할리우드 큰 손 넷플릭스 "우린 디즈니같은 미디어 기업" > LIF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LIFE

방송 | 할리우드 큰 손 넷플릭스 "우린 디즈니같은 미디어 기업"

페이지 정보

작성자 중앙 쪽지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03-20 01:00 조회1,705회 댓글0건

본문

 18일(현지시간) 미국 로스앤젤레스 할리우드에 위치한 넷플릭스 오피스. 100년 전 워너브러더스가 간판을 걸고 최초의 유성영화(재즈싱어, 1927년)를 찍었던 이곳 ‘선셋 브론슨 스튜디오’ 안에 넷플릭스가 2년 전 연 사무실이다. 실리콘밸리의 기술 기업으로 성장해온 넷플릭스가 세계 영화ㆍ방송산업의 중심지 할리우드에 전략 기지를 세운 것. 넷플릭스는 이날 전세계 32개국 60여 명의 기자들을 이곳에 초청해 콘텐트 전략을 소개했다. 창업자인 리드 헤이스팅스 최고경영자(CEO)와 토드 사란도스 최고콘텐트책임자(CCO), 그렉 피터스 최고제품책임자(CPO) 등 핵심 임원들이 직접 나와 질의에 응했다.
 

넷플릭스 창업자인 리드 헤이스팅스(Reed Hastings) CEO가 18일 오후 미국 로스앤젤레스에 위치한 넷플릭스 오피스에서 기자들과 질의응답을 하고 있다. [사진 넷플릭스]

이들은 한목소리로 차별화된 오리지널(직접 제작) 콘텐트와 이를 뒷받침할 기술로 현재의 엔터테인먼트 미디어 산업을 혁신하겠다고 강조했다. 특히 리드 헤이스팅스 CEO는 “우린 기술 기업이 아니라, 디즈니 같은 미디어 기업”이라고 선언했다. 디즈니ㆍ애플 등 넷플릭스와 유사한 자체 스트리밍 서비스를 준비 중인 경쟁사들에 대해 “경쟁자가 있을 때 사람들은 성과를 더 잘 내지 않느냐”며 “힘은 들겠지만 경쟁은 구독자와 창작자 모두에게 더 많은 기회를 제공할 것”이라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그는 또 “(다음주에 공개될)애플의 비디오 서비스에 넷플릭스를 넣지 않을 것”이라며 “우리 소비자에겐 우리가 만든 서비스에서 콘텐트를 보여주겠다”고 말했다. 넷플릭스 임원들로부터 디즈니ㆍ애플ㆍ아마존ㆍ워너미디어(AT&T가 인수)등 거물들의 도전에 대한 대응 전략을 들어봤다.
 

 

 
성공 비결은 ‘즐거움을 추구하는 기술’

 
 
‘엔터테인먼트의 미래’를 주제로 발표에 나선 토드 옐린 프로덕트 담당 부사장은 “인터넷 덕분에 전세계 곳곳의 창작자들이 만든 스토리를 즐길 수 있는 인터넷TV 시대에 살고 있다”며 “넷플릭스의 성공 비결은 알파벳 세 글자, ‘Joy(즐거움)’을 추구한 데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넷플릭스는 구독자들에게 더 많은 선택권과 즐거움을 주기 위해 실험하고 또 실험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넷플릭스의 오리지널 영화 '블랙미러 밴더스내치'. 시청자가 모바일 화면에서 주인공이 어떤 행동을 할 지 결정할 수 있다. 이 선택에 따라 주인공이 맞이할 결말이 최대 5가지로 달라지는 인터렉티브 콘텐츠다. 소비자의 선택에 따라 45분짜리 짧은 영화가 될 수도, 2시간 이상의 긴 영화가 될 수도 있다. 넷플릭스는 이 영화에 대해 "총 5시간 분량의 영상을 업로드했다"고 밝혔다. [사진 넷플릭스]

넷플릭스가 지난해 말 공개한 오리지널 영화 ‘블랙미러 밴더스내치’가 그 예다. 이 영화는 극중 주인공이 아침 메뉴로 뭘 먹을지, 어떤 음반을 구입할지 등을 시청자가 선택하도록 한 인터렉티브(쌍방향) 영화다. 넷플릭스는 어린이 대상 애니메이션에서 먼저 선보인 이 방식을 성인 대상 콘텐트에 처음 적용했다. 옐린 부사장은 “밴더스내치 공개 이후, 우리가 시청자에게 너무 자주 뭔가를 선택하라고 요구한 것은 아닌지, 사람들이 어떤 선택을 더 많이 했는지 등을 분석했고 이를 토대로 다음 단계를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넷플릭스는 다음달 10일 두번째 성인 대상 인터렉티브 콘텐트인 ‘유 vs 와일드(You vs. Wild)를 공개한다고도 이날 발표했다. 넷플릭스 측은 “시청자가 정글ㆍ사막 등을 누비는 생존 전문가(베어 그릴스)의 행동을 직접 선택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우린 기술 가진 미디어 기업”

 
 
이날 넷플릭스 임원들은 데이터나 기술력보다 콘텐트 기업으로서 넷플릭스의 경쟁력을 강조했다. 개인정보 유출 및 반(反)독점 측면에서 비판받는 기술 기업들에 대한 질문을 받고서다. 넷플릭스 서비스 전반을 책임지는 그렉 피터스 최고제품책임자(CPO)도 이날 “우리는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라며 “가장 최신의 기술을 갖고 미래형 엔터테인먼트를 지향하고 있다”고 말했다. 넷플릭스가 개인화된 콘텐트 추천 기술과 데이터 기반의 의사 결정을 강조하며 ’기술력‘을 차별화 포인트로 삼았던 과거와 달라진 모습이다.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2018년)에 이어 올해 골든 글로브상과 오스카상을 수상한 넷플릭스 오리지널 영화 '로마'의 한 장면. [사진 넷플릭스]

실제 넷플릭스는 2016년 글로벌 시장 도전을 선언한 이후 매년 콘텐트 확보를 위해 막대하게 투자하고 있다. 지난해엔 연매출(157억 9000만 달러)의 약 75%인 120억 달러 가량을 콘텐트에 투자했다. 헤이스팅스 CEO는 이날 “우리와 비디오 스트리밍 시장에서 13년 이상 경쟁하는 아마존이 연간 40억~50억 달러를 콘텐트에 투자한다는데 우리는 그 두 배를 쓰고 있다”고 말하기도 했다. 매년 수십억 달러씩 증가하는 콘텐트 신규 투자분의 대부분은 넷플릭스가 직접 제작하는 오리지널에 투입된다.  
 
리드 헤이스팅스 CEO는 “광고를 안하는 넷플릭스는 1억 4000만명의 구독자에게 받는 10달러 안팎의 구독료가 우리의 유일한 매출원”이라며 “앞으로도 광고 비즈니스나 스포츠 중계 같은 데엔 들어가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광고 없이 질높은 콘텐트로 소비자 지갑을 열겠다는 전략에 따라 넷플릭스는 콘텐트의 질과 양 모두를 잡아야 한다. 
 
특히 기존에 넷플릭스에 기꺼이 콘텐트를 제공하던 디즈니ㆍ워너미디어(AT&T가 인수) 같은 파트너사들이 이제 ‘제2의 넷플릭스’ 같은 스트리밍 서비스 플랫폼을 직접 만들겠다며 콘텐트를 넷플릭스에서 빼내는 등 경쟁자로 돌아서면서 콘텐트에 대한 넷플릭스의 갈증은 더 심해졌다. 

그래픽=차준홍 기자 cha.junhong@joongang.co.kr

관련기사
 

 

 
올해 150억 달러 콘텐트에 투자

 
 
벨라 바하라 넷플릭스 인터내셔널 오리지널 담당 부사장은 “우리는 데이터가 아니라 콘텐트로 움직이는(content-driven) 기업”이라며 “전세계에서 독창적이고 진정성 있는 스토리를 풀어낼 수 있는 창작자들을 찾아낼 것”이라고 말했다. 콘텐트 분야를 총괄하는 테드 사란도스는 "한국의 '킹덤'을 보며 한국적인 면을 쥐어 짜거나 글로벌 요소를 억지로 가미하지 않고서도, 스토리가 훌륭하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한다는 확신을 얻었다"고 말했다. 사란도스 CCO는 올해 콘텐트 투자 규모를 150억 달러로 예상한 투자은행업계 전망에 대해 "그렇다"고 말했다.

넷플릭스의 최고 콘텐츠 책임자(CCO)인 테드 사란도스.

 
이 같은 콘텐트 강조 전략 때문에 넷플릭스가 점차 할리우드 스튜디오와 유사해지고 있다는 시각도 있다. 올해 1월 넷플릭스는 미국 영화ㆍ방송 산업계의 막강한 이해집단인 영화산업협회(MPAA) 가입에 성공했다. 1922년 창립 이후 최근 60년 간 디즈니ㆍ20세기폭스ㆍ파라마운트ㆍ소니ㆍ유니버셜ㆍ워너브라더스 등 6개 영화 스튜디오만 회원으로 둔 MPAA에 넷플릭스가 낀 것이다.
 
이에 대해 테드 사란도스 CCO는 “우린 기술에 뿌리를 둔 엔터테인먼트 기업”이라며 “엔터테인먼트 기업이 기술 기업이 되긴 어렵지만, 우리는 우리가 가진 기술을 활용해 다른 엔터기업들이 못하는 일들을 해내고 있다”며 기술적 우위를 강조했다. 그러면서도 “MPAA에서 여러 기업들과 스트리밍 서비스에 대해 협력하고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로스앤젤레스=박수련 기자 park.suryon@joongang.co.kr
 
관련기사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LIFE 목록

Total 5,754건 1 페이지
게시물 검색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