기의 DNA, RNA, 단백질, 바이러스, 그리고 화학적 단일 분자나 원자 등을 관찰할 수는 없습니다. 

물론 이런 광학적 현미경의 한계를 극복시켜주는 전자현미경이 그동안 이러한 미세구조를 연구하는 데에 널리 사용되어 왔습니다. 

하지만, 전자현미경은 빛을 사용하는 대신, 샘플에 강한 전자선(electron beam)을 쬐어준 후, 그로부터 얻어지는 에너지 스펙트럼을 시각화시켜 영상을 얻어내는 기법을 사용하는데, 이러한 방법으로는 살아 움직이는 대상으로부터 이미지를 얻어내기 힘들고, 또 에너지가 상대적으로 너무 높아서 샘플내의 살아있는 세포나 바이러스 등이 전자선에 의해 바로 죽을 수 있기 때문에 살아있는 세포를 직접적으로 관찰하는 것은 불가능했던 것입니다.
 

이번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세 사람은 각자 자신들의 독특한 기술로 이러한 광학 현미경의 한계를 10배 이상 끌어올림으로써 이제 나노미터(1억분의 1 미터) 단위의 DNA, 분자 등의 구조와 움직임을 ‘살아있는’ 상태에서 관찰할 수 있게 만든 것입니다. 

이전에는 전자현미경을 통해 이러한 구조를 볼 수는 있었지만 살아있는 상태에서 관찰이 불가능했기 때문에, 급속냉각 등의 방법으로 가능한 죽기 직전의 상태를 온전히 보전하여 살펴보는 방법을 사용하여, 살아있을 때는 ‘이러이러한 방식으로 행동했을 것이다’라는 식의 유추만을 해오던 것들이 이들의 초고해상도 광학현미경을 통해서 실제 ‘살아있는’ 상태에 대한 연구내용들을 확인가능케 됨으로써, 많은 관련 연구분야에 동시적으로 획기적인 발전을 가져오게 된 것입니다.

 
3주에 걸친 노벨상에 관한 컬럼을 마무리하면서 오랜 시간 많은 고등학생들을 가르치면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고자 합니다. 

특히나 수학, 과학분야를 가르치면서 가장 많이 받은 질문중에 하나가 바로 “선생님, 무슨 전공을 해야할지 잘 모르겠어요. 확실히 관심이 있거나 그런건 없는데, 뭐 대충 공대를 가고 싶기는 한데, 잘 모르겠어요. 어떻게 해야할까요?” 라는 질문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제 대답은 “지금 현재, 바로 지금, 가장 하고 싶은 것을 하면 된다.”입니다.


이번에 노벨 화학상을 받은 세사람 모두 물리학과를 졸업하여 물리학 박사학위를 받은 과학자들입니다. 하지만, 그들은 지금 모두 화학, 생물 관련 분야의 연구에 매진하고 있습니다. 

이미 과학계는 이렇게 두개 이상의 분야가 함께 섞이기 시작한지 오래이며, 그 안에서 각 분야의 전공자들이 함께 공동연구를 진행하고 있으며, 이는 과학계만의 특이한 현상도 아닙니다. 

물리학을 전공했다고 물리만을 하게 되는 것도 아니며, 화학을 전공한 사람들만이 화학계에 공헌하여 노벨 화학상을 받는 것도 아닙니다.

더 나아가 지금 현재 하고자 하는 것을 정했다고, 반듯이 그것을 해내야만 인생을 성공하는 것도 아닙니다. 현재의 목표를 정하고 매 순간 그 목표를 향해 최선을 다하면 됩니다. 목표는 언제든지 바꿀 수 있습니다. 사실, 많이 바꿀 수록 더 자신의 진짜 목표에 다가가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그만큼 자신의 미래에 대해 끊임없이 고민하고 있다는 증거이기 때문입니다.

하고자 하는 것을 정한다는 것이 온전히 대학의 학과를 결정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최첨단 로봇을 개발하고 싶다는 꿈은 전자공학을 선택하던, 기계공학을 선택하던, 컴퓨터 공학을 선택하던, 심지어 생물학을 선택하던 가능한 것입니다. 실제로 로봇연구분야에서는 동물들의 움직임을 응용하기 위해서 많은 생물학자들이 지금도 함께 연구하고 있습니다.

석준영  비센 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58건 1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78 페르세이드 유성우, 그 신비로운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998
177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1757
17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대할 때 감정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1721
175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080
17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411
1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베누' 소행성에 대한 연구를 위한 탐사선 발사 계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793
172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911
171 기억에 대한 불편한 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806
170 자녀들이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609
169 신비로운 수학 세계, 오묘한 음악과 갚은 관련 맺고 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2899
168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926
167 큰 인기 몰고 있는 ‘포켓몬 고(Pokemon GO)’ 스마트폰 게임, 혹시 들어보셨나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1451
16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1568
1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125
16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502
163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331
162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배우는 사람 (아이들)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485
161 다이아몬드와 흑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3 1519
160 기수법<Numeral Syste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2743
15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공부는 본인의 의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245
158 지식과 지혜의 차이(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2666
157 빛의 성질에 관한 탐구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9 1456
156 지혜와 지식의 차이(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3902
155 녹지 않는 빙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2 7473
154 비행시간과 상대속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6 5705
153 생활 속의 자녀교육- 공부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199
152 석가의 출가로 보는 지혜의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137
151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265
150 [과학 이야기] STARSHOT,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인류의 노력 계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260
149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193
148 [과학 이야기] LHC의 데이터 공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093
147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068
146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053
145 [과학 이야기] 케플러 우주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420
14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395
143 생활 속의 자녀교육(36) – 자녀가 창의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428
142 [과학 이야기] 황금 비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800
141 생활 속의 자녀교육 (35) - 수학공부가 어려운 이유와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1413
140 [과학 이야기] 초전도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1 2746
13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4) - 자녀의 두뇌발달 가능성 및 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359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003
137 생활 속의 자녀교육 (33) -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1025
136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198
13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0) - 배우는 방식이 다른 아이들의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256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703
133 생활 속의 자녀교육 (29) -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103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의 바둑 대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720
13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8) - 다른 사람에 대한 비난과 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628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724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540
12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7) - 부부관계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342
12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6) – 자유롭고 즐거운 삶을 향한 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1433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107
125 C3소사이어티 <제9회 리더십 컨퍼런스> 접수 시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92
124 [과학 이야기] 아홉번 째 행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438
123 생활 속의 자녀교육 (25) – 꿈과 희망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1606
122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8 1575
12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446
120 [과학 이야기] 기억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709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186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