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1-14 09:08 조회2,979회 댓글0건

본문

  

cc23dbb8165d03201373b6179fa8ff88_1573751291_1363.jpg
 

흥선대원군 이하응(자: 시백, 호: 석파, 시호: 헌의, 1820~1898)은 제1차 집정기간에는 대원위대감, 국태공, 대노 등으로 불리었으며, 사후 1907년에 대원왕으로 불렀다. 그의 가계는 영조(치세 1724~1776)의 아들 사도세자(장조)에서 파생되고 있다. 사도세자가 세자빈 혜빈 홍 씨에게서 얻은 아들이 정조이고 궁녀에게서 얻은 아들 셋 중 둘째 아들이 은신군이다. 은신군이 후사가 없어 인조의 셋째 아들인 인평대군의 5대손 이병원의 아들을 양자로 삼았는데 바로 그가 대원군의 친부인 남연군 이구였다. 대원군은 네 형제 중 막내였다. 이렇게 따져볼 때 대원군은 실세한 왕족이지만 그 당시 얼마 안 되는 왕족 가운데 혈통이 분명한 왕손이었다.

 

대원군은 1820년 음력 12월 21일에 서울 종로구 안국동에서 태어났다. 대원군의 어머니는 감역관(종2품)을 지낸 여흥 민씨 경혁의 딸, 부인 민씨는 행판돈영부사(종1품) 지구의 딸이다. 대원군은 두 아들(적자)을 두었는데 장자의 이름은 재면, 차자(즉 고종)의 이름은 재황이다. 이로써 대원군은 평생 여흥 민씨와 인연이 깊었다. 대원군에게는 두 딸이 있었는데 큰딸은 풍양 조씨의 조경호, 그리고 둘째 딸은 조정구에게 각각 시집을 갔다. 이로써 대원군은 풍양 조씨와도 깊은 인연이 있었다. 대원군에게는 또 서자와 서녀가 한 명씩 있었다. 서자 재선은 안기영 옥사에 연루되어 사약을 받아 죽었고, 서녀는 우봉 이씨 윤용에게 시집을 갔다.

 

대원군이 성장기에 어떠한 교육을 받았는지는 잘 알 수 없다. 확실한 것은, 그가 왕자(특히 왕세자)들이 받는 엄격한 유교 교육을 받지 않았고 외유 경험이 없었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그가 젊어서 동몽교관을 지낸 일이 있으며, 집권 시에 「양전편고」, 「강목집요」라는 책을 친히 편술하였고, 또 격조 높은 한시를 많이 남긴 사실로 미루어 그는 왕족으로서 행세하는데 충분한 유교적 소양을 갖추었다고 말할 수 있다. 특히 그는 실학자 김정희에게 사사하여 글씨와 난초 그림을 배워 상당히 높은 수준에 달하였음은 널리 알려진 대로이다. 집권 시 그가 신헌, 박규수 등 실학파 인물들을 훈련대장, 평안감사 등 요직에 중용하였으며, 이익과 안정복 등 실학자를 추존한 사실 등으로 미루어 그는 실학을 긍정적으로 수용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또 부인 민씨와 고종의 유모 말타 박 씨 그리고 자기 딸 등 가족 일부가 가톨릭 교인이었으며 한때 그가(말타 박 씨의 아들) 남인 홍봉주, 북인 남종삼과 친근했다는 사실로 미루어 대원군은 서학에 대해서도 상당히 깊은 관심을 기울였던 것으로 여겨진다.

 

 

대원군은 18세 때 풍수지리설에 따라 아버지 남연군의 묘소를 충청남도 덕산 대덕사 석탑 밑으로 이장한 사실이 있다. 또 그는 경복궁 중건을 개시하기 전 남몰래 사람을 시켜 “화산 도사(고려말, 조선 초의 국사인 무학 선사)의 袖中(소매 수, 가운데 중)의 보배를 동방 국태공에게 헌수(장수를 비는 뜻으로 술잔을 올림)하노라. 청우(날이 갬과 비가 옴)에 열 번 감은 백사(몸빛이 흰 뱀)의 마디를 개봉하는 사람이 곧 옥천 옹이로다”라는 글귀를 새긴 참언(앞일에 대하여 길흉화복을 예언하는 말)을 경복궁 앞 구 의정부 석경루 아래에 묻게 한 사실이 있다. 이러한 예로써 그는 도참설을 믿거나 이를 잘 이용한 인물이었다고 볼 수 있다. 이상을 종합해 볼 때, 대원군은 훨씬 더 자유롭고 폭넓은 식견과 소양을 몸에 익힌 인물이었다고 말할 수 있다.

 

 

대원군이 집권하기 전에 거친 벼슬 경력에 대해서도 별로 알려진 바가 없다. 왕족은 국법에 따라 원칙상 관직 취임이 금지되어 있었기 때문이기도 하지만 대원군이 거친 벼슬은 비교적 간략하다. 그는 15세에 흥선부정에 봉함을 받았고 그 후 17세 때에 동몽교관 일을 했다. 그리고 그는 22세에 흥선정, 24세에 흥선군으로 봉해졌다. 그 후 그는 28세 때(1847)에 동지사에 임명된 바 있다. 그러나 무슨 이유인지 사행을 맡지 않았다. 그 후 그는 몇 가지 제조직을 거쳐서 유사당상과 오위도총부 도총관직을 맡았다. 그가 집권 전에 마지막으로 맡았던 종친부와 오위도총부 등의 관직은 결코 한직이라고 볼 수 없는 것으로서 그의 집권 후 권력 행사에 도움이 되는 경력이었다고 여겨진다.

 

 

익히 알려진 대로, 그는 안동 김씨 세도정치 하에서 호신책으로 시정의 무뢰한(일정한 직업이 없이 돌아다니며 불량한 짓을 하는 사람)들과 어울리면서 파락호(재산이나 세력 있는 집안의 자손으로 집안의 재산을 털어먹는 난봉꾼)의 생활을 하였다. 이 무렵 그는 안동 김씨 가문을 찾아다니며 구걸도 서슴지 않아 궁도령이란 비웃음을 사기도 하였다. 익명의 저자가 쓴 「흥선대원군 약전」(1885)에서는 청년기 대원군에 관해, “항상 관원(벼슬아치)들과 사귀면서 문하인(권세 있는 집에 드나드는 지위가 낮은 사람)들과 더불어 즐겁게 놀며 장난치는 것을 일로 삼아 욕을 먹어도 수치로 여기지 않았다. 아울러 이들과 더불어 기생집에 왕래하여 그 처신의 방탕함은 보통 윤락(여자가 타락하여 몸을 파는 일)한 집의 무뢰한 자제와 다름이 없었다. 때의 사람들은 이르기를 미치광이 방탕 꾼이라 하였다.”라고 묘사하고 있다. 대원군이 이러한 자유분방한 생활 경험을 통해 서민의 살림을 몸소 체험함으로써 백성의 바람이 무엇인가를 깨달을 수 있었을 것이다. 두말할 것도 없이, 이러한 경험은 집권 후 그가 개혁정치를 펼 때 여러모로 소중한 자산이 되었다. 대원군의 인품에 대해 좋게 평하는 사람들은 대체로 그가 호탕하고 쾌활한 성품의 소유자로서 과감한 실천력, 목적 달성을 위해 온갖 수단을 동원하는 투지, 그리고 집권으로 향한 열화같은 야심 등을 겸비했던 정치가였음을 강조한다. 대인관계에 있어 신분의 고하에 구애됨이 없이 소탈했던 점을 또한, 높이 평가한다. 반면에 그를 나쁘게 평하는 사람들은 그의 성격의 잔인한 측면을 힘주어 강조한다. 예컨대, 대원군이 집권한 직후 그 당시 국내에서 비밀리에 선교 활동을 하던 어느 프랑스 선교사는 대원군의 인품에 대해 다음과 같이 선교 본부에 보고하고 있다.

 

 

“대원군의 몸은 과히 크지 아니하고 파리하나 원기가 있고, 그 눈은 항상 번득번득하여 보기에 무서우며, 성품은 조급하고 탐독합니다. 새 조정을 다스리는 대원군이 비록 모든 폐단을 고치고 없이 하겠다 하나, 흉악한 일을 마음대로 행하고 사람을 무수히 죽여도 어떻게 무슨 일로 죽이는지 알 수 없으니, 이 악독한 사람이 잠깐 사이에 만들어 내는 환란을 우리가 면할는지, 나는 마음을 놓지 못하겠습니다.”

 

 

이처럼 대원군의 인품에 대해서는 평가하는 사람의 입장에 따라 의견이 다르지만, 그들이 내린 평가의 공통점은 그가 비범한 인물이라는 것이다. 대원군의 인물과 정치를 다룬 <근세조선정감>의 저자는 그를 가리켜 ‘인걸, 간웅’이라 평했는가 하면 미국인 역사가 헐버트 역시 그의 <한국통사>(History of Korea)에서 대원군을 “위압적 인품과 불굴의 의지를 가진 인물로서 대체로 근세 한국사에서 가장 인상 깊은 기인이었다”라고 평했다. 이러한 인물평을 종합해 볼 때 대원군은 한 시대를 풍미한 카리스마적 존재였음에는 틀림없는 것으로 보인다.

 

 

운현궁은 흥선대원군 이하응의 개인 집이며 고종이 태어나 열두 살 때까지 살았던 곳으로, 대원군 섭정기 10년 동안 각종 개혁 정책이 구상되고 추진되었던 역사의 현장이다. 흥선대원군은 1820년(순조 20) 남연군 이구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원래 그가 태어나고 자란 곳은 지금의 안국동이었는데, 언제 이 운현궁에 터를 잡았는지는 분명치 않으나, 뒤에 고종이 둘째 아들 명복을 여기서 낳은 것으로 보면 대략 1852년(철종 3) 이전으로 추정된다.

 

 

대원군이 되기 전의 이하응은 시정잡배와 어울려 다니는 파락호의 모습을 떠올리지만, 그 무렵에도 집의 규모는 영조의 손자의 손자(고손)로 왕족의 집답게 그리 궁색한 편은 아니었다고 한다. 이곳이 서운관(관상감의 별칭, 지금은 현대사옥 구내) 앞 고개 ‘운현’의 지명을 따 ‘운현궁’이라고 불리게 된 것은 1863년 12월 고종이 철종의 왕위계승자로 지명된 뒤 그 아버지 이하응에게 ‘흥선대원군’이라는 작호가 내려지면서부터였다. 건물에 대한 대대적인 보수 증축도 뒤따라 1864년(고종1) 9월 노안당과 노락당의 낙성식이 고종과 대왕대비, 왕대비까지 참여한 가운데 성대하게 거행되었고, 6년 뒤에는 안채에 이로당이 새로 들어섰다. 또한, 기존의 대문 외에 창덕궁과의 사이에 임금 전용의 경근문과 대원군 전용의 공근문이 세워졌다. 이후 운현궁은 대원군 섭정 10년간은 물론 개항 후 임오군란을 비롯한 굵직굵직한 사건의 진앙으로써 세인들의 이목을 집중시켰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58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키우는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992
7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 vs. 내가 내리는 판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037
7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교육은 세뇌와 다르지 않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052
7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나일본부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1513
7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964
7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965
7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008
7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042
7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144
7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056
7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고 노력해도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1059
7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171
7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88
7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두뇌능력과 사고력은 차원이 다른 두뇌의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1035
7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으로 배울 수 없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127
7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453
7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90
7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036
7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595
6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호기심은 두뇌 발달의 시작,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호기심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446
6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385
6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255
6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947
6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126
6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612
6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은 행복이 아닌 도전과 고통의 길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4 1564
6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쁨과 행복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746
6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서울의 백제 고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561
6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는 행복과 기쁨의 삶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359
6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 (방법)은 결과가 아닌 사고의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1505
6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471
68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2 (중도, 방법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436
6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360
6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238
6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798
6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종류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1621
6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지닌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1638
6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17
680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575
6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1714
6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1954
6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389
6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390
675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613
6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나만의 세상에 빠져 사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1838
6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849
6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두뇌능력으로 이루어진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1656
6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237
6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437
6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1513
6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1606
6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621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545
66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3 우선순위 파악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609
6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1912
6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012
6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07
6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654
660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59
6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6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