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4-25 10:21 조회1,950회 댓글0건

본문

 

► 익산역사 유적 지구 

 

익산 왕궁면 왕궁리 유적(사적 408)과 익산 미륵사지(사적 150)가 포함된다. 왕궁리 유적은 수도 사비의 취약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축조한 별궁 유적으로, 궁성의 규모는 남북 492m, 동서 234m, 너비 3m에 면적 21만 6862㎡이다. 내부에 정전 건물로 추정되는 대형 건물터와 정원 시설, 공방 및 생활 관련 시설, 사찰 관련 시설 등의 유구가 있으며, 익산 왕궁면 왕궁리 오층석탑(국보 제289호)이 남아 있다. 이 가운데 정원 시설에서 중국·백제·일본으로 이어지는 정원문화의 교류 양상을 엿볼 수 있는 중국산 수석이 발견되었고, 공방 터 남쪽에서는 대형 화장실 3기가 발견되었다. 미륵사지는 미륵사가 있던 절터로, 면적이 1338만 4699㎡에 달하여 동아시아 최대 규모의 사역(寺域)이다. 1탑 1금당식의 가람 3동을 나란히 병렬하여 3탑 3금당식의 독특한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는 미륵이 세 번의 설법으로 중생을 구제한다는 미륵신앙에 기반하여 가람 배치를 구현한 것으로, 백제 문화의 독창성을 엿볼 수 있다. 백제 말기에서 조선 중기의 유물인 기와류·토기·자기·석재·목재·금속 등이 출토되었으며, 미륵사지 석탑(국보 11)과 미륵사지 당간지주(보물 236) 등이 남아 있다.

      

 

○ 칠 산사(통도사, 부석사, 봉정사, 법주사, 마곡사, 선암사, 대흥사) 

 

밴쿠버 중앙일보,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 할 가치”

9월 27일, 20일, 13일, 6일, 8월 30일, 23일, 16일 자 교육칼럼 참조    

 

○ 제주 화산과 용암 동굴

 

71bf9979cbbac6ad6f0df5b1c3e31e12_1556212789_5251.png
한라산

 

 

71bf9979cbbac6ad6f0df5b1c3e31e12_1556212798_9746.png
만장굴

 

유네스코에서는 인류가 잘 보존하여 후손들에게 물려줄 탁월한 자연경관이나 생물학적으로 소중한 지역, 무기적·과학적으로 독특한 현상을 간직한 곳을 세계 자연 유산으로 기록하여 올려 관리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도 아름다운 섬 제주도가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이라는 이름으로 세계 자연 유산으로 2007년에 등록되었다. 우리나라 유일의 세계 자연 유산 지역이다.

 

유네스코에서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을 세계 자연 유산으로 기록하여 올린 이유는 다음과 같다. 우선 아름다운 자연경관을 가진 곳이고, 자연의 보전 상태가 뛰어난 점을 들었다. 또한, 다양한 희귀 생물과 멸종 위기의 동식물을 볼 수 있다는 것이다. 

 

한편 화산섬인 제주도는 오름과 용암 동굴 등 화산 지형이 많아 지질과 지형학적으로 연구 가치가 높은 곳이다. 제주도는 전체가 세계 자연 유산이라고 말할 수 있지만, 유네스코에서는 한라산과 성산 일출봉, 거문 오름 용암 동굴 지역을 지정하여 세계유산 목록에 기록하여 올려놓았다.

 

 

■ 기록 유산 

 

훈민정음 l 조성 왕조실록 l 직지심체요절 l 승정원일기 l 조선 왕조 의궤 l 고려대장경과 제 경판 l 동의보감 l 일성록 l 5 • 18 기록물 l 난중일기 l 새마을운동 기록물 l 한국의 유교책판 l KBS 특별생방송<이산가족을 찾습니다> 기록물 l 조선 왕실 오보와 어책 l 국채보상운동 기록물 l 조선 통신사기록물

 

○ 훈민정음

 

71bf9979cbbac6ad6f0df5b1c3e31e12_1556212816_072.png
훈민정음 해례본 

 

훈민정음이란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라는 뜻이다. 조선 제4대 임금인 세종은 그때까지 사용되던 한자가 우리말과 구조가 다르므로 많은 백성이 배워 사용할 수 없는 현실을 안타까워하여 세종 25년(1443)에 우리말의 표기에 적합한 문자 체제를 완성하고 ‘훈민정음’이라 하였다. 

 

집현전 학사들이 세종의 명을 받아 새로운 문자에 관해 설명한 한문 해설서를 발간하였는데, 이 책의 이름이 ‘훈민정음’ 또는 ‘훈민정음 해례본’이다. 여기에는 훈민정음 창제의 목적을 밝힌 서문과 글자의 음가 및 운용법이 기술되어 있다.

 

훈민정음은 국보 제70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기록 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조선왕조실록

71bf9979cbbac6ad6f0df5b1c3e31e12_1556212834_9588.png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왕조의 시조인 태조로부터 철종까지 25대 472년간(1392~1863)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한 책으로, 총 1893권 888책으로 되어 있다. 

 

조선왕조실록은 조선 시대의 정치, 외교, 군사, 제도, 법률 등 각 방면의 역사적 사실을 망라하고 있어 세계적으로 유례가 없는 귀중한 역사 기록물이다. 

 

조선왕조실록은 그 역사 기술에 있어 진실성과 신빙성이 매우 높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 조선왕조실록은 사초를 기본으로 하여 만들어지는데, 사초는 사관이 국가의 모든 회의에 참여하여 왕과 신하들이 국사를 논의, 처리하는 것을 사실대로 기록한 것이다. 이러한 사초는 기록의 진실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관 외에는 왕이라도 함부로 열람할 수 없도록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은 정족산본 1181책, 태백산본 848책, 오대산본 27책, 기타 21책 등 총 2077책이 국보 제151호로 지정되어 있으며, 1997년 10월에 유네스코 기록 유산으로 등록되었다. 현재, 국사 편찬 위원회(www.history.go.kr)에서 번역문과 함께 공개하고 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