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2-01 14:49 조회372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 언어 단어들의 조합으로 새롭게 표현하는 과정에서 발달한다고 하신 것 같은데, 구체적으로 설명해 주실 수 있나요? 

   

- 일단 이렇게 생각해보죠. 사자와 호랑이라는 단어가 있어요. 이 둘이 싸우고 있는데, 이 상황을 표현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 사자라는 단어와 호랑이라는 단어는 있으니까 싸움을 표현하는 단어만 추가하면 되겠네요. 

   

- 그것보다 더 중요한 단계가 있어요. 바로 사자하고 호랑이를 연결을 하는 과정이죠. 

   

◆ 그거야 너무 쉬운 것 아닌가요? 두 단어를 나열만 하면 될 것 같은데요. 

   

- 인간에게는 쉬워 보이지만 신호로 의사소통을 하는 동물들에게는 그렇지 않아요. 만약 그것이 가능했다면 원숭이들도 어느 정도 말을 할 수 있어야겠죠. 원숭이의 신호체계가 언어로 발전하지 못한 이유도 두 개 이상의 단어를 조합해서 새로운 표현을 만드는 것이 힘들기 때문이거든요. 

   

◆ 그러면 인간에게는 왜 쉽게 느껴지죠? 아이들에게 새로운 단어를 만드는 것은 재미있는 놀이인데, 어렵다면 놀이가 될 수 없잖아요. 

   

- 인간이 이 세상에 나온 이후 두뇌는 계속 진화해 왔죠. 처음 나무와 돌을 식물 줄기로 서로 묶어서 돌도끼를 만들었을 때 그 과정이 쉽지는 않았겠죠? 그런데 시간이 지나면서 어떻게 바뀌었을까요? 

   

◆ 쉬워졌겠죠. 

   

- 마찬가지로 처음에는 단어와 단어를 연결하는 것이 어려웠을 수 있어요. 마치 운전을 처음 배울 때처럼 말이죠. 하지만 자꾸 반복하면서 익숙해지고, 익숙해지면서 힘들이지 않고 할 수 있게 된 거죠. 운전에 익숙해지면 몸이 자연스럽게 움직이잖아요. 

   

◆ 그러니까 처음에는 어려웠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익숙해져 어려서부터 쉽게 할 수 있게 되었다는 뜻이군요? 

   

- 예. 그것이 진화예요. 원숭이에게 나무 막대기로 곤충을 잡아먹는 기술을 익히는 과정은 수년이 걸린다고 해요. 그런데 인간은 훨씬 빠르게 익힐 수 있어요. 이런 것과 비슷하다고 보면 되죠.

   

◆ 어느 정도 이해가 갈 것 같아요. 그런데 언어의 발달이 단어와 단어를 합치는 능력이라면 이렇게 많은 지식들은 어떻게 설명할 수 있나요? 

   

- 그것이 또 다른 단계로 언어가 진화하는 과정이에요. 

   

◆ 언어의 진화에 단계가 있나요? 

   

- 그럼요. 단어와 단어를 조합해서 새로운 합성어를 만드는 과정은 언어 발달의 가장 기초적인 단계예요. 그것만으로는 지금처럼 언어가 다양해지지는 않죠. 

   

◆ 몇 개의 단계가 있나요?

   

- 일단 크게 4단계로 나눌게요. 지금 이야기한 단어와 단어를 합쳐서 신조어를 만드는 것을 제외하고요. 

   

◆ 단어를 합치는 것은 언어 발달에 넣지 않으세요? 신호에서 언어로 넘어오는 한 획을 긋는 것이라고 하신 것 같은데요? 

   

- 단어와 단어를 합치는 것은 신호와 언어의 중간단계예요. 언어와 신호를 구분 짓는 단계는 따로 있죠. 

   

◆ 그런데 아이들 뿐 아니라 개그맨들 또는 연예인들도 신조어를 만들어 유행을 시키잖아요. 이 사람들이 하는 것이 아직 언어의 단계가 아니라는 뜻인가요? 

   

- 맞아요. 그러니까 이런 유행어들을 어린 초등생들이 좋아하죠. 어른들 중에는 이런 신조어를 유치하다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을걸요? 

   

◆ 그럴 것 같기도 하네요. 그러면 진짜 언어의 시작은 어디부터인가요? 

   

- 아이들이 어렸을 때 가장 많이 하는 질문이 뭔지 아세요? 

   

◆ 이것저것 알고 싶어서 묻는 거죠. 

   

- 바로 여기부터가 진짜 언어예요. 새로운 정보를 찾아서 지식으로 저장하고자 하는 욕망에서 시작되는 지식 탐구기능이죠. 

   

◆ 지식의 탐구기능과 언어가 어떻게 연결될 수 있죠? 

   

-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면 제일 먼저 무엇을 해야 할까요? 

   

◆ 글쎄요? 생각해 본적 없어서 모르겠네요. 

   

- 이름을 짓는 거죠. 새로운 지식이니 새롭게 부를 이름이 필요하거든요. 

   

◆ 그래서 인간의 지식이 늘어나는 것인가요? 

   

- 예. 지식이 폭발적으로 늘어나요. 아이들이 지식의 욕구를 충족하고자 계속해서 질문을 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어요. 여기서부터는 기존에 존재하는 것에서 만족하는 것을 넘어 새로운 지식을 계속해서 탐구하죠. 

   

◆ 정리를 잠간 하고 가자면, 앞서 단어를 조합해서 새로운 것을 만들어내는 것은 기존의 것을 이용하는 것이니까 실제 새롭다고 할 것이 별로 없지만, 새로운 지식을 찾는 것은 말 그대로 몰랐던 것을 알아가는 과정일 뿐 아니라, 새로운 이름을 붙이는 과정에서 언어도 함께 발달한다는 뜻인가요?

   

- 바로 그 점이에요. 그리고 하나가 더 추가되죠. 언어의 발달은 있는 것을 조합해서 사용하는 과정에서 발달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지식을 발견했을 때 그것에 이름을 붙이고 다음으로 지식을 발견한 과정을 구체적으로 설명할 때 발달해요. 

   

◆ 그렇게 보자면 실제 언어의 발달을 만들어 가는 사람들은 제한적이지 않나요? 새로운 지식을 발견하는 사람들, 그리고 그 과정을 설명할 수 있는 사람들이 그렇게 많지는 않잖아요?

   

- 꼭 그렇지는 않아요. 새로운 지식을 찾는 것은 누구나 일상에서 가능해요. 예를 들면 라면을 끓일 때, 기존의 방법이 아닌 새로운 방법을 찾아 끓이는 것도 새로운 지식을 찾아내는 것이니까요. 

   

◆ 그러면 어떤 것이든 내가 새롭게 찾아낸 것이 있으면 그것이 언어 발달과 연결이 된다는 것인가요? 

   

- 그럴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어요. 중요한 것은 자신이 찾은 방법을 언어를 사용해 어떻게 설명을 하는 지에 달려 있으니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1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7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685
66 8월 1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양극화라는 불씨에 기름을 붓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558
65 [헤럴드 코튀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8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546
64 8월 2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570
63 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634
62 9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에도 종류가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9 493
61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636
60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0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620
59 9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형태의 천재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619
5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1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570
57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의 아이디어를 판단할 수 없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552
56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2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534
55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고통과 괴로움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기 때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489
54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3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512
53 10월 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든 인간은 천재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다만 사회가 천재성을 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575
52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54.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542
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505
50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5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521
49 10월 2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546
48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6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527
47 10월 2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563
46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7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527
45 11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85
44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8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80
43 11월 1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3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442
42 [헤럴드코퀴틀람]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59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454
41 11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4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539
40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를 준비중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필수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418
39 11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555
38 [아이엘츠공식시험센터]아이엘츠, 셀핍 시험을 준비중이시라면 꼭 필요한 어휘 시리즈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466
37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471
36 [헤럴드아카데미] 셀핍 Writing문제 답안작성 꿀팁!! 함께 풀어보세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568
35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62
34 [아이엘츠IDP공식시험센터] 아이엘츠 기초반 수업에서 배우는 어휘! 사람의 외모 및 성격 관련 어휘,표현에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385
33 12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목표를 만들 수 있는 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619
32 [헤럴드코퀴틀람] 아이엘츠 Writing 관련 빈출문제를 통한 문장 작성 방법~!! 라이팅 공부 중이시라면 …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445
31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77
30 <왕초보 영어회화>공손한 표현 "Would you like to~" 쉽게 쓰고 계신가요??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595
29 12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높은 시험성적은 두뇌가 지식의 노예화가 되었다는 증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487
28 1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꿈을 이루기 위한 삶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428
27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510
26 기초 영어 회화 <날씨와 관련된 필수 패턴> "지난 밤에 진눈깨비가 내렸어요." 를 영어로~~????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403
25 1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 전달에 중점을 둔 교육으로는 보물을 찾을 수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424
24 아이엘츠 제대로 공부하기/에세이를 쓰실때 유용한 표현들과 함께 라이팅 점수도 챙겨보세요~!!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6 399
23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462
22 2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신호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96
열람중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73
20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441
19 2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언어와 두뇌 발달의 핵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411
18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439
17 3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시험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535
16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465
15 3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는 직장,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459
14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52
13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411
12 4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을 가진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384
11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76
10 4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신호 체계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과 사회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327
9 5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도구로서의 언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30 277
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랑에 눈이 머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25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