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9-10-09 13:34 조회1,906회 댓글0건

본문

  

누각 : 멀리 넓게 볼 수 있도록 다락구조로 높게 지어진 건물

정자 : 경관이 수려하고 사방이 터진 곳에 지어진 건물 

 

송강정  

c0c9f2c871a122b94e96df19a2a5bd4b_1570653303_9755.jpg 

 

전남 담양군에 있는 송강정은 전라남도 기념물 제1호로 지정되어 있다. 

 

동인들의 압박에 못 이겨 대사헌의 자리를 그만두고 당쟁으로 인한 참담한 심정으로 이곳에 내려온 송강 정철(1536~1593)은 1584년 기존의 죽록정이란 정자를 중수하고 이름을 송강정으로 바꾸었다고 한다. 정자는 동남향으로 앉았으며 정면 3칸, 측면 2칸의 방이 꾸며져 있고 단층 팔작지붕 기와집이다. 지금도 정자의 정면에 ‘송강정’이라고 새긴 편액이 있고, 측면 처마 밑에는 ‘죽록정’이라는 편액이 있다. 

 

당시는 선조가 재위하던 시대로 동인과 서인의 공방이 치열하던 시기였다. 송강은 이곳에서 4년여 동안 은거하면서, 지은 <사미인곡>은 임금을 사모하는 심경을 남편과 이별하고 사는 부인의 심사에 비겨 자신의 충정을 고백한 내용으로 아름다운 가사 문학의 정취가 배어나는 글이다. 

 

왕을 향해 충성을 다했던 송강으로서는 자신의 이런 상황이 너무나 비참했고 이를 술과 노래로 이기고자 했다. 하지만 <사미인곡>과 <속미인곡>은 충신이 임금에 대한 지극한 사랑을 빗대어 부른 노래라고 하여 칭송이 끊이지 않는 가사이다. 

 

송강정은 송강이 어린 시절을 보냈던 원효계곡이 눈에 들어오는 곳이고, 자신의 스승이 있는 면앙정이 바로 지척에 있다. 

 

어릴 적(16세), 아버지는 을사사화(명종. 1545)에 연루되어 6년간에 유배 생활을 하였다. 유배에서 풀리자 아버지는 서울 생활을 정리한 후 온 가족을 이끌고 할아버지의 산소가 있는 창평으로 내려왔다. 송강 정철은 이곳에서 10여 년 동안 고봉 기대승, 하서 김인후, 송천 양응정, 면앙정 송순 등 호남 사림의 여러 학자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또한, 율곡 이이와 우계 성혼과도 사귀었다. 

 

명종 16년(1561)에 27세로 과거에 합격하였다. 하지만 성격이 곧고 바른말만 하는 그를 좋아하는 사람보다는 적대시하는 사람들이 많아 왕의 총애에도 불구하고 정치적 부침을 거듭하였다. 그가 돌아와 쉴 수 있는 공간은 자신의 성장에 가장 큰 힘이 되어 주었고 자신을 지켜봐 줄 수 있는 이 원효계곡 자락이 적격이었다. 

 

▷ 사미인곡 ◁ 

 

이 몸이 생겨날 때 임을 따라 생겼으니 

한평생 연분이며 하늘도 모를 일이런가 

내 한 몸도 젊고 임금도 나를 사랑하시니 

이 마음 이 사랑은 견줄 데 전혀 없다.  

한평생 원하기를 한데 살자 하였더니 

늙어서야 무슨 일로 외오 두고 그리는고  

엊그제, 임을 모셔 선궁에 올랐더니 

그사이 어찌하여 속계에 내려온 거 

 

올 적에 빗은 머리 엉켜진 지 삼 년이라   

연지분은 있다마는 누구를 위하여 곱게 할꼬 

마음에 맺힌 근심 첩첩이 쌓여있어.  

짓는 것은 한숨이요 떨어짐은 눈물이라 

인생은 끝 있는데 근심은 끝이 없다.  

무심한 세월은 물 흐르듯 하는구나! 

사철이 때를 알아 가는 듯 다시 오니 

듣거니 보거니 감회도 그지없다. 

 

봄바람 건듯 불어 쌓인 눈을 헤쳐내니 

창밖에 심은 매화 두세 가지 피었어라 

차갑고 맑음이여 향기도 그윽한데 

황혼에 달조차 머리맡에 비쳐드니 

행여나 임이신가 서럽고도 반가워라  

저 매화 꺾어다가 임 계시는데 보내고자 

임이 너를 보면 어떻다 여기실까? 

 

꽃 지고 새잎 나니 녹음이 깔렸는데 

비단 포장 슬슬 하고 수 장막이 비어 있다 

부용장을 걷어치우고 공작 병풍을 둘러두니 

시름도 끝없는데 날은 어찌 지루한고 

원앙 비단 베어 놓고 오색실을 풀어내어 

금자에 겨누어서 임의 옷을 지어내니 

솜씨는 고사하고 규격도 갖췄구나 

 

산호 나무지게 위에 백옥 함에 담아두고 

임에게 보내고자 임 계신 데 바라보니 

산인지 구름인지 험하고도 아득하다 

천만리 머나먼 길 누가 능히 찾아가고 

가게 되면 열어보고 날인가 반기실까? 

밤사이 서리 내려 기러기 울며 갈 때 

고루에 혼자 올라 수정 발을 걷어보니 

동산에 달이 돋고 북극에 별이 뵈니 

임이신가 반기니 눈물이 절로 나다. 

 

맑은 빛을 자아내어 봉황루(임금이 계신 곳)에 보내고자 

누 위에 걸어 두고 온 누리에 다 비취어 

깊은 산과 골짜기도 대낮같이 만드소서  

천지가 얼어붙고 흰 눈이 일색인데 

사람은 고사하고 나는 새도 끊어졌다 

소상강 남쪽 가도 추위가 이렇게든 

옥루(옥으로 장식한 화려한 누각) 높은 곳은 더욱 말해 무엇하리 

 

봄볕을 부쳐 내어 임 계신 데 쐬고자 

띳집에 비친 해를 옥루에 올리고자 

붉은 치마 걷어 올리고 푸른 소매 반만 걷어 

날 저문 데 대를 기대 생각에 잠기도다 

짧은 해는 쉽게 지고 긴 밤을 오뚝 앉아 

청사초롱 걸은 곁에 전공후(자개로 장식한 현악기)를 놓아두고 

꿈속에나 임을 보려 턱 받고 기댔으니 

원앙금도 싸늘하다 이 밤은 언제 샐꼬 

 

하루도 열두 때 한 달도 서른 날 

잠시라도 생각 말고 이 근심 잊자 하니 

마음에 맺히고 뼛속에 뚫었으니 

명의가 열인 들 이 병을 어찌하리 

아! 내 병이야 이 임의 탓이로다 

차라리 죽어서 범나비 되오리라 

꽃나무 가지마다 앉았다가 가다가  

향 묻은 날개로 임의 옷에 옮으리라 

임이야 난 줄 모르셔도 나는 임을 따르리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32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118
1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112
10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106
10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06
10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96
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91
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90
9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88
96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73
9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64
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56
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55
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49
9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48
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33
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22
88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013
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99
8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91
8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84
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72
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69
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69
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63
80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63
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59
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55
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51
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46
7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42
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932
7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31
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17
열람중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907
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03
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03
68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900
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99
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893
65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92
6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88
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84
6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82
61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80
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68
5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54
5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53
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52
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39
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831
5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823
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787
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76
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55
50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54
49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54
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53
4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47
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3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