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3. 조선 왕릉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 쓰는 한국사] 33. 조선 왕릉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6-14 14:46 조회2,764회 댓글0건

본문

서울에서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다니던 시절, 소풍지로 왕릉은 단골 메뉴였다. 그만큼 우리들하고는 친숙한 곳이었다. 잔디를 잘 가꿔 났기 때문에 모여 앉아 점심 식사하기 좋았고, 뛰어 놀기 좋았으며, 단체 장기 자랑하기 더할 나위 없이 좋은 곳이었다. 죽은 자와 산 자가 만나는 광장이었으며, 카페였던 곳이다. 음침하고, 으스스한 그런 곳이 아니라 죽은 자가 산 자에게 베푸는 즐거움과 행복을 주었던 곳이다. 

  온갖 풍수 이론이 집약되어 실현된 왕릉은 역사적 자료의 보고일 뿐만 아니라 풍수의 교과서라 해도 지나치지 않을 것이다. 왕릉을 비롯해 어떤 건축물을 짓더라도 우리 선조들은 자연과의 조화를 우선으로 하였는데, 이와 같은 자연친화적인 관점이 풍수 사상의 바탕을 이루었다고 할 수 있다.

  풍수가 무엇인지 한마디로 말하기란 쉽지 않다. 하지만 한 나라의 지리가 곧 그 나라의 운명과 결부되고, 한 지방의 지세(깊고, 얕고, 넓고, 좁고, 울퉁불퉁한 것과 같은 땅의 생긴 모양. 지형)가 곧 그 지방의 운명을 결정하며, 한 집안의 집터와 묏자리가 곧 그 집안의 운명을 결정한다고 믿는 것이 풍수 사상이라고 할 수 있다. 결국 땅의 모양에 따라 인간의 길흉화복이 달라진다고 보는 것이다.

  예로부터 우리 선조들은 사람의 근본은 조상이라 생각하였다. 현재의 내 안에는 조상이 깃들어 있음과 동시에 후손에게 물려줄 미래가 고여 있기에, 조상과 나와 자손은 분리될 수 없는 것이었다. 조선 왕릉은 519년 동안 27대에 걸쳐 조선을 통치한 왕과 왕비의 무덤(42릉)이다. 500년 이상 이어진 한 왕조의 무덤이 이처럼 온전하게 보존되어 있는 것은 세계적으로 조선 왕릉이 유일하다. 조선 개국 초기에 조성되어 현재 북한 개성에 자리한 태조 왕비 신의왕후 제릉과 정종 후릉 2기를 제외한 40기전체가 2009년에 유네스코 세계 유산으로 등재되어 그 놀라운 학술적, 문화적 가치를 세계적으로 인정받았다.

 조선 제10대 왕과 제15대 왕으로 재위했던 연산군과 광해군의 무덤은 조선 왕릉에 포함되지 않는다. 조선시대에는 왕과 왕비를 포함한 왕실 가족의 무덤을 신분에 따라 능(왕과 왕비, 추존 왕과 왕비의 무덤), 원(왕세자와 왕세자비, 왕의 사친<재위한 왕의 부모>의 무덤), 묘(기타 왕실 가족의 무덤)로 나누었는데, 연산군과 광해군의 경우 폐위되어 무덤이 묘로 조성되었기 때문이다. 반면 덕종(성종의 부친)·원종(인조의 부친)·진종(정조의 양부)·장조(정조의 친부)·문조(헌종 부친) 등은 추존되어 그 무덤이 각각 경릉·장릉·영릉·융릉·수릉으로 조성되었다.

  조선 왕릉은 주변 산세와 도성인 한양으로부터의 거리 등에 따라 입지가 조성되었다. 기본적으로 풍수적 길지(좋은 집터나 묏자리. 명당) 곧, 배산임수(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에 면하고 있음)의 지형을 갖춘 비산비야의 땅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었으며, 주변 산이나 지형지물 등을 이용하여 주변의 다른 시설물과 격리할 수 있어야 하고, 한양을 중심으로 4km 밖 40km 이내의 장소라야 했다. 이는 조상의 덕으로써 자손이 복록(복되고 영화로운 삶)을 받을 수 있는 길지(명당)여야 하고, 또한 주변의 민가들과는 구분되는 성역이어야 하며, 왕의 참배 때 드는 비용과 백성의 수고를 덜기 위한 선택이었다.

  조선 왕릉의 부장품은 크게 신기류(음식을 만드는 기구), 악기류, 악인상(악기를 연주하는 인물상), 무기류, 집기류, 하인상(시종들의 모습) 등이다. 악기류와 악인상은 원래 33종에 33명으로, 실제 악기를 연주하는 모습을 나무로 깎아 넣는다. 하인상도 시종들의 모습을 나무로 조각한다. 그리고 그릇에는 실제 곡물을 담아서 묻는다. 곡식은 대나무로 만든 여덟 개의 그릇에 기장, 조, 보리, 콩, 팥, 마 등을 각각 석 되(1.8Lx 3=5.4L)씩 담는다. 세 개의 옹기그릇에는 각각 식초와 포, 소금에 절인 육장, 그리고 생강과 계피가루를 담는다. 넣는 양은 곡물과 마찬가지로 석 되씩이다. 또 병에는 청주와 약주를 역시 석 되씩 담고, 사자(죽은 자)가 음식을 떠먹을 수 있도록 국자와 숟가락 등도 넣어 준다. 이러한 부장 풍습은 저승에서도 이승과 같은 생활을 한다는 믿음에서 비롯된 것이다.

  조선 왕릉의 깊이는 얼마나 될까? 일반적으로 보통 무덤들은 넉 자(1.2m)에서 여섯 자(1.8m)를 넘지 않는다. 그러나 왕릉은 열 자(3.1m) 정도 파고 시신을 묻는다. 임금 ‘왕(王)’자가 ‘십(十)’자의 상하를 막은 모양이기 때문에 열 자 깊이가 바로 왕의 기운을 받는 위치라고 알려져 왔다. 그러나 사실은 중국의 깊게 묻는 심장법을 따른 것이다. 깊게 묻는 이유는 빗물이나 습기가 이르지 못해 온기를 보존하고, 한기를 막아 겨울에도 시신이 어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또한 벌레나 뱀, 개구리, 나무뿌리 등이 침범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도굴을 방지하기 위해서다. 

  유네스코는 풍수적, 유교적 전통을 근간으로 한 독특한 건축과 조경 양식을 보여주고, 제례의식을 통해 지금도 역사적인 전통을 이어오고 있는 점, 조선왕릉 전체가 통합적으로 보존·관리되고 있는 점 등을 조선 왕릉의 보존 가치로 꼽았지만, 조선 왕릉은 왕의 무덤이라는 건축과 조경 양식 말고도 여러 가지 의미를 지닌다. 무덤을 조성한 지역과 곁에 묻힌 인물 들을 통해 당시 정치적 상황과 입장을 살펴볼 수 있으며, 왕릉 주변에 조성된 여러 석물들의 양식적 변화를 통해서는 당대의 미학과 미술사의 흐름까지 읽을 수 있다. 500년이 넘는 세월 동안 유교와 그 예법에 근거하여 조성되었기에 조선시대 전체를 꿰뚫는 정신세계와 동일한 공간 구성을 보여주고 있지만, 각 왕릉마다 그것을 조성한 시대에 따라 각기 다른 정치, 문화적 분위기와 역량도 함께 드러내고 있는 것이다.

 

33d7f9d38b98309579c980e472e8061e_1497476698_6971.jpg 

조선 왕릉 공간 구성

- 재실 : 능 제사와 관련한 전반적인 준비를 하는 곳으로 왕릉을 관리하던 능참봉이 상주하였다. 

- 금천교 : 왕릉의 금천을 건너는 다리로서 속세와 성역의 경계 역할을 한다. 

- 홍살문 : 신성한 지역임을 알리는 문. 붉은 칠을 한 둥근 기둥 2개를 세우고 위에는 살을 박아 놓았다. 

- 신도, 어도 : 홍살문에서 정자각까지 이어진 길. 박석을 깔아 놓았으며 왼쪽의 약간 높은 길은 신이 다니는 길이라 하여 신도라고 하며, 오른쪽 약간 낮은 길은 임금이 다니는 길이라 하여 어도라고 한다. 

- 비각 : 비석이나 신도비를 세워 둔 곳. 신도비는 능 주인의 업적을 기록한 비석을 가리킨다. 

- 정자각 : 능 제향을 올리는 정(丁)자 모양으로 지은 집. 제향을 올릴 때 왕의 신주를 이곳에 모신다. 

- 무인석 : 문인석 아래에서 왕을 호위하고 있으며, 두 손으로 장검을 짚고 위엄 있는 자세로 서 있다. 

- 문인석 : 장명등 좌우에 있으며, 두 손으로 홀(벼슬아치가 임금을 만날 때 조복에 갖추어 손에 쥐던 패)을 쥐고 서 있다. 

- 능침 : 능 주인이 잠들어 있는 곳. - 곡장 : 봉분을 보호하기 위하여 봉분의 동, 서, 북 삼면에 둘러놓은 담장. 

- 배위 : 가마에서 내린 왕 또는 제관이 제례의 시작을 알리기 위해 절을 하는 자리. 

- 예감 : 제사가 끝나면 축문을 태우는 곳. - 망주석 : 혼령이 무덤을 찾아오게 하기 위해서 세웠음. 

- 혼유석 : 혼이 놀고 머무는 곳. - 장명등 : 무덤을 밝혀 신들이 놀 수 있도록 할 뿐만 아니라 잡귀를 막는 역할도 한다. 

- 석호 : 돌로 만든 네 마리의 호랑이 , 밖을 향하도록 세웠다. 능을 지키는 수호신. 

- 석양 : 돌로 만든 네 마리의  양 , 밖을 향하도록 세웠다. 사악한 것을 물리치는 파수꾼.

33d7f9d38b98309579c980e472e8061e_1497476773_1936.jpg 

왕릉 분포도 - 42기 중 40기가 서울 시내와 근교에 자리 잡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54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938
7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946
7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966
7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014
7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107
7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976
7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고 노력해도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1034
7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136
7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42
7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두뇌능력과 사고력은 차원이 다른 두뇌의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1006
7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으로 배울 수 없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082
7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409
7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73
7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019
7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556
6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호기심은 두뇌 발달의 시작,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호기심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423
6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355
6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228
6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897
6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096
6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590
6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은 행복이 아닌 도전과 고통의 길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4 1539
6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쁨과 행복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719
6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서울의 백제 고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511
6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는 행복과 기쁨의 삶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336
6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 (방법)은 결과가 아닌 사고의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1475
6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449
68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2 (중도, 방법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410
6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322
6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177
6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780
6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종류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1602
6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지닌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1616
6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084
680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545
6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1679
6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1916
6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348
6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368
675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572
6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나만의 세상에 빠져 사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1804
6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806
6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두뇌능력으로 이루어진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1626
6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224
6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394
6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1476
6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1569
6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566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523
66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3 우선순위 파악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582
6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1876
6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1939
6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862
6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624
660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14
6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31
6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742
657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125
6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412
6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27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