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10-27 13:48 조회86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 지금까지의 이야기들이 조금 헷갈려요. 집착과 중독은 다르다고 하시면서 또 그 근원은 같은데 같지 않다고 하시는 것 같거든요. 뭐가 뭔지 도통 알기 어려운 것 같아요. 

   

- 그럴 수 있어요. 아직 다 이야기 한 것이 아니니까요. 우선 집착에 대해서 조금 더 설명을 해 볼까요? 그리고 난 후 중독과 비교를 해 보면 더 명확해지지 않을까 하거든요. 

   

◆ 예. 일단 제가 이해한 걸로는 집착이 타인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는 사회문제를 야기할 수 있는데 그 이유가 스스로 목적 또는 목표를 성취하지 못하는 데에서 온다고 보여요. 맞나요? 

   

- 맞아요. 여기서 집착과 중독을 뚜렷하게 구분하기 위해서는 한 가지 더 추가하면 돼요. 바로 ‘스스로 만든 목적이나 목표’의 여부죠. 

   

◆ 목표나 목적을 자신에 세운 것이냐에 따라 집착과 중독이 나뉜다는 뜻으로 들리네요. 

   

- 맞아요. 그것이 가장 중요한 요소에요. 

   

◆ 앞서 동물적 두뇌와 인간 고유의 두뇌능력의 차이를 언급했었는데 사자가 사냥을 한다는 것도 스스로 목표를 세운 것 아닌가요? 집착도 마찬가지로 자신이 게임을 하겠다는 목표를 세운 것이고요. 

   

- 물론 사자의 경우 사냥감을 선택하고 사냥하고자 하는 목표가 있죠. 하지만 동물들은 본능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지 스스로 어떤 사냥감을 왜 사냥하는지 이유를 가지고 사냥을 하지는 않아요. 

   

◆ 그럴 것 같기는 해요. 그렇다면 게임을 하는 경우도 자신이 목표나 목적을 세운 것이 아니라 본능적으로 하는 경우 집착이 된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바로 그 점이 핵심이에요. 

   

◆ 어떤 본능이죠? 사자야 사냥을 해야 먹을 것이 생기니까 한다고 하지만 게임은 그렇지 않잖아요. 

   

- 바로 즐거움이에요. 즐거움에 집착하는 것이죠. 사자 새끼들이 사냥방법을 놀이를 통해 익힐 수 있는 이유가 재미있기 때문이라고 했잖아요? 그것과 마찬가지로 도박을 포함해 게임 자체가 즐겁기 때문에 즐거움에 집착하는 것이죠. 

   

◆ 정리하자면 중독이나 집착 모두 즐거움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라는 공통점이 있는데 이 둘이 나뉘는 것은 목표가 내가 세운 목표인지의 여부에 달려있다는 뜻인가요? 

   

- 정확하게 보셨어요. 

   

◆ 하지만 게임을 하는데 있어서 목표라는 것이 있을 수 있나요? 게임은 누군가가 만들어서 제공하는 것이잖아요. 

   

- 누군가가 만들어 놓은 게임을 하지만 게임을 할 때 목표를 세우는 것은 게임을 하는 당사자잖아요. 그러니까 차이가 있을 수밖에 없죠. 

   

◆ 그러면 목표를 세우는 데 어떤 차이가 있나요? 

   

- 먼저 집착의 경우에는 ‘즐거움’이 목표인 경우라고 볼 수 있어요. 

   

◆ 너무 당연한 이야기 아닌가요? 게임이야 즐겁기 위해 하는 거죠. 

   

- 하지만 목표가 즐거운 시간을 보내기 위해서라면 어떨까요? 즐겁기 위해 게임을 하는 과정에 목표를 이루고자 하는 생각이 따로 있을까요? 

   

◆ 있지 않을까요? 예를 들어 내가 지난번 게임에서 2단계로 넘어가지 못했다면 이번에는 2단계를 넘어가겠다고 게임을 한다면 2단계로 넘어가기 위해 방법을 고민할 테니까요. 

   

- 지금 이야기하신 예에서 게임을 하는 진짜 목표가 뭘까요? 단순히 즐거움일까요? 

   

◆ 아니요. 다음 단계로 넘어가야 즐거움을 느낄 수 있을 테니까 다음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목표라고 볼 수 있죠. 

   

- 그렇죠. 그러니까 즐거움을 얻기 위해서는 즐거움 전에 이뤄야 할 목표가 또 있는 셈이죠? 

   

◆ 그러네요. 이야기를 듣고 보니 단순히 즐겁기 위함이 아니라 내가 이루고자 하는 목표를 성취했을 때 즐거움을 느끼는 것이네요. 

   

- 그 부분이 중독과 집착의 차이에요. 중독은 자신이 이루고자 하는 목표가 있어요. 예를 들어 오늘 게임에서는 꼭 ‘3단계 까지 통과하겠다!’와 같은 목표와 의지가 있죠. 

   

◆ 그러면 집착은요? 

   

- 그냥 게임이 즐거우니까 해요. 또 학생의 경우 공부는 싫고 다른 할 일도 없으니까 그나마 즐거운 게임을 하는 거죠. 

   

◆ 조금 이해가 가지 않는 것이, 앞서 집착은 스토킹과 같은 형태로 나타나 타인에게 직접적인 위해를 가하게 된다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즐겁기 위해 게임을 하는 경우에는 타인에게 위해를 가하는 것으로 보이지는 않거든요. 조금 상반된 내용 아닌가요? 

   

- 단편적으로 보면 그렇죠. 하지만 동물적 본능인 즐겁고자 하는 욕망을 채우는 용도로서 게임을 하다보면 점차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더 강해져요. 그런 상황이 이어지면 더 강한 자극을 위해 게임의 세상을 현실에 적용하게 될 가능성이 늘죠. 

   

◆ 혹시 총을 난사해서 사람들을 죽이는 사건을 의미하시는 건가요? 

   

- 맞아요. 도박이나 전자게임을 포함해 모든 게임을 즐겁기 위해 한다면 점차 동물적 본능인 즐거움이라는 덫에 빠지게 되고 그 덫에 빠질수록 더 강한 자극을 원하게 되어 사회로부터 비난을 받을만한 사건의 주인공이 될 가능성이 커지죠.

   

◆ 얼마 전 ‘박사방’이라는 사건이 있었는데 그 안에서 사람을 괴롭히는 강도가 시간이 갈수록 점차 세졌다고 들었거든요. 이러한 현상도 ‘즐거움’을 찾기 위한 욕망이 강해져서 인가요? 

   

- 맞아요. 같은 자극으로는 더 이상 즐겁지 않으니까 더 강한 자극을 찾는 거죠. 

   

◆ 그러면 중독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366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44
3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46
3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146
3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49
3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52
3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2153
3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53
35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157
3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60
35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62
35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62
3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9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2163
3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2164
3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66
3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70
3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73
350 새롭게 개정된 AP Physics 시험제도, 어떻게 바뀌었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173
3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175
3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2175
34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175
34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77
3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80
3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181
3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83
34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인간의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감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187
3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192
34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194
3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94
338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곤경 처한 사람들의 다른 선택, 인간 본성에 대한 고민 다시 해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96
33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198
3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202
3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사람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자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209
3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211
3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217
33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217
3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18
3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23
32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25
3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35
3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40
3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41
3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46
3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248
3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55
322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256
3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57
3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57
319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58
3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64
3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66
3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69
315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한 가족된 지구촌, 은퇴 이후 삶 - 어디가 좋을까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70
3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70
31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71
3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81
3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83
3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89
3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295
3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297
3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배론 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30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