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4-28 11:47 조회859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 앞의 내용을 정리하자면 같은 감정도 공부에 도움이 되는 감정과 그렇지 않은 감정 이 두 가지로 해석이 되는 것 같은데 조금 더 설명을 해 주시겠어요? 


- 그러면 두뇌를 쓰는 방법을 예로 들어 설명을 해 볼게요. 먼저 내가 호수에서 낚시를 해요. 그런데 지금 낚시하는 장소에서는 고기가 잡히지 않아요. 이 순간 고기를 잡지 못했다는 결과에 짜증이 나고 ‘차라리 골프를 하러 갈 걸’하는 후회가 든다면 어떨까요? 


◆ 짜증이 나고 낚시를 해도 즐겁지 않겠죠. 하지만 항상 내가 원하는 대로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삶이니까 내가 한 선택에 대해 후회하고 짜증을 내기보다는 받아들이는 것이 낫지 않나요? 짜증내봐야 도움 될 것 없을 것 같거든요. 그러고 보니 몇 주 전 집사부일체라는 프로그램에서 두뇌과학자라는 정재승 박사님의 이야기가 생각나네요. 그 분이 후회를 즐겨야 한다고 했거든요.


- 정재승 박사님의 그 말은 정재승 박사님 스스로도 사람들의 두뇌에서 생각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모르고 있다는 것을 자백한 것과 같아요. 왜냐하면 얻어진 결과를 놓고 후회를 하는 경우 그 후회를 즐기면 삶과 두뇌기능 모두가 더 퇴화해요. 그래서 인간으로서의 삶을 포기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요. 지금 다루고 있는 목표 지향적 두뇌를 사용하는 경우에 한해 후회나 실패를 즐길 수 있으면 삶을 바꿔갈 수 있죠. 지금부터 이야기하는 내용에 이 부분도 포함이 될 거에요. 그건 그렇고, 짜증과 후회가 어떤 면에서 도움이 안 될까요? 


◆ 안 좋은 감정이 쌓이면 일상생활이 힘들 테니까요. 일도 손에 잡히지 않을 수 있고 사람을 만나도 즐거운 마음보다는 짜증 섞인 태도로 대할 가능성이 높잖아요. 


- 그렇죠. 이렇게 눈앞의 결과에 감정으로 반응하는 경우 두뇌의 여러 나눠진 부분들 중에서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두뇌기능에 의존한 판단으로 삶을 살아가고 있다고 보시면 돼요. 아마 집에서 키우는 반려동물들의 행동과 비교해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대부분의 동물들이 활용하는 두뇌영역이 바로 이러한 부분이니까요. 


◆ 감정으로 대응하는 경우가 많을수록 두뇌를 사용하는 정도가 개나 고양이와 다르지 않다는 말로 들리는데, 앞서 같은 후회나 짜증의 감정이지만 그래도 깨달음으로 인해 생기는 것들은 다르다고 하셨잖아요? 어떻게 다른가요? 


- 두 번째 예를 들어볼게요. 이번에는 지금의 자리에서 고기가 잡히지 않아서 주변을 살피다 호수 건너편에 가면 고기를 잡을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을 해요. 그래서 호수를 건널 수 있는 방법을 찾다가 뗏목을 디자인하고 만들어서 건너갔어요. 그리고 낚시를 해서 고기를 잡았다면 어떨까요? 


◆ 성취감이 클 것 같아요. 일단은 원하던 고기를 잡았고 또 내 예상이 맞았으니까요. 


- 그렇다면 반대로 고기를 잡지 못했다면요?


◆ 당연히 그동안의 노력은 물거품이 됐으니까 짜증나고 후회되겠죠. 


- 그렇다고 완전히 실패했다고 볼 수는 없겠죠? 


◆ 왜죠? 고기를 잡지 못했으니 완전히 실패한 것 아닐까요? 


- 뗏목을 고안하고 만들어서 강을 건넜잖아요. 뗏목들 만든 목적은 고기를 잡기 위함이었을지는 몰라도 고기를 잡기위해 강을 건너는 방법을 새롭게 찾았으니까요. 


◆ 그러면 주변에 누군가가 버려놓은 뗏목을 사용한 경우도 여기에 해당되나요? 


- 아니요. 스스로 방법을 찾은 것이 아니니까 이 경우는 앞의 원시형태의 두뇌를 사용하는 것과 다르지 않아요. 뗏목을 스스로 만든 경우에는 강을 건너는 방법을 스스로 생각해 낸 것이니 창조적 두뇌를 사용해서 도구를 만든 경우지만 옆에 있는 뗏목을 사용했다면 주어진 도구를 사용한 것이니 목적 또는 목표를 이루기 위해 두뇌를 사용한다는 의미에서는 보자면 크지가 않아요. 원숭이들도 도구를 사용할 수 있으니까요. 


◆ 그러니까 도구를 사용한다는 면에서 보면 앞서 결과에 울고 웃는 삶보다는 한 단계 발전한 것이지만 여전히 창조적이지 못하다는 면에서 두뇌가 여전히 원숭이와 같은 동물의 수준에 머물러 있다는 뜻으로 해석이 되네요. 이 부분은 후에 다시 질문 드리고, 그렇다면 여기서 궁금한 것은 뗏목을 만들어 강을 건너서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일어나는 감정은 앞서 얻어진 결과에 울고 웃는 것과는 어떻게 다른가요? 


- 두 경우 모두 주어진 결과를 통해 울고 웃는다는 공통점이 있어요. 하지만 차이점은, 전자에는 과정이라고 할 만한 것이 존재하지 않아요. 그러니까 두뇌를 사용하지 않았다고 봐야죠. 반면 후자의 경우에는 뗏목을 고안하고 만들어서 강을 건너는 과정이 포함되어 있어요. 그러니까 결과에 따른 감정은 같아도 두뇌의 발달이라는 과점에서 본다면 후자가 훨씬 발달된 두뇌라고 볼 수 있죠. 


◆ 결국 단순히 주어진 환경 또는 노력 없이 얻은 것에 만족하지 말고 스스로 성취해서 만족을 얻어야 두뇌가 발달한다는 뜻이로군요. 그래서 결과보다는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해야 한다는 말이 있는 거고요. 그런데 지난번에는 공부에 있어서는 과정보다도 중요한 것이 있다고 하지 않으셨나요? 


- 아직 목표나 목적을 가지고 방법을 찾아가는 공부방법인 목표 지향적 공부방법에 대한 이야기가 다 끝나지 않았으니까 이 부분을 마저 다루고난 후 질문에 대한 내용을 이어갈게요. 여기서 질문을 하나 할게요. 뗏목을 만들어 호수를 건너가서 낚시를 해서 고기를 잡았다면 목표를 이뤘으니까 성취감으로 기쁨, 즐거움, 행복 등의 감정을 얻을 수 있겠죠? 그 다음은 무엇이 있을까요? 


◆ 또 다른 성취감을 위해 새로운 낚시 장소를 뗏목을 타고 탐색하지 않을까요? 뗏목도 만들어 놓았으니 이제는 조금 더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을 테니까요. 


- 예. 그렇겠죠. 그래서 도박과 같이 단순한 운에 따라 행운을 얻으면 두뇌는 공부를 통한 논리적 사고가 아닌 운에 모든 것을 맡기는 형대로 굳어져가요. 그래서 시간이 흐를수록 두뇌기능은 퇴화해요. 반면 방법을 스스로 찾아가면서 목표한 것을 이룸으로서 얻는 성취감, 행복 등의 감정을 기반으로 살아가면 두뇌의 발달과 함께 진취적인 삶을 살아갈 수 있어요. 


◆ 정리하자면 운이 좋아 얻은 결과에 따라 생기는 감정은 두뇌를 퇴화시키지만 스스로 무엇인가를 찾고 이룰 수 있도록 두뇌를 사용하면 같은 행복 또는 즐거움이라도 두뇌가 발달할 수 있다는 뜻이군요. 


- 맞아요. 하지만 여기에도 문제가 있어요. 만일 뗏목을 만들어 호수를 건넜음에도 고기를 잡지 못하면 어떨까요? 


◆ 뗏목을 만드는데 들어간 시간, 노력 등이 물거품이 된 것처럼 느낄 테니까 아무래도 실망 또는 좌절감이 밀려오지 않을까요? 


- 예. 그래서 대학생들이 학교를 졸업하고 원하던 취업을 하지 못하는 경우 대학생활에 대한 후회 등으로 힘들어 하는 경우가 있죠. 


◆ 그런 이야기는 저도 들었어요. 그런데 이러한 이야기들은 공부와 조금은 동떨어진 이야기 아닌가요? 공부는 학교에서 배우는 과정인데 뗏목을 만드는 것은 자신의 필요를 충족하기 위한 것이니까요. 


- 바로 그 부분이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하고 있는 부분이에요. 학교공부는 학교공부이고 뗏목을 만드는 것은 뗏목을 만드는 것으로 분리해서 연결고리가 없다고 생각을 하죠. 


◆ 공부는 보통 낚시와 같이 자신에게 필요한 내용이 아니라 교육기관이 정해놓은 내용들을 배우는 과정이라고 생각이 되고 그래서 공부가 어렵다고 여겨지는데 어떻게 뗏목을 만드는 과정이 공부와 연결이 되어 있나요? 


- 그 질문에 대한 답은 현재 교육의 종류를 보면 쉽게 알 수 있어요.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상단으로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