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3-22 13:29 조회978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 자신의 내면에 존재하는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사람은 명품이나 권력을 가지려는 욕망도 없다고 하셨는데,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금전이나 권력을 소유하지 않아야 하는 것 아닌가요? 그런데 반대라고요? 그러면 금전이나 권력을 더 원한다는 뜻인가요? 

   

- 아니요. 이루고자 하는 것이 자신의 내면세계에 있으니 외부로부터 찾지 않으니까 금전이나 권력과 같이 외부로부터 오는 욕망은 굳이 원할 이유가 없겠죠. 진짜가 내 안에 있는데 나를 오히려 옭아매는 재력이나 권력을 따라갈 이유가 없으니까요. 

   

◆ 그러면 돈과 권력을 소유하는 것과 내면세계의 원하는 것을 찾아가는 것은 어떤 관계가 있나요? 

   

- 자신이 추구하는 것은 자신에게 있으니 돈이나 권력이 있고 없음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뜻이에요. 돈과 권력을 얼마나 가지고 있는지가 중요한 것이 아니라 나를 찾아가는 길을 가고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한 거죠. 

   

◆ 그러면 돈과 권력이 필요한 것은 아니잖아요? 그러니까 돈과 권력을 소유하면 안 되는 것 아닌가요? 

   

- 내가 살아가는 삶이 모든 사회와 동떨어져 있는 상황이라면 굳이 돈도 권력도 필요가 없겠죠. 하지만 주변에 사람들이 있잖아요. 그 사람들 중에는 나와 공감하는 사람, 나와 함께 하고자 하는 사람, 나를 괴롭히는 사람, 나를 자신의 아래에 두고 부리려는 사람, 나와 비교해서 자신의 우월함을 나타내려는 사람 등 많은 종류의 사람이 있을 텐데 이런 상황에서 내가 가진 것이 아무것도 없다면 무엇을 할 수 있을까요? 

   

◆ 글쎄요? 나와 함께하려는 사람들이 많으면 모르겠지만 나를 부리려는 사람이나 내 위에서 권력을 휘두르려는 사람이 있으면 그 사람들에게 말 그대로 자신들이 가진 것도 별 볼일 없음을 보여주면 되는 것 아닌가요? 

   

- 물론 그 방법이 가장 이상적인 접근법이죠. 하지만 그러한 접근법은 사람들이 내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을 때 가능하죠. 그러니까 어느 정도의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들에게나 통해요. 

   

◆ 그러면 어떤 사람들을 예로 드신 건가요? 

   

- 가진 것이 너무 없어 지금 자신의 삶이 힘들고 괴로운 사람들은 가진 것이 없기 때문에 다른 생각을 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어요. 물론 가지지 못한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는 것이 아니라 확률이 높다는 거니까 이 부분은 짚고 넘어갈게요. 

   

◆ 그러면 반대로 가진 사람들의 대부분은 내가 한 말을 듣고 이해할 수 있는 사람들인가요? 

   

- 아니요. 그렇지 않아요. 가진 사람들 중에서도 권력이나 돈이 자신의 가치를 대변해 준다고 생각하는 사람들은 그것들에 대한 집착이 강해서 아무리 이야기를 해도 듣지를 못하죠. 

   

◆ 그러니까 어느 쪽이든 집착이 강한 사람들은 내 이야기를 듣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군요? 하지만 이 내용이 돈이나 권력하고 어떻게 연결이 되죠? 

   

- 앞서 자신의 내면세계를 찾아가는 사람들은 외부로부터 얻고자 하는 욕심이나 욕망으로 인한 갈등이 적다고 했잖아요? 이러한 방법이 알려지고 많은 사람들이 물질과 같은 외부로부터 오는 욕망이 아닌 자신의 내면세계를 들어다보는 훈련을 한다면 사회가 어떻게 될까요? 

   

◆ 갈등이나 싸움이 줄어들겠죠.

   

- 그렇겠죠. 그리고 삶의 고통은 이러한 갈등이나 싸움에서 비롯되니까 내 삶의 고통에서도 벗어날 수 있겠죠? 

   

◆ 그럴 것 같아요. 하지만 아직 돈이나 권력이 있고 없음에 대한 이야기는 나오지 않았네요. 

   

- 아까 이야기 한 것처럼 생각이 있는 사람들은 그래도 나의 이야기를 듣고 방법을 물으면서 자신들의 삶도 바꾸려고 하겠죠. 하지만 집착이 강해 이야기를 듣기는커녕 그저 뜬구름 지나가는 소리로 듣는 사람들은 어떻게 할까요? 

   

◆ 글쎄요? 어떻게 하죠? 

   

- 그때 필요한 것이 내가 가지고 있는 것들이에요. 

   

◆ 왜요? 

   

- 돈, 권력 그리고 이제는 지식도 포함할게요. 지식도 여기에 해당하니까요. 이러한 것에 대한 집착이 강한 사람들이 보이는 특징이 뭔지 아세요? 

   

◆ 글쎄요. 지금까지 들은 내용이 있어 알 것 같기도 한데 정확하게 설명하기는 어렵네요. 

   

- 바로 자신보다 더 가진 사람들에 대한 복종이에요. 자신이 생각하기에 자신보다 지식이 많아 뛰어나서 그 사람을 마음속의 스승이라고 생각하면 그 사람에게 복종하며 자신을 낮추고, 자신보다 직책상 위에 있으면 그것에 복종하는 등 더 가진 사람들에게 복종하는 거죠. 이런 사람들은 자신이 복종하고 따르는 사람에 대한 무시나 싫은 소리를 강하게 거부해요. 심지어는 호칭에서 마저도 조금이라도 존경의 의미가 내포되어있지 않으면 화를 내면서 참지를 못하죠. 마치 자신이 섬기는 사람을 보호하기 위한 결사대와 같이요.

   

◆ 기억나는 것 같아요. 그런 사람들의 또 다른 특징이 자신보다 가지지 못한 사람들을 무시하고 명령하면서 가르치려 하는 거죠? 자신이 따르는 스승이 있으면 그 사람에 대한 존경을 보여야 한다고 강요도 하고요. 직장에서는 스승이 자신의 직장 상사일 테고요. 

   

- 맞아요. 그러니까 이런 사람들에게 내가 가진 것이 적어 보이면 나를 무시하거나 나를 가르치려 들겠죠? 그러니까 가진 것이 나를 이런 사람들로부터 어느 정도 보호하는 한 방법이 될 수 있어요. 

   

◆ 잠깐만요. 나를 보호하는 방법이라는 말에서 이야기의 핵심을 놓친 것 같은데 왜 그런지 설명해 주시겠어요? 저는 오히려 반대로 그 사람들을 가르칠 만큼 가져야 한다고 생각했거든요. 

   

- 물론 내가 가진 것이 더 많아지면 자연스럽게 상대방이 머리를 숙이겠죠. 자신보다 더 가졌으니까요. 하지만 내면의 세계를 찾아가는 과정은 공부를 해 나아가는 과정이지 권력과 같은 것을 휘두르기 위함이 아니에요. 문제는 내가 가진 것이 적다고 생각되면 생각이 부족한 상대방은 나를 통해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을 동원할 수 있다는 거예요. 

   

◆ 자신보다 약해보이니까 사냥감으로 여긴다는 뜻인 것 같은데 그래서 방어를 위한 수단이라고 하신 거로군요. 

   

- 맞아요. 생각을 할 수 있는 사람들은 자신들의 능력을 테스트하기 위해 도전을 할 상대를 찾지만 생각을 하지 못하는 사람들은 반대로 약한 상대에 집착하거든요?

   

◆ 알 것 같기는 한데 조금 더 설명이 필요할 것 같아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4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930
7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유와 근거로 지식의 재건축을 통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931
7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예습을 통해 학교 공부를 준비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932
7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939
7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향한 첫 걸음,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941
78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방법을 목표로 설정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942
7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가두는 교수법 vs. 열어주는 교수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942
778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1 헤럴드 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946
7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할 준비가 되어있지 않은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947
7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951
7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954
7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바보 온달(? ~ 59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955
7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955
7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일반 대학과 직업기술에 초점을 둔 대학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956
7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vs. 디지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30 957
7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964
7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공부의 효율을 늘리는 공부 방법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965
7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게임이나 도박에 빠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965
7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혜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966
7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는 꿰어진 구슬처럼 연결되어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970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979
7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자유에 대한 갈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986
7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날로그 정보처리 방식이 가진 장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988
7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회가 필요로 하는 사람은 지식인이 아닌 창조적 사고능력을 지닌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988
7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쟁의 시작은 새로운 지식으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990
7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인 사고를 통해 개념을 정립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991
75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995
7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의사소통을 위한 언어에 갇히면 이해력과 창의력은 멀어질 수밖에 없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997
7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언어에 갇혔는지를 확인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999
7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초석; 스스로 내리는 정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000
7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떡잎부터 차이나는 공부머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012
75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력을 넘어서는 인간의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025
7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력과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vs 지식을 익히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1029
75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는 모든 것은 허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032
75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인들의 근친혼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047
7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정서적 안정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048
7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개념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1056
7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지식을 배워가는 공부는 미래를 보장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068
7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075
7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구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080
7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헌왕후 심씨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1084
7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1085
7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는 신개념을 만드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088
7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1090
74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101
7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종류의 행복한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105
7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물질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와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1107
7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키우는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1109
7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의 종류 그리고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113
7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117
7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120
7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고유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122
7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몽주(1337~1392)와 정도전(1342~139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124
7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1128
7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삶에서 행복과 자유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128
7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육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131
7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1136
7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142
727 생활 속의 자녀교육 (33) - 자녀와 소통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1149
7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15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