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 | 보안검증 거부한 폴리에브, 총리 자격 논란 번져 [2025연방총선]
관련링크
본문

‘기밀 거부’ 공세에 보수당 반격…정책보다 자질 검증 전면에
경제·주거 공약 밀린 채 쟁점은 ‘보안검증’…선거전 방향 급변
연방총선 3일차, 피에르 폴리에브 보수당 대표의 ‘기밀정보 접근 거부’ 논란이 정치권 중심으로 급부상하며 선거전 판세를 흔들고 있다. 선거 초반 세금과 물가, 주거 공약 중심이던 각 정당은 이날부터 안보 이슈에 화력을 집중하며 자질 검증으로 전선을 확장했다.
논란의 불씨는 보수당 대표 경선이 진행되던 2022년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인도 정부의 정보기관이 폴리에브 대표의 선거 캠프를 돕기 위해 조직적 개입을 시도했다는 안보 정보국의 평가가 최근 공개되면서, 그가 지금까지 기밀정보 접근을 위한 보안검증을 거부해왔다는 사실이 다시 도마에 올랐다. 정보국은 폴리에브 대표 본인이나 측근이 개입 사실을 인지한 증거는 없다고 밝혔지만, 그간 보안 절차 자체를 ‘입막음’이라며 거부해온 행보는 거센 정치적 역풍을 불러오고 있다.
이날 폴리에브 대표는 온타리오주의 한 미완공 주택단지에서 유세를 열고, 130만 달러 이하 신축 주택에 대해 연방 소비세(GST)를 면제하겠다는 공약을 내세웠다. 하지만 현장 분위기는 냉랭했다. 동원된 건설 노동자 18명을 제외하면 현장 반응은 조용했고, 언론의 관심은 온통 안보 이슈에 쏠렸다.
자그밋 싱 NDP 대표는 “국가 안보를 외면한 채 정당의 정치적 유불리만 따지는 인물이 총리 자격이 있는가”라고 직격했고, 마크 카니 자유당 대표 역시 “국가 주권이 시험대에 오른 시점에 기밀 접근 거부는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쏘아붙였다. 카니 대표는 특히 “국민 앞에 설명할 의무가 있다”며 연일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자유당은 같은 날 핼리팩스에서 안보·국방 관련 정책도 발표했다. 카니 대표는 1만4,500명에 이르는 병력 부족을 시급한 과제로 규정하고, 북극해 작전 강화를 위한 쇄빙선과 잠수함 도입, 국산 철강 사용 확대를 포함한 군수산업 재편을 공약했다. 차세대 F-35 전투기 사업과 관련해서는 미국 록히드마틴과의 기존 계약을 유지하겠다고 밝혔다. 이는 일각에서 제기되는 ‘미국 의존 축소’ 기조와는 거리를 둔 입장이다.
보수당은 안보 공세에 맞서 다시 경제 의제로 회귀하려는 모양새다. 폴리에브 대표는 “자유당 인플레이션”이라는 표현을 거듭 사용하며 자유당 집권기 경제 악화 책임론을 제기하고 있다. 동시에 마크 카니 대표가 퀘벡 방송사 TVA가 제안한 TV토론회를 거절한 사실을 문제 삼으며 “토론에도 못 나오는 사람이 미국 대통령과 마주할 수 있겠느냐”고 비판 수위를 높였다. 그는 TVA가 요구한 참가비 7만5,000달러를 “내가 대신 내겠다”며 공개 도발에 나섰다.
한편, 총선을 앞두고 자유당 중진들의 ‘출마 번복’ 행보도 눈길을 끌고 있다. 지난해 불출마 입장을 밝혔던 션 프레이저 전 연방 주택장관은 마크 카니 대표의 직접 요청을 받고 노바스코샤주 센트럴 노바 선거구에 재출마하기로 결정했다. 앞서 아니타 아난드, 헬레나 재젝, 웨인 롱 의원 등도 같은 방식으로 입장을 바꿨다.
이번 총선은 표면적으로는 세금·주거·안보 등 의제별 공약 대결이지만, 점차 각 당 대표들의 리더십과 판단력, 국가를 위임할 자격 여부를 중심으로 치열한 검증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다. ‘누가 더 나은 미래를 약속하는가’보다 ‘누가 더 신뢰할 수 있는가’가 유권자의 선택을 가를 기준으로 부상하고 있다.
관련 뉴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