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상대성 이론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상대성 이론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08-02 12:14 조회1,944회 댓글0건

본문

sjy.gif  석준영 비센교육원장

끊임없는 과학적 탐구와 고찰로 진리 발견 - 오류 발견되면 겸허히 받아들일 줄 아는 자세 중요

1887년, 케이스 웨스턴 리저브 대학교 (Case Western Reserve University)의 앨버트 마이켈슨(Albert Abraham Michelson)과 에드워드 몰리(Edward Morley)라는 두 과학자는 역사상 가장 중요한 실험중에 하나인 마이켈슨 몰리 실험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이 실험은 사실 그 반대의 결과를 예상하고 고안된 실험이었는데, 그 결과 당시 과학계가 예상하던 것이 완전히 잘못된 것임을 보임으로써 물리학계의 엄청난 변화를 가져온 실험이었습니다. 그래서 이 실험은 가장 유명한 실패한 실험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당시 과학계는 '빛은 입자가 아닌 파동'이라고 생각했고, 파동은 매개체없이는 전달될 수 없기 때문에 빛의 전달물질을 ‘에테르’라고 이름 붙이고, 그 에테르를 찾기 위해 혈안이 되어있던 시기입니다. 이 때 마이켈슨 몰리 실험의 결과는 에테르라는 빛의 전달물질은 존재하지 않으며, 빛은 어느 방향에서, 어떤 움직임 속에서 측정을 한다고 하더라도 항상 동일한 속도로 움직인다는 사실을 보여준 것입니다. 

이 두가지 실험 결과는 뉴튼으로부터 시작된 고전역학이 양자역학을 필두로 하는 현대물리학으로 넘어가게 되는 중요한 키를 제시한 것인데, 첫째로 ‘에테르’라는 매개체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은 빛은 그 당시까지 믿어오던 것처럼 파동의 하나라고 볼 수 없으며 무언가 일반적인 파동과는 다른 점이 있을 수 밖에 없다는 것을 알려주는 것입니다. 즉, 전달물질이 존재하지 않는 파동이란 있을 수 없는 일인데, 빛은 파동의 현상들을 모두 보이면서 전달물질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 알려진 것이기에 그 파장이 엄청난 것이었습니다. 하지만, 이것보다 더 충격적인 결과는 두번째 것인데, 빛의 속도가 관측자와 빛의 소스와의 상대적 움직임과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값을 갖는 다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었습니다. 그 당시 모든 물리학의 근간인 갈릴레오 상대론과 뉴튼의 법칙에 정면으로 반대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쉽게 풀어 설명드리자면, 한 사람이 30km/h의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자동차 안에서 5km/h의 속도로 공을 던지고 있다고 생각해 봅시다. 이를 자동차 위에 함께 있는 사람이 본다면 공의 속도는 그대로 5km/h로 보이겠지만, 자동차 밖에 정지해있는 사람이 바라본다면 자동차의 속도와 공의 속도가 더해져 35km/h로 보여지게 됩니다. 숫자들을 어렵게 생각하실 필요없이 달리는 자동차에서 반대편에서 다가오는 자동차를 보면 그 자동차의 속도가 훨씬 더 빠르게 느껴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우리가 느끼는 속도는 자체의 움직임뿐만 아니라, 그것을 바라보는 관측자의 움직임에 따라 다르게 보일 수 밖에 없다는 것으로, 우리가 일상 생활에서 당연히 여기고 있는 사실입니다. 그런데 마이켈슨 몰리 실험의 결과는 앞서 드린 예와 비교해서 말씀드리자면 달리고 있는 자동차에서 빛을 발사했을 때, 그것을 자동차에 함께 있는 사람이나 자동차 밖에 가만히 서있는 사람이나 상관없이 모두 동일한 빛의 속도를 느끼게 된다는 것인데, 이 결과가 사실이라면 그 동안 모두가 믿어온 갈릴레이 상대성과 뉴튼의 법칙에 오류가 있다는 이야기가 되는 것이기에 당시 과학계는 이 실험의 결과를 갖고서 엄청난 패닉에 빠지게 된 것입니다.

이 때 모든 과학자들은 비록 이 실험의 결과는 이렇게 나왔지만, 그렇다고 해도 갈릴레이 상대성과 뉴튼의 법칙은 잘못될 수 없는 진리이기 때문에, 우리가 간과하고 있는 다른 무엇인가가 있을 것이라 확신했고, 그 것을 찾기 위해 모든 노력을 기울이고 있었습니다. 이미 우리가 진리라고 믿는 것이 잘못된 것이라는 증거를 본다 하더라도 그 진리가 잘못된 것이 아니라, 그 진리는 여전히 옳은 상태에서 그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다른 무언가를 찾고자 했던 것입니다. 이때 이런 틀을 깰 수 있는 과학계의 이단아, 누구나 다 진리라고 믿는 것을 뿌리부터 부정하고 새로운 진리를 새울 수 있는 천재가 있었으니 그가 바로 아인슈타인입니다. 아인슈타인의 생각은 간단합니다. “실험결과가 그렇게 나왔으니, 빛의 속도는 관측자의 상대적 움직임과 상관없이 항상 동일한 값이라는 것을 받아들이자.” 이 간단해 보이는 사실 하나를 받아들이면, 실험 결과를 자연스럽게 설명할 수 있는 대신, 그간 모두가 진리라 믿었던 많은 사실들이 송두리째 뒤바뀌게 됩니다.
첫째, 빛의 속도가 상대적으로 변하지 않기 위해서는 속도를 결정짓는 시간과 공간이 관측자의 움직임에 따라 변해야 합니다. 이는 가만히 서있는 사람의 한 시간과 일정 속도로 움직이고 있는 사람의 한 시간이 서로 다르다는 말이 됩니다. 또한 가만히 서있는 물체의 길이를 재는 경우와 그 물체가 움직이고 있을 때 재는 길이값이 서로 다른 값을 준다는 말이 되니, 당시의 과학자들 뿐만 아니라 이 글을 읽고 계신 독자분들께도 해괴한 궤변로 들릴 수 밖에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아인슈타인의 이 생각은 옳은 것으로 판명되었고, 그 오차의 정도가 빛의 속도에 가까울 정도로 빠르지 않은 인간의 일상 생활에서의 측정값은 그 정도가 너무 작아서 우리가 그 차이를 느낄 수 없는 것 뿐인 것으로 밝혀졌습니다.  즉, 아인슈타인의 특수 상대성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첫번째 걸음은 바로 절대 바뀔 수 없는 것으로 여겨지는 시간과 공간이 보는 사람에 따라 길어지기도, 짧아지기도, 때론 휘어지기도 할 수 있다는 괴상한 듯한 설명을 진실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두번째, 이렇게 관측자에 따라서 속도의 변화가 생기면, 운동량 보존 법칙에 따라서, 물체의 질량이 함께 변화하게 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서는 질량이 에너지로, 또는 반대로 에너지가 질량으로 변환될 수 있어야 합니다. 이를 설명하는 식이 물리학에서 가장 유명한 식 중에 하나인 E=mc2입니다. 에너지(E)는 질량(m)에 빛의 속도의 제곱값(c2)을 곱한 값과 같기 때문에, 언제든지 질량을 에너지로, 또는 에너지를 질량으로 변환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당시에는 도대체 받아들일 수 없는, 너무나도 터무니 없는 듯한, 이론이기에 많은 과학자들에게 쉽게 받아들여지지 못했던 아인슈타인의 상대성이론은 그 동안 많은 실험을 통해 증명되었고, 실제 자연을 지배하는 것이 상대성이론이 맞다는 것은 약 100년이 지난 현재 과학계에서는 상식으로 받아들여지는 사실입니다. 궁극의 진리로 받아들여지는 것도 이렇게 계속되는 과학적 탐구와 고찰로 바뀌어지는 과학사적 발자취를 보면서 인간은 언제나 틀릴 수 있고, 그것이 무엇이던간에 오류가 발견되면 겸허히 받아들일 줄 아는 자세를 갖어야만 할 것이라는 생각을 해봅니다.

석준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 vs. 내가 내리는 판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148
7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이 목표가 된 경우의 두뇌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158
7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160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내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163
7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교육은 세뇌와 다르지 않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165
7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고 노력해도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1166
7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166
7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194
7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1202
715 대학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1216
714 [과학 이야기] LHC의 데이터 공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219
7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1228
71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9) -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232
711 생활 속의 자녀교육 (21) – 실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1245
7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247
7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252
7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으로 배울 수 없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254
70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260
7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지로 요를 삼고 창공으로 이불을 삼아 - 암태도 소작쟁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262
7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265
704 석가의 출가로 보는 지혜의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266
7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273
70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0) – 목표의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1275
70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1) - 자기소개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281
70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7) - 기억력을 늘리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291
6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294
698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글쓰기 능력'은 개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321
6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323
69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325
695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335
6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칠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335
6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343
692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349
6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리 이원익 대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354
690 생활 속의 자녀교육- 공부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357
68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공부는 본인의 의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367
68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5) -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371
68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0) - 배우는 방식이 다른 아이들의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385
686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87
68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8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1388
684 [과학 이야기] STARSHOT,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인류의 노력 계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93
683 [과학 이야기]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397
682 [CELPIP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398
6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403
680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24
6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432
67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안다는 것과 실천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434
6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는 행복과 기쁨의 삶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446
6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동여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455
67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현재의 불편함을 공부의 주제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64
674 생활 속의 자녀교육 (22) – 성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70
6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473
67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9) - 컴퓨터와 게임 중독 증상 대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474
6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479
67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7) - 부부관계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479
66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4) - 자녀의 두뇌발달 가능성 및 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481
6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483
6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496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496
6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50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