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10-22 13:02 조회2,046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그리고 공부 방법과 사회문제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지난 이야기를 생각해보면 새로운 개념을 만드는 것과 그 개념을 현실에 반영해 표현하는 과정에서 사용되는 사고력이 다르다는 뜻으로 해석이 되는데 조금 더 자세하게 설명해 주시겠어요?

   

- 우선 세종대왕의 한글창제로 다시 돌아가서 창조적 사고력에 대한 이야기를 이어가 볼게요. 세종대왕이 한글에 대한 개념을 소리가 나는 원리로부터 생각했다는 것이 제 가설이라고 했죠?

   

◆ 그랬죠.

   

- 이렇게 소리가 나는 원리를 생각할 수 있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요? 

   

◆ 글쎄요? 누구든 소리가 나는 원리를 생각할 수 있지 않을까요? 

   

- 누구든 소리가 나는 원리를 생각할 수 있었다면 한글창제의 원리를 이미 다 찾아서 그 내용을 발표할 수 있었어야 하지 않을까요? 

   

◆ 그 말씀은 소리가 나는 원리를 찾는 것이 어렵다는 뜻인가요? 

   

- 예. 아주 어려워요. 한글창제 후 500년이 넘게 흘렀음에도 사람들은 그 원리를 정확하게 찾아내지 못했어요.

   

◆ 한글창제의 원리에 대한 내용은 인터넷에서 쉽게 찾을 수 있는데 원리를 찾지 못했다면 그러한 내용을 접할 수 없어야 하는 것 아닐까요? 

   

- 한글창제의 원리를 적은 글들을 읽어보셨어요? 

   

◆ 예. 예를 들면 모음은 소리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분석해서 글자를 만들었다거나 둥근 하늘이나 땅의 모습을 글자의 모양에 반영했다는 정도는 기억나는 것 같아요. 

   

- 하늘의 모양이나 땅의 모습을 글자에 반영했다면 이러한 글자를 소리글자라고 할 수 있을까요? 

   

◆ 아니요. 모양을 바탕으로 만든 글자인 한문과 다르지 않다고 봐야겠죠. 

   

- 그러면 소리를 분석해서 글자를 만들었다는 것이 소리가 나는 원리를 반영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 그것도 아닌 것 같아요. 소리가 나는 원리와 소리 자체는 조금 다른 것 아닐까요? 

   

- 맞아요. 스피커에서 나는 소리를 초성 중성 종성으로 나눠 분석한다 해도 스피커가 소리를 내는 원리를 파악하기는 어렵죠. 마찬가지로 인간의 폐로부터 나오는 공기의 흐름과 성대를 포함한 주변 근육의 상호작용을 통해 소리가 나는 원리는 아직도 과학자들이 풀어가고 있는 과제의 하나예요. 

   

◆ 그 말씀은 세종대왕은 그 원리를 풀었다는 뜻인가요? 

   

- 저는 그렇게 봐요. 소리가 나는 원리를 풀지 않고서는 소리글자를 만들 수 없었을 테니까요. 

   

◆ 그러면 왜 그 과정은 역사에 나와 있지 않은 것일까요? 

   

- 답은 간단해요. 대부분의 사람들이 그 개념을 소화할 수 있을만한 두뇌능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이죠. 

   

◆ 반대로 세종대왕이 자신이 찾은 소리의 원리에 대한 개념을 다른 사람들에게 설명하지 못했을 가능성은 없나요? 

   

- 그랬다면 승려든 학자든 시켜서 한글을 창제하지 못했겠죠. 세종대왕은 어떻게든 글자를 만드는 작업에 참여한 사람들에게 자신이 찾은 소리의 원리를 설명하고 그것을 반영해서 글자를 만들도록 했을 것으로 생각되고 또 만들어 냈다는 말은 적어도 한글창제에 관여한 사람들만이라도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을 할 수 있었다는 뜻이라고 저는 해석해요. 아인슈타인이 상대성 이론의 개념을 창조하고 그것을 아내의 수학적 능력을 통해 정리할 수 있었던 것과 같은 맥락에서 보시면 될 것 같아요. 

   

◆ 그럴 수 있겠네요. 아인슈타인의 아내는 한글창제에 참여한 승려 또는 학자들로 볼 수 있겠네요. 그러면 500년 이상의 세월이 흘러 엄청난 과학기술의 발전을 이룬 현재에도 사람들이 한글창제의 원리를 정확하게 찾아내지 못했다는 것은 결국 세종대왕 한 사람의 두뇌능력을 따라잡을 수 있는 사람이 아직도 나오지 못했다는 뜻인가요?

   

- 그렇다고 볼 수 있죠. 앞서 예를 든 한글창제에 대한 영화 기억나시죠? 승려들이 한글을 창제하는데 있어서 주도적인 역할을 한 것으로 표현된 영화요. 

   

◆ 예. 저도 봤어요. 

   

- 그 영화의 시나리오를 만든 작가나 제작자들은 왜 승려들이 주도적으로 한글창제를 했을 것으로 생각했을까요? 

   

◆ 글쎄요? 

   

- 창조적인 두뇌능력이 무엇인지 본 적도, 들은 적도 없고 나아가 사용은 아예 해 본 적이 없으니 세종대왕이 개념을 만들었을 것이라는 추측도 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저는 봐요. 

   

◆ 그 말은 역사를 기록하는 사람들도 세종대왕의 소리글자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지 못했기 때문에 개념을 창조하는 과정을 기록할 수 없었고 그로인해 후대에 역사를 읽는 사람들도 세종대왕이 소리글자에 대한 개념의 정립과정은 보지 못한 채 기록에 남겨진 글자를 만드는 과정만을 바탕으로 판단을 했기 때문에 세종대왕의 한글창제과정을 마치 승려들이 했을 것으로 착각하도록 만들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뜻으로 들리네요. 

   

- 맞아요. 그만큼 창조적 사고를 통한 새로운 개념은 사람들이 쉽게 따라잡을 수 없어요. 현재 물리학을 전공하는 학생들도 상대성 이론에 들어가면 고전을 면치 못할걸요. 

   

◆ 세종대왕이나 아인슈타인의 경우는 그렇다고 볼 수 있을 것 같은데 애플을 창시한 스티브 잡스의 경우는 꼭 그렇지는 않잖아요. 민 박사님도 스티브 잡스를 천재들 중 하나로 꼽았던 것으로 기억하는데요. 

   

418650095_HzGWYOQm_27abdbceb1a33f7e855e79cbe0fd4f133fe715c9.pn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0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2011
42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14
4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봉총 금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15
4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018
4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2021
4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3
4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024
419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건강하게 여행 떠나는 방법, 무엇일까요 ?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4
41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잔소리를 참는 부모 vs 잔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부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24
4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5
4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26
4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32
414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039
41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40
41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43
4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44
4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44
4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45
40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46
407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47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47
4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47
4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050
4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53
4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53
4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2054
4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름이나 지식에 얽매이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55
39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62
398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64
3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65
396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69
3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2069
3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72
3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73
39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76
3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76
390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77
38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77
3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81
387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82
3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85
3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88
3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89
38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94
38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95
3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97
3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98
3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98
37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101
3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103
37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03
37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103
3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105
3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109
3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111
3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116
3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119
3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120
3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31
3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3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