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1-09-30 07:36 조회97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그리고 공부 방법과 사회문제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지금까지의 내용을 정리해보면, 본다는 것은 눈이 빛을 받아들이고 그 빛에 대한 신호를 전기신호로 바꾼 다음 그 전기신호를 두뇌가 다시 영상으로 만든다는 것이잖아요? 그리고 이 과정에서 가끔은 오류가 생기기도 한다는 뜻이고요. 그렇다면 오류는 어디에서 오는 것인가요? 

   

- 인간뿐 아니라 모든 생명체가 신호를 처리하는 방식은 디지털이 아니라 아날로그예요. 

   

◆ 무슨 뜻인가요? 둘 사이에 차이가 있나요? 

   

- 아주 크죠. 디지털의 경우에는 정확도가 높고 또 처리속도도 빨라요. 요즘 컴퓨터가 발전하는 속도를 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죠. 

   

◆ 그러면 아날로그는요? 

   

- 처리속도가 느리고 가끔은 정보에 오류가 생기기도해요. 

   

◆ 그러면 디지털이 훨씬 더 뛰어난 것이네요.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인공지능이나 컴퓨터 그리고 로봇이 인간보다 뛰어날 수밖에 없다고 해석이 되기도 하고요. 정말 그렇게 보세요? 

   

- 그럴까요? 조금 더 이야기를 해 보면서 그 질문에 대한 답을 찾아보죠. 

   

◆ 예. 그러면 이 질문은 어떤가요? 디지털 방식으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더 정확하고 빠르다면 컴퓨터나 로봇이 인간보다 진화한 형태의 물질이라고 봐야하는 것인가요? 컴퓨터나 로봇을 생명체라고 볼 수는 없으니까 물질로 표현하기는 했는데 어쨌든 제 뜻은 인간을 넘어 진화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는지를 묻는다고 보시면 될 것 같아요. 

   

- 어떤 의미인지 이해해요. 이렇게 생각해보죠. 컴퓨터는 주어진 정보를 빠르고 정확하게 처리해요. 그래서 최근 몇 년 사이 인공지능이라는 새로운 영역이 만들어졌잖아요? 그리고 바둑이라는 게임뿐 아니라 소설을 쓰는 것 그리고 심지어 질병을 진단하는 과정에서 인간보다 정확할 수 있다는 이야기도 나오고요. 

   

◆ 들어봤어요. 그리고 일상생활 속에도 들어와서 우리가 사용하기도 하죠. 하지만 가끔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 인공지능의 이야기를 접하면 무섭기도 해요. 

   

- 왜 인공지능이 인간의 능력을 넘어선다고 생각하세요? 

   

◆ 그야 게임이나 질병의 진단과 같은 전문가의 영역에서도 인간보다 앞서는 경우가 있으니까요? 

   

- 그러면 게임 하나만 예로 들어 이렇게 질문을 해 볼게요. 게임이란 무엇일까요? 

   

◆ 글쎄요? 바둑을 예로 들면 주어진 규칙에 따라 경쟁을 해서 이기는 것이겠죠. 

   

- 주어진 규칙에 따라 경쟁을 한다는 것은 규칙이 없으면 경쟁을 할 수 없다는 뜻이겠죠? 그렇다면 규칙이 없는 경우 컴퓨터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일까요? 

   

◆ 규칙이 없으면 할 수 있는 것이 없겠죠. 규칙이 있어야 경쟁을 할 수 있고 그래야 승자가 생길 수 있잖아요. 인간도 마찬가지고요. 최근 넷플릭스에서 오징어 게임이라는 시리즈물을 봤는데 이 드라마에서도 게임과 게임에 적용되는 규칙이 있고 그 규칙에 따라 경쟁하면서 생존하거든요. 다만 항상 게임에 유리한 사람들이 생존하는 것은 아니더라고요. 주인공을 포함해서요. 

   

- 게임에 유리한 사람들이 생존하는 것이 아니라는 말은 무슨 뜻이죠? 

   

◆ 예를 들면 줄다리기를 하는데 힘의 차이가 월등함에도 지략을 써서 이기는 내용이 있거든요. 그러니까 항상 유리할 것이라고 생각되는 쪽이 이기는 것은 아니라고 보여요. 

   

- 지금 지략이라고 하셨는데 이 지략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요? 

   

◆ 그 순간 이기기 위한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는 것이죠. 

   

- 만일 이러한 새로운 방법이 알려지고 나면 다음 게임에서는 어떤 현상이 벌어질까요? 

   

◆ 글쎄요. 정확하게 무엇을 묻는지 모르겠지만 다음 게임에서는 새로운 방법이 알려졌으니까 그것을 바탕으로 더 새로운 작전을 세우지 않을까요? 

   

- 그렇겠죠? 여기서 질문을 하나 더 드려볼게요. 인공지능과 인간이 줄다리기를 한다면 이러한 상황에서 어떤 일이 벌어질까요? 물론 전제는 인간과 인공지능이 가진 힘의 차이가 크지 않다고 가정하고요. 

   

◆ 글쎄요? 줄다리기라는 것이 상대팀이 힘을 쓰는 방법 또는 상대팀이 어떻게 구성이 되어있는지에 따라 능동적으로 대처를 해야 하는 게임이라 인공지능이 쉽게 이길 수 있을 것 같지는 않아요. 하지만 경험을 통해 모은 데이터를 분석하면 시간이 갈수록 인공지능이 이길 확률이 높지 않을까요? 더 정확하고 빠르잖아요. 그러니까 예상을 할 수 있고 예상에 따라 대비도 할 수 있을 것 같거든요. 

   

- 저도 그렇게 봐요. 그 말은 데이터가 많이 쌓이면 쌓일수록 인공지능이 훨씬 더 유리할 수밖에 없다는 뜻이겠죠? 분석도 빠르고 정확할 테니까요? 

   

◆ 예. 당연히 그럴 것 같아요. 그러니까 바둑도 그렇고 질병에 대한 진단도 인공지능이 더 정확할 수 있다는 이야기가 나오는 것 아닐까요? 

   

- 하나 더 보태자면 인공지능이 쓴 소설이 문학상 후보로까지 올라간 경우도 있다고 해요. 어쨌든 여기서 질문해 볼게요. 인간의 두뇌능력은 무엇일까요?

   

◆ 글쎄요? 모아놓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접근법을 찾아 경쟁에서 이기는 것 아닐까요? 

   

- 아니요. 진짜 인간의 두뇌는 그 이상이에요. 이렇게 생각해보죠. 바둑이라는 게임 또는 줄다리기라는 게임은 누가 만들었을까요? 

   

◆ 인간이 만들었죠. 

   

- 인공지능이 이러한 게임을 만들 수 있을까요? 

   

◆ 주어진 방식대로 정보를 처리하는 것이 인공지능인데 그렇지는 않겠죠? 혹시 인간의 새로운 게임을 창조할 수 있는 능력이 아날로그 식으로 정보를 처리하기 때문이라는 이야기를 하시려는 건가요? 

   408253482_u16mekv8_cb0f92f9518f71b0617e8187db2148193340c2aa.pn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3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73
2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78
2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92
2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501
2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504
24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1
2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3
23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516
2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로왕비 허황옥은 인도에서 왔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2517
23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21
2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엘니뇨와 BC주 가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3 2522
2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7년도 과학계 10대 이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523
234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의 공부 방법 종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1 2524
233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528
23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28
23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531
23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36
22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37
2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시간이란 무엇인가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2538
2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539
22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541
22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공부의 핵심,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543
2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44
2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50
2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사고력은 두 개의 다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2561
2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62
2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63
219 [CELPIP의 모든 것] '북미식 발음, 스피킹은 ‘인터뷰’ 아닌 컴퓨터 ‘레코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563
2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공부, 그리고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2564
2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컴퓨터 과학의 아버지 앨런 튜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564
2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2568
2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68
214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2569
21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73
2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80
2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84
2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이트데이 아니 파이데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585
20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86
2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2590
2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노벨상의 이모저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92
2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하와이 노동 이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8 2593
2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옥시데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594
20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98
2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쌍둥이 패러독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2602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핏줄 김유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603
2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밤 하늘은 왜 어두울까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2603
2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06
1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610
19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618
197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도록 훈련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2623
1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외핵의 흐름과 지구 자기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630
1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 왕궁 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632
194 헬륨 가스의 음성 변조, 그 이면에 숨은 과학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2644
1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45
19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개념을 연결하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653
191 [CELPIP 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2657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88
1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90
1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무구정광대다라니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693
1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9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