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 제조업 붕괴는 필연··· 10년 후 인류 모습은? >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Vancouver
Temp Max: 8.6°C
Temp Min: 6.24°C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부동산 경제 | 대형 제조업 붕괴는 필연··· 10년 후 인류 모습은?

온라인중앙일보 기자 입력16-04-28 13:50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본문

기사 이미지

클라우스 슈바프 [사진 세계경제포럼]


“디지털과 실물, 생물학 기술의 융합은 우리가 대화하는 방식, 물건을 만들고 사고 파는 방식, 공간을 이동하는 패턴까지 통째로 바꿀 파괴적 변화다.”

 

인공지능·3D프린팅·유전자 편집
인류는 지금 파괴적 혁신 경험중
이세돌 바둑, 인간의 패배 아니다
기계는 더 자유로워지게 도울뿐


지난 1월 열린 세계경제포럼(WEF, 다보스포럼)의 최대 화두는 ‘4차 산업혁명’이었다. 컴퓨터와 인터넷, 자동화가 3차 산업혁명의 핵심 키워드였다면 그 다음 주인공은 빅데이터와 인공지능(AI), 3D 프린팅 등이다. 클라우스 슈바프 WEF 회장은 중앙일보와의 e메일 단독인터뷰에서 “산업과 일자리, 생산활동은 물론 인간의 정체성에 관해서도 복잡한 문제를 던질 것”이라며 적극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최근 그의 신작『제4차 산업혁명』이 국내에 번역·출판됐다.
 

질의 :왜 지금 4차 산업혁명인가?
응답 :“파괴적이라고 표현했는데 이는 지금 우리가 가진 모델과 가치가 완전히 새로운 것으로 대체되는 걸 의미한다. 4차 산업혁명은 특정 기업에 해당하는 이슈가 아니다. 누구도 피해갈 수 없는 변화다. 지금 우리는 새로운 비즈니스의 등장과 우량기업의 몰락을 경험하고 있다. 빅데이터 활용 속도가 빨라지면서 생산과 소비 패턴이 바뀌고 있고, 아마존 같은 기업은 운송 수단과 유통 시스템까지 개혁하고 있다. 멀리 보면 인간이 표현하고, 정보를 제공하고, 일을 하고, 대화하는 방식까지 바꿀 코페르니쿠스적 전환이다. 속도와 범위를 고려하면 기존 산업혁명과 명확히 구분된다. 이 변화가 모두에게 기회가 되도록 정책을 결정하고, 공동의 가치를 세우는 게 이 세대의 책임이다.”
질의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할 기술은 무엇인가?
응답 :“3차 산업혁명이 공장과 전력이라는 2차 산업 기반으로 시작됐듯, 4차 산업혁명 역시 디지털이란 3차 산업이 토대다. 디지털 혁명은 여러 방면에서 세상을 바꾸었고 지금도 진행형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은 이전보다 훨씬 새롭고, 근본적인 변화다. 지금 우리가 공장이나 도로 같은 기반시설을 당연하게 여기듯 디지털 인프라를 공기처럼 자연스럽게 여길 날이 머지 않았다. 출발 단계기 때문에 무엇이 선도할 것이라 단언하긴 어렵다. 그러나 몇몇은 눈에 띈다. 인공지능과 신경기술, 3D프린팅, 유전자 편집, 퀀텀 컴퓨팅(양자 컴퓨터공학) 등이다.”
질의 :개인은 어떻게 대응해야 하나?
응답 :“당연한 이야기지만 새로운 것들이 자신의 일과 삶에 미치는 영향에 관심을 갖는 게 첫 번째다. 바뀌는 환경에서는 누구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가르쳐주길 기다리기보다는 직접 그 안으로 뛰어들어가 구체적인 행위를 해야 한다.”
질의 :제조업의 붕괴는 필연적인가.
응답 :“제조업은 최초의 공장이 세워지고 난 이후부터 늘 변화의 압력을 받아왔다. 그러나 앞으로의 압박은 과거와는 사뭇 다를 것이다. 최근의 변화를 관통하는 하나의 트렌드는 반복적인 업무의 자동화다. 로봇과 센서가 놀라울 정도로 정교해지고 있는데다 3D 프린팅 기술 등은 더욱 진화할 것이다. (대규모 생산을 전제로 한 자본집약적 공장 운영과 같은) 현 패러다임은 앞으로의 시대와 맞지 않는다고 본다. ”
질의 :‘생산성’과 ‘고용’의 의미도 달라지나?
응답 :“그렇다. 기존 경제학에서 말하는 생산성과 그것을 측정하는 방식을 새로 찾아야 한다. 앞으로는 생산과 소비에 필요한 한계비용이 크게 낮아질 것이다. 일자리의 총량이 감소할 것이라고 생각하진 않는다. 다만 구조는 확 바뀔 것이다. 저소득 육체노동직과 창의적 업무를 하는 고소득 일자리는 늘어나고, 반복적 업무를 하는 중간소득자의 일자리는 감소할 것이다.”
질의 :인권·윤리 갈등이 더욱 심화될 것이란 우려가 있다.
응답 :“매우 복잡한 사안이다. 정보 공개가 활발해질수록 개인의 사생활에 관한 논쟁은 더욱 심화된다. 우리는 자유와 민주화의 도구라고 믿었던 인터넷이 동시에 무차별적이고 광범위한 대중 감시 수단이 될 수 있음을 깨달았다. 무엇을 수용하고, 어디까지 인정할 것인지에 대해 전문가 집단과 정치 리더, 이해관계자 간에 폭넓은 대화가 필요하다. 어떤 결정이든 인간이 그 중심에 서야 한다.”
질의 :10년 후를 어떻게 상상하나?
응답 :“파괴의 묘미는 우리의 상상을 뛰어넘는 것이 아닐까? 아이작 아시모프의 로봇공학 3원칙은 무려 70년 전에 소개됐다. 그 때의 상상, 즉 인공지능이나 딥러닝 같은 개념이 지금 주류로 떠오르고 있다. 이세돌과 알파고의 대결 이후 한국에서 ‘인간의 패배’를 걱정하는 목소리가 커졌다고 들었다. 그러나 이는 ‘인간 대 기계’ 대결이 아니다. 기계가 인간의 능력을 보완해주고, 더욱 자유로워지도록 돕는다고 보는 편이 옳다. 기술은 우리가 어떤 통제력도 가질 수 없는 초인적인 힘이 아니다. 우리에겐 선택권이 있고, 더 나은 사회적 모델을 찾아나갈 것이라 생각한다. 이제껏 그래온 것처럼.”

 

◆ 클라우스 슈바프(Klaus Schwab)=1938년 독일 출생. 경제학·공학·공공정책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학위를 받았고, 1972년 최연소로 스위스 제네바대학 교수에 임용됐다. 자신이 주창한 다중이해관계자 이론을 바탕으로 1971년 세계경제포럼(WEF, World Economic Forum)을 창립했다. WEF는 각국 정치·경제·산업 리더가 모여 국제적·산업적 어젠다를 구축하는 글로벌 협력기구로 매년 초 스위스 다보스에서 연차총회를 연다.


장원석 기자 jang.wonseok@joongang.co.kr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트위터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61건 19 페이지
밴쿠버 중앙일보 뉴스 목록
   뉴스 제목
게시물이 없습니다.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