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보고(미상~841)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10-25 10:15 조회2,966회 댓글0건

본문

 

 

 

2f58c0a1fd41ec372651ce9610914355_1540487675_8457.jpg
* 당나라 무령군 소장에서 신라의 청해진 대사가 되어 수많은 해적들을 소탕한 신라의 장수이자 해상 무역가인 장보고

 

 

2f58c0a1fd41ec372651ce9610914355_1540487692_3958.jpg
신라의 무장으로 뱃사공의 아들로 태어난 장보고의 어릴 적 이름은 궁복 ․ 궁파이다. 궁복은 ‘활을 잘 쏘는 사람’이라는 뜻으로 어려서부터 무예가 뛰어나고 헤엄을 잘 쳤다. 천민 출신이었던 궁복은 신라에서는 장군이 될 수 없다는 것을 잘 알고 있었다. 그래서 당나라 로 건너가 군대에 들어가면서 이름을 장보고로 바꾸었다. 타고난 지혜와 용맹함으로 장보고는 남보다 빨리 높은 자리에 올랐고, 마침내 무령군 소장이 되었다.

 

 

 

한편, 장보고는 당나라 무령군의 소장으로 있을 때 당나라 산둥 성 원덩 현 적산촌에 적산 법화원이라는 사찰을 세웠다. 1년 수확량이 500섬이나 되는 토지를 기본 재산으로 하여 창건하였는데, 신라의 승려로서 당나라에 가는 사람은 물론, 일본 승려들까지도 많은 도움을 받았다고 한다. 이 사찰에서 우리 고승들이 여름에는 「금광명경」을, 겨울에는 「법화경」을 강론하였는데, 그때마다 많은 신라인들이 참석하였다고 한다. 이 사찰의 도움을 받은 바 있는 일본 승려 옌닌의 저서 「입당구법순례행기」에는 이 사찰에 관한 내용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는데, 그 기록에 따르면 당나라의 승려로서 신라의 승려를 시봉(모셔 받듦)하여 스승으로 섬기는 자도 있었다고 한다

 

 

 

삼국 통일 후 신라의 공, 사무역이 발달하면서 신라인의 해상 활동이 활발해짐에 따라 신라인들은 당나라의 해안 지대인 덩저우 ․ 양저우 ․ 추저우 지방에 이주하여 집단 거류지를 이루었는데 이를 신라방이라 하였다. 이들 중에는 사무역에 종사하는 상인이 가장 많고 승려들도 많아 장보고가 세운 적산법화원이라는 신라인의 절(신라원)에는 남녀 도승이 250명씩 몰려든 때도 있었다. 특히 신라에서 중국으로 들어가는 길목인 산둥 반도의 덩저우 ․ 미조우 일대는 일찍부터 신라인이 거류하여 유명하였으며, 덩저우에는 신라의 사신, 유학승을 유숙시키고 접대하기 위해 신라관을 설치하기도 하였다. 또한 신라방의 거류민을 다스리기 위해 자치적 행정 기관으로 신라소를 설치하여 총관, 압아 등의 직원을 두어 사무를 맡아보게 하였다. 신라방은 장보고가 해상 무역을 장악하면서 더욱 번창하였다.

 

- 신라소 : 통일 신라 시대에 당나라에서 거주하는 신라 거류민의 자치적 행정 기구.

 

- 신라방 : 통일 신라 시대에 당나라에 있던 신라인의 집단 거류지. 오늘날의 KOREA TOWN.

 

- 신라원 : 신라인이 당나라에 세운 절.

 

- 신라관 : 신라가 중국 당나라의 산둥 반도의 덩저우에 설치한 사신의 숙소.

 

 

 

장보고가 하루는 길을 가다가 어린 아이들에게 힘겨운 일을 시키는 사람들을 보았다. 아이들은 바로 신라인이었다. 장보고가 물었다. “신라의 아이들이 어찌 이곳에 있느냐?” “장군님, 이놈들은 저희 주인이 돈을 주고 산 신라 노예입니다.” 그 말을 들은 장보고는 아이들을 신라로 돌려보내 주었다. 그리고 아이들이 바닷가에서 놀다가 해적들에게 잡혀 왔다는 것을 알고 한참을 고민한 장보고는 신라에서 잡혀간 노비의 비참한 처우에 분개하여 사직하고 귀국하였다.

 

 

 

흥덕왕(826~836)은 당나라의 벼슬을 포기하고 돌아온 장보고를 어여삐 여겨 그에게 청해진 대사를 맡겼다. 해적들의 인신매매를 근절시키기 위해 왕의 허락을 얻어 1만의 군사로 바닷길의 요충지 청해(완도)에 진을 설치하고 전략적 거점을 마련하였다. 그리고 수병을 훈련시켜 해적을 완전 소탕하였다. 그리하여 장보고는 당나라와 일본의 무역 중계권도 손에 쥐게 되었다.

 

 

 

힘과 돈을 갖춘 바다의 왕 장보고에게 권력의 유혹이 뻗쳤다. 왕위를 놓고 다툼이 심했던 당시, 837년(희강왕 3) 왕위 계승 다툼에서 밀려 난 우징(신무왕)이 청해진에 오자 이듬해 우징과 함께 장보고는 5,000명의 군사를 이끌고 반란을 일으켰다. 그리고 839년 민애왕을 죽이고 김우징을 신무왕에 오르게 하였다. 하지만 몇 달 뒤 신무왕이 세상을 떠나자 장보고는 이번에는 사위로 점찍어 두었던 김경응을 문성왕에 앉혔다.

 

 

 

840년 문성왕은 일본에는 무역 사절을, 당나라에는 견당매물사(신라 하대 청해진대사 장보고가 당나라에 파견한 무역사절)를 보내어 삼각 무역을 하였다. 845년(문성왕 7) 딸을 왕비로 보내려 하였으나, 천민 출신인 장보고의 딸을 왕비로 맞아들일 수 없다고 신하들이 반대를 해 좌절되었다.

 

 

 

「삼국사기」신라본기에서는 장보고가 반란을 일으켰으나 피살당한 연대를 문성왕 8년(846)이라고 하였으나 「속일본후기」에서는 841년 11월 중에 피살되었다고 하였다. 그뿐만 아니라 「입당구법순례행기」에서는 회창 5년(845) 7월에 전 청해진 병마사가 국난을 당하여 중국에 망명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따라서 현 학계에서는 장보고가 살해된 해를 841년 11월 중으로 보고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150
7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이 목표가 된 경우의 두뇌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1158
7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161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내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163
7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교육은 세뇌와 다르지 않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165
7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168
7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고 노력해도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1171
7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197
7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6 1204
715 대학 진학을 앞둔 학생들에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1217
714 [과학 이야기] LHC의 데이터 공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221
7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1230
71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9) -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234
711 생활 속의 자녀교육 (21) – 실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0 1248
7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252
7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252
7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으로 배울 수 없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256
7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지로 요를 삼고 창공으로 이불을 삼아 - 암태도 소작쟁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262
70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262
7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265
704 석가의 출가로 보는 지혜의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1268
7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274
70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0) – 목표의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1275
70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1) - 자기소개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283
70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7) - 기억력을 늘리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1291
6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296
698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글쓰기 능력'은 개인을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322
6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323
69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326
6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칠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336
694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339
6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345
692 생존에 의존한 행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350
6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리 이원익 대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355
690 생활 속의 자녀교육- 공부에 재미를 붙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1359
68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공부는 본인의 의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371
68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5) -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372
68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0) - 배우는 방식이 다른 아이들의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386
686 자녀가 집중력을 키워갈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88
68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8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3 1390
684 [과학 이야기] STARSHOT, 불가능을 가능케 하는 인류의 노력 계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394
683 [과학 이야기]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397
682 [CELPIP의 모든 것] 시민권ㆍ영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398
6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403
680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25
6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432
67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안다는 것과 실천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8 1435
6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는 행복과 기쁨의 삶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447
6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동여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455
67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현재의 불편함을 공부의 주제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66
6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473
67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9) - 컴퓨터와 게임 중독 증상 대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1474
67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2) – 성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1474
6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479
670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7) - 부부관계가 자녀교육에 영향을 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1479
66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34) - 자녀의 두뇌발달 가능성 및 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1482
6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483
6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498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501
6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503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