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1-30 09:13 조회2,100회 댓글0건

본문

인간은 왜 생각을 하게 되었고 또 그 생각을 바탕으로 주변에서 일어나는 현상들을 설명함과 동시에 과학이나 문명 등을 만들며 진화해 왔을까요? 그리고 이러한 생각의 산물들을 배우고 익히는 과정을 삶의 주요 요소 중 하나로 만드는 것은 무엇일까요? 이번 칼럼에서는 두뇌를 가진 동물들이 공부를 해 나가는 방법 즉, 진화의 과정에서 형성된 두뇌를 가진 생명체들의 가장 기본적인 공부 방법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우선 앞서 예고한 대로 낚시를 예로 들어 설명을 하겠습니다.

한 사람이 취미로 낚시를 시작합니다. 낚시를 다닌 지 얼마 지나지 않아 자신이 원하는 고기를 낚습니다. 이 사람은 고기를 잡았다는 성취감으로 기분이 좋아 노래도 흥얼거립니다. 그리고 얼마 뒤 또다시 지난번과 같은 고기를 잡았을 때의 흥분과 기쁨을 맛보고자 낚시를 갑니다. 그런데 생각과는 다르게 고기를 잡지 못하는 날이 늘어만 갑니다. 그리던 어느 날, 이제는 ‘고기도 잡지 못하는데 낚시를 가서 뭐하나?’라는 생각이 들기도 하고 또 귀찮기도 해서 낚시에 대한 흥미를 잃어 많은 돈을 들여 장만한 낚시 장비를 창고에 고이 보관합니다.

필자의 지금까지 경험으로는 약 10명이 취미 생활로 낚시를 시작했다고 한다면 꾸준히 하는 사람들은 1-2명 정도이고 나머지는 이러 저러한 이유로 그만두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 이유를 필자는 앞의 예에서처럼 낚시를 하면서 고기를 잡았을 때의 성취감 보다는 낚시에 익숙하지 않은 초보자로서 고기를 잡지 못하는 경우가 많을 때 오는 실망감으로 인해 더 이상 재미를 느끼지 못하기 때문이라고 봅니다. 고기를 잡았다는 성취감은 고기를 잡은 사람에게 재미, 흥분, 그리고 기쁨 등을 일으키고, 이러한 기분 (또는 감정)은 그 사람을 또 다시 낚시터로 달려 나갈 수 있도록 만드는 반면, 고기를 잡지 못했을 때의 실망감은 그것이 반복될수록 점차 낚시에 흥미를 잃도록 만든다는 것입니다. 다르게 표현하자면, 성취감을 맛본 사람이 비슷한 성취감을 또 느끼고자 낚시터로 즐겁게 달려 나가는 모습에는 생동감이 넘친다고 한다면 흥미를 잃어가는 모습은 점차 기운이 빠져 생동감을 잃어가는 모습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이야기가 비단 낚시와 같은 취미에만 한정된 것일까요?

인간의 삶을 전반적인 관점에서 본다면, 성취감과 같은 감정은 한 사람의 삶에 활력을 불어넣어 더 많은 성취감을 얻고자 하는 욕망을 만들어내고, 그 욕망을 이루어 나가는 과정에서 삶의 활력을 얻어 생존의 확률을 높이는 방향으로 흐르도록 하는 원천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반면, 성취를 하지 못하는 것에서 오는 실망감, 패배감, 짜증, 우울함 등의 감정은 한 사람으로부터 활력을 빼앗아 무기력하게 만들어 결국 사회로부터 도태의 길을 가도록 유도한다는 것입니다.

공부를 함에 있어서도 자신이 원하는 목표를 달성하는 경우 그 성취감으로 인해 스스로 공부에 더 매진할 수 있는 힘을 얻는 반면 뚜렷한 목표가 없거나 목표가 있다 하더라고 그 목표를 이루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면 결국 공부에 대한 흥미는 점차 사라지기 때문에 공부를 통해 무엇을 이루고자 하는 의지도 사라진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성취감을 바탕으로 한 공부의 원동력, 어디서 시작되었을까요?

사자나 호랑이와 같이 사냥을 해서 살아가는 동물들은 사냥에 성공했을 때 느끼는 성취감을 바탕으로 다음 사냥을 이어가는 과정에서 사냥 기술을 발달시키며 진화해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또 풀을 뜯는 사슴이나 소와 같은 동물들은 매 순간마다 포식자들을 피해 살아남았다는 안도와 편안함을 바탕으로 피하는 기술을 발달시킴으로서 진화해 왔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 말은 곧 두뇌를 가진 동물들이 목표의 성취 여부에 따라 얻어지는 성취감/패배감을 바탕으로 진화를 거듭하는 과정에서 두뇌는 성취감을 느꼈을 때 더 활발하게 움직이고 이러한 성취감을 바탕으로 활발해진 두뇌가 다시 성취감을 얻을 수 있는 방향으로 발달을 해 온 것으로 해석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모든 동물의 두뇌 발달이 성취감에 바탕을 두고 있기에 논리적/객관적/창조적 사고력을 완성해 가는 과정에 있는 인간의 두뇌 또한 목표나 목적의 성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은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런 이유로 교육 전문가로 알려진 사람들이 제시하는 공부 방법 중에는 ‘자신이 성취할 수 있는 목표를 설정할 것’과 같은 내용을 쉽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방법은 인간 고유의 두뇌 능력이 아니라 두뇌를 가진 동물들이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는 가장 기본적인 공부 방법으로 필자는 이것을 ‘원초적 본능에 바탕을 둔 공부 방법’이라고 부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135
7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 vs. 내가 내리는 판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137
7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138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내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139
7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이 목표가 된 경우의 두뇌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143
7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고 노력해도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1147
7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교육은 세뇌와 다르지 않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150
7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1176
7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177
715 대학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1197
7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1199
713 [과학 이야기] LHC의 데이터 공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200
71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9) -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210
711 생활 속의 자녀교육 (21) – 실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1224
7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228
70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231
7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232
7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으로 배울 수 없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235
7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244
705 석가의 출가로 보는 지혜의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249
7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지로 요를 삼고 창공으로 이불을 삼아 - 암태도 소작쟁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250
7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257
70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0) – 목표의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1261
70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1) - 자기소개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264
70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7) - 기억력을 늘리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269
6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274
6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297
697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글쓰기 능력'은 개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301
6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칠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307
6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310
694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317
693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320
6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330
691 생활 속의 자녀교육- 공부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335
6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리 이원익 대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341
68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공부는 본인의 의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351
68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5) -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357
68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0) - 배우는 방식이 다른 아이들의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365
686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68
685 [과학 이야기] STARSHOT,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인류의 노력 계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71
6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8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1372
683 [과학 이야기]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378
682 [CELPIP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383
6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386
68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안다는 것과 실천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399
67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01
6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411
6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는 행복과 기쁨의 삶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434
67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현재의 불편함을 공부의 주제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36
6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동여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445
6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452
67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9) - 컴퓨터와 게임 중독 증상 대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452
67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2) – 성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58
6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460
67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7) - 부부관계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461
66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4) - 자녀의 두뇌발달 가능성 및 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462
6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466
6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471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472
6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47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