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 "푸드뱅크 문 닫게 해달라"... 40년 임시방편, 기부로는 해결 못해
관련링크
본문
한달 새 200만명 찾은 식량지원소... 40년 임시방편 이제 한계
코로나19 이후 이용자 90% 폭증... 30% 이상 식량 바닥
"정치인들 실상 외면... 임시방편 구호가 정부 책임 회피 키워"
캐나다 전역의 푸드뱅크들이 자신들의 존재가 더 이상 필요 없는 사회를 만들어달라고 호소하고 나섰다.
토론토 채식주의자 푸드뱅크가 주도하고 여러 식량지원단체가 동참한 '푸드뱅크 폐업 운동'이 3일 시작됐다.
이번 캠페인은 연말 기부 성수기를 맞아 시민들에게 단순한 식량 기부를 넘어 기본소득 제도 도입을 위한 정치적 행동에 나서줄 것을 촉구하고 있다.
푸드뱅크 캐나다의 최신 보고서에 따르면 2024년 3월 한 달간 캐나다 전역 푸드뱅크 방문자 수가 200만 명을 넘어섰다.
전년 대비 6% 증가한 수치이며,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과 비교하면 90%나 급증한 것이다.
특히 매달 새로 푸드뱅크를 찾는 1만2천 명 중 50% 이상이 정규직 근로자이며, 60% 이상이 전문대학 이상의 학력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고물가 시대에 중산층마저 식량 불안에 시달리고 있다는 방증이다.
급증하는 수요를 감당하지 못해 30% 이상의 푸드뱅크가 식량 부족을 겪고 있다.
1980년대 경제 불황 시기에 임시 대책으로 시작된 푸드뱅크가 40년이 지난 지금까지 운영되고 있다는 점은 저소득과 주거비 문제가 전혀 개선되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구호단체들은 캐나다와 같은 선진국에서 식량 불안정 문제를 자선단체와 기부자들의 선의에 맡겨서는 안 된다고 지적한다.
오히려 푸드뱅크의 존재가 정부의 책임 회피를 돕는 결과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현장에서는 정책 입안자들이 식량 위기의 실상을 외면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푸드뱅크 관계자들이 지역 정치인들과 면담해도 "수고한다"는 말뿐 실질적인 대책은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다.
구호단체들은 당장의 기부도 절실하지만, 시민들이 지역구 국회의원들에게 기본소득 도입을 요구하는 등 정책 변화를 위한 목소리를 내줄 것을 호소했다.
식량 불안정을 겪는 당사자들도 더 나은 긴급 구호가 아닌 근본적인 정책 변화를 원한다는 것이다.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