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5-19 11:20 조회44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 학교에서 벌어지는 부정행위는 새로울 것이 없지만 UBC와 같은 상위권 학교에서 그렇게 많은 학생들이 부정행위를 했다는 것에 조금 놀랐을 뿐인데 이러한 부정행위를 학교가 학생들에게 지우는 짐 때문이라고 하셨잖아요? 이유가 무엇인가요? 


- 시험에서 부정행위가 벌어지는 이유는 크게 두 가지 경우로 나눌 수 있어요. 하나는 학생 스스로 답을 찾지 못해서인 경우이고 다른 하나는 답을 손쉽게 찾을 수 있는 방법이 있을 경우죠. 


◆ 두 경우가 다르지 않아 보이는데 굳이 구분을 한 이유가 뭐죠? 


- 높은 성적을 받기 위해 부정행위를 한다는 것에는 차이가 없을 수 있어요. 하지만 원인은 완전히 다를 수 있죠. 


◆ 원인이 달라서라는 것이 어떤 의미인가요?


- 부정행위를 하는 학생들의 관점에서 문제를 보면 차이가 보이지 않을 수 있지만 교육을 제공하는 측의 관점에서 바라봤을 때 차이가 있어요. 


◆ 교육을 제공하는 측이라면 학교나 교수들의 관점인가요? 


- 그렇죠. 학교는 교수들을 고용하고 또 학교가 나아가는 전체적인 방향을 제시하니까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학생들을 가르치는 교수들은 실제로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평가를 하니까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죠. 


◆ 그러면 학교나 교수들이 학생들의 부정행위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 먼저 학교에서 교육의 방향이 ‘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인력의 양상’과 같이 직장을 잡는 것에 맞춰져 있으면 교수를 고용할 때에도 해당분야의 지식을 가진 사람들을 고용하죠. 그래야 사회가 필요로 하는 지식을 가진 학생들을 배출할 수 있을 테니까요. 


◆ 이해는 가요. 사회가 필요로 하는 인력이 예를 들어 인공지능 쪽이라면 인공지능에 대한 지식이 있는 학생들이 직장을 잡을 확률이 높을 테니까요. 그런데 이것이 부정행위와 어떤 관계가 있나요? 


- 예를 들어 인공지능에 대한 것을 가르치는 교수가 시험문제를 냈는데 그 시험문제가 지금까지 접해본 적 없는 내용이라고 가정해볼게요. 그래서 인터넷을 검색해도 답을 찾을 수 없어요. 그러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요? 


◆ 학생들이 답을 찾기 위해 생각하고 또 생각하겠죠. 


- 그렇죠. 그리고 하나 덧붙이면 맞는 답이 존재하지 않기 때문에 학생들로서는 누구의 생각이 옳은지 확인할 수 없어요. 


◆ 그러면 맞는 답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부정행위를 하지 않을 거란 뜻인가요? 


- 아니요. 부정행위가 있겠죠. 어떻게든 백지를 제출하지 않으려는 학생들이 있을 테니까요. 하지만 이러한 부정행위는 너무도 쉽게 드러날 뿐 아니라 학생들로서도 부정행위를 할 의미를 크게 찾을 수 없어서 부정행위의 유혹에 쉽게 빠지지 않죠.


◆ 그럴 수 있겠네요. 그러면 두 번째의 경우는 무엇인가요? 


- 시험문제가 이미 알려진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경우에요. 


◆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문제라면 예를 들어 세계 제2차 대전이 시작된 때는 언제인지를 묻는 문제와 같은 것들을 뜻하나요? 


- 맞아요. 이러한 시험문제는 인터넷이나 책을 검색하면 답을 쉽게 찾을 수 있어요. 


◆ 하지만 시험은 정해진 시간과 공간에서 벌어지는 것이잖아요. 학생들이 인터넷 검색을 하지 못하게 하면 막을 수 있는 것 아닌가요? 


- 그렇죠. 그래서 시험감독을 어떻게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가 끊임없이 나오죠. 


◆ 그러면 시험감독을 철저히 하면 되기 때문에 교수나 학교에 원인이 있다고 하신 건가요? 


- 아니요. 이러한 시험은 학생들에게 실제로 짐을 지우기 때문이에요. 


◆ 어떻게요? 


- 학생들이 스스로 답을 찾으려고 공부하기보다는 알려진 답을 찾는 공부를 하기 때문이죠. 


◆ 잘 이해가 가지 않는데 조금 더 설명을 해 주시겠어요? 


- 앞서의 예를 다시 살펴보면 세계 제2차 대전이 시작된 시점은 정해져 있어요. 바꿀 수도 없죠. 이러한 문제에서 스스로 답을 찾기 위해 공부할 것이 남아있을까요? 


◆ 답이 정해져 있으니까 외우는 것 말고는 방법이 없을 것 같은데요. 


- 그렇기 때문에 답을 찾고자 사고력을 발휘하려 하기보다는 단순히 답을 찾아 외워서 기억하는 공부를 하죠. 


◆ 정확하게 기억을 하고 있어야 답을 정확하게 찾을 수 있으니까 당연하다고 생각이 되는데 이게 왜 학생들에게 짐이 되나요? 


- 이유를 통해 원인과 결과를 찾아가면서 답을 찾는 논리적 사고가 결여된 상태에서 주어진 답을 찾아 외운다는 것이 두뇌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생각해 보신 적 있나요? 


◆ 아니요.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 결과에 매달려 해답만을 찾거나 답이 주어지기를 기다리는 수동적인 공부방법이 습관이 되죠. 


◆ 수동적일지는 몰라도 새로운 정보를 얻어 지식에 대한 갈망을 해소할 수 있으니까 좋은 것 아닌가요? 만족과 만족을 통해 행복함을 느낄 수 있잖아요. 


- 맞아요. 만족과 행복을 얻을 수는 있죠. 하지만 답을 찾아 지식을 익히는 공부방법에 주로 의존해서 공부해 온 사람이 불확실한 미래 또 답이 없는 미래를 마주하면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요? 


◆ 음, 당황하고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할 것인지 모를 것 같네요. 


- 그렇죠. 공부를 하는 이유는 논리적 사고로 미래에 벌어질 현상을 조금이라도 더 정확하게 예측해서 대비하기 위함이죠. 이러한 두뇌능력을 갖추려면 미지의 세계를 탐색할 수 있는 두뇌능력이 필요해요. 그런데 대학에서조차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으로 학생들의 사고를 가두고 있는 경우가 많거든요. 그러니까 학생들은 답을 찾으려 부정행위를 하고요. 악순환이라고 봐야죠. 나아가 이러한 접근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권력에 스스로 복종하도록 만드는 역할도 해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886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886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
88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4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4
88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62
88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39 헤럴드코퀴틀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84
88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101
8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06
880 5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유리벽에 갇힌 사람들의 특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17
879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10
878 5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전과 반항 그리고 사회의 양극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04
877 5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 지도자가 감정에 맡겨 결정을 내리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10
87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10
875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122
8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권력자나 지식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 질 수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34
87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135
8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함께 난관을 극복하는 힘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55
87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4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151
87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유토피아는 존재할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51
86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0
86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186
8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폭력의 뿌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26
8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250
8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13
8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215
863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214
8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10
86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3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1
8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기반을 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255
85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215
8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7
8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5
85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3
8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215
85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216
8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211
85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214
8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218
85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232
8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231
84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227
8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8
84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23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55
8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44
8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249
8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독립된 삶’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큰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276
84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2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281
8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87
84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1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02
839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2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312
8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며 달을 보라고 가르치는데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본다고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310
8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315
8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들은 국민을 애완동물처럼 길들이고자 한다. 어떻게 그리고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321
8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생존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317
834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344
8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과 이태원 참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326
832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325
8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355
83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360
8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게임이나 도박에 빠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353
82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315
8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34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C 927 Brunette Ave, Coquitlam, BC V3K 1C8
Tel: 604 544 5155, Fax: 778 397 8288,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