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1-03 09:14 조회2,647회 댓글0건

본문

 

 

[794년 여름, 스님의 나이 99세, 갑자기 제자들을 불러 고별하니 어찌할 바를 몰랐다. 산이 울고 돌이 떨어지며 감정이 없는 것도 슬퍼했다. 돌아가신 사실을 알리는 비구니가 와서 미처 말하지 않았는데, 절에서 종을 쳤지만, 소리가 없고 맨땅에 떨어졌다. 

 

스님의 육신을 석함 안에 결가부좌의 자세로 모시기를 3년이 지나, 함을 열고 탑에 모시려고 하니, 얼굴이 살아 계실 때와 같았으며, 옮길 때 골절이 움직여 쇠사슬 소리가 났다. 

 

때는 813년, 내가 산 아래 살면서 어려서부터 보고 들은 것을 삼가 기록한다.]                                                                                                 <음력 7월 15일 비관경이 기록함> 

 

김교각이 절을 창건하는 과정에서 민양화라는 지역 유지가 자신 소유의 구화산 토지를 내놓게 되는데, 민영화는 평소에 심성이 착하고 주변에 베풀기를 좋아했던 사람이다. 그는 김교각의 마음에 감동하여 땅을 내놓고 그의 아들은 출가하여 도명법사가 되어 김교각의 제자가 되었다고 한다. 그래서 지금도 지장보살 양측에는 민양화와 그의 아들인 도명법사의 상이 모셔지고 있다. 

 

김교각의 인품을 알 수 있는 시 두 편이 ‘전당시(당나라 때의 시 모음집)’에 실려 오늘날까지 널리 읽히고 있다. 그 첫 번째가 수혜미라는 시인데, 이는 김교각이 구화산을 찾았을 때, 허기진 몸을 이끌고 길을 물으려고 오용지라는 사람의 집에 들렀을 때 지은 시다. 오용지는 여러 날을 굶어 힘들어 보이는 김교각에게 쌀을 주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보답으로 김교각은 시를 지어 오용지에게 주었다. 이 시는 중국 오씨 문중의 족보에 기록되어 지금까지 전해지고 있다. 특히 힘든 수행을 하는 자신의 마음 자세와 도움에 대한 고마움을 담담하게 표현한 시다. 

 

<수혜미>

 

쌀의 고마움을 느끼며 

 

황금 수레 버리고 거친 베옷 걸친 후,

수행하려고 바다 건너 구화산에 왔네.

이 몸 원래 신라 왕의 아들이었지만,

수행의 길에서 오용지란 사람을 만났네.

문 두드려 미처 다른 이야기도 못 했는데

어제는 쌀을 보내주고, 새벽밥까지 지어줬네.

오늘은 황금 같은 저녁밥까지 먹었으나,

배가 부르니 어제의 배고픔 모두 잊어버렸네.

 

다음 시는 수행하려고 산에 올라왔다가 고된 수행을 이기지 못하고 산을 떠나는 아이(동자승)를 바라보는 스님의 애틋하고 인자한 마음을 깊게 느낄 수 있다. 

 

<송동자하산>

아이를 산에서 내려보내며 

 

절간이 쓸쓸하여 네가 집 생각을 하는구나.

운방(승려가 거처하는 방)을 떠나, 구화산을 내려가는구나.

네가 대나무 난간에서 죽마 타고 노는 것에 대해 곧잘 물어보더니,

부처님의 황금 땅에서 황금 모래 모으는 일도 싫어졌구나.

샘물 길으며 시냇가에서 하던 달구경도 그만두고,

찻사발 안에 놓인 꽃을 보고 즐기는 것도 그만두게 되는구나.

잘 가거라, 부디 눈물은 자주 흘리지 말아라.

노승은 이제 안개와 노을을 벗하리라. 

 

그의 수행은 점차 사람들에게 알려졌고 신라에까지 명성이 전해졌다. 이에 많은 사람이 바다를 건너와 그를 만나려 했다. 신라에서 사신으로 온 그의 외숙 소우와 소보도 찾아왔는데, 그의 불심에 감동하여 돌아가지 않고 구화산 기슭에 암자를 짓고 머물렀다고 한다. 훗날 두 사람이 세상을 떠난 후에 사람들이 그들이 거주한 곳을 이성전으로 만들고 그들의 상을 만들어 공양했다고 한다. 

 

또한, 두 사람이 돌아오지 않자 애가 탄 김교각의 어머니가 직접 찾아왔는데, 모자가 서로를 보고 희비가 교차하여 며칠 밤낮을 울다가 그만 어머니의 눈이 멀었다고 한다. 이에 김교각이 매일 화성사 앞의 샘물을 떠다 두 눈을 씻겨주었고 얼마 후에 광명을 되찾았다고 한다. 후세 사람들이 그들의 일화를 기념하기 위해 석탑을 쌓은 후 ‘낭랑탑’이라고 하고, 샘물의 이름을 ‘명안천’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그 유적이 지금도 남아 있다. 

 

김교각을 석지장 혹은 김지장으로도 불린다. 그의 교화로 화성사는 신도 수가 늘기 시작했고 구화산의 개산조사(처음으로 절을 세운 사람을 가리키는 말)가 되었다. 뒤에 육신 공양을 하여 지장보살의 화신으로 받들게 되었다. 그의 덕분으로 구화산은 지장보살의 성지로 알려지고, 보현보살의 성지인 아미산, 문수보살의 성지인 오대산, 관세음보살의 성지인 보타산과 더불어 중국 4대 보살 성지중 하나가 되었다. 

 

생전에 어떤 사람이 그에게 “언제 신라로 돌아갈 겁니까?”라고 물었는데, 그는 “1,300년 후에 돌아갈 것이다”라고 예언했다고 한다. 그래서 그의 말에 따라 1997년 탄신 1,300주년을 기념하여 화성사가 경주 불국사에 그의 입상을 기증했다고 한다. 불국사 무설전에 그의 입상이 모셔져 있다.

 

 

한중 양국 불교계는 수교 15주년을 맞아 2007년 한중교류의 해를 기념하여 김교각 스님 입상을 좌대와 불신, 광배를 포함 2.5m 규모의 입상을 제작하여 2007.11.20 안후이성 츠저우시 주화산(구화산) 육신보탑에서 ‘김교각 지장보살 한국 봉안’을 위한 중국 정부 차원의 공송 법회를 봉행하였고, 다음날 한국으로 운송되어 2007.11.23. 서울특별시 삼성동 봉은사에서 ‘김교각 지장왕보살 입상 한국 봉안 한중 합동 법회’가 개최되었으며 입상은 동국대 정각원에 모셔졌다.

   

6d51cf79221d72e831cc89553c031a89_1578071644_4896.PNG
 

중국 각지에 봉안된 김교각 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2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31
2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20
22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08
2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894
22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56
2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51
21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24
2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5344
217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44
2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주자학과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4064
2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68
21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798
213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80
21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48
2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09
2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098
2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193
2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42
2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2 2793
2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태종과 조계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764
2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문벌 귀족 사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930
2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141
2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248
2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840
2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660
2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20
1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2135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648
1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교각 스님(696~794)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69
1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용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2509
1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배론 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263
1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50
1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20
1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23
1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흥선대원군 이하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4 3103
1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운궁(덕수궁), 대한제국의 꿈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3713
1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875
18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15
187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2번째 경제용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3005
1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11
18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887
18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56
183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02
18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63
1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51
1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797
1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45
17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04
1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43
1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6
1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3
1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40
17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6
1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60
17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00
1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18
1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44
16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06
1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5
16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7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