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자녀교육, 불편한 진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2-01 12:44 조회1,652회 댓글0건

본문

 

아이들 창의성, 가로 막지 말고 더 자랄 수 있도록 격려해야

 

 

'에디슨과 달걀 이야기'는 너무도 잘 알려진 것입니다. 에디슨은 왜 달걀을 품은 것일까요? 실제로 병아리가 태어날 수 있는지 궁금했기 때문이었을 것입니다. 하지만 필자는 에디슨이 달걀을 품은 것보다 에디슨에게 달걀을 품을 수 있는 조건이 주어졌다는 점을 더 비중 있게 생각합니다. 아이들이 노는 것을 살펴 보다보면 가끔씩 ‘어떻게 저런 생각을 하지?’라는 생각이 들 정도로 부모가, 어른들이 미처 생각지도 못한 아이디어를 보여줄 때가 있습니다. 이는 아이들이 기본적으로 에디슨에 못지않은 두뇌능력을 가지고 있음을 짐작할 수 있도록 하는 부분입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아이들의 타고난 능력을 가로막는 부모의 자녀교육에 대한 ‘불편한 진실’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내가 달걀을 품으면 병아리가 태어날까?’라는 질문은 알에서 병아리가 나오는 과정에 대한 논리적 이해가 부족하기에 그 답을 찾아내고자 스스로에게 던진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리고 실행에 옮겼다는 것은 답을 찾는 방법을 익혀가는 실험입니다. 세상에 태어나 아직 많은 것을 접해보지 않은 아이들로서는 접하는 모든 것이 궁금한 것일 수밖에 없을 것입니다. 그리고 그 답을 찾는 과정은 시간도 잊고 알을 품었던 에디슨의 경우에서 볼 수 있듯 스스로 몰두하게 되는 순간입니다. 이렇게 스스로 궁금한 것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답을 찾는 과정을 이어가다보면 아이들은 누구든 에디슨처럼 또는 그 이상으로 두뇌를 사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 그런데 누가 왜 이러한 아이들의 능력을 점차 빼앗아가는 것일까요?

설명이 쉽도록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하루는 자녀가 밖에서 독특하게 생긴 돌을 주워왔습니다. 그리고 부모에게 ‘친구가 그러는데 이 돌, 흙에 올려놓으면 천천히 움직인데!’라고 하면서 화분위에 올려놓았다고 하겠습니다. 이 상황에서 ‘그래? 그럼 한 번 해 봐!’라고 할 부모가 얼마나 있을까요? 어쩌면 ‘넌 그게 말이 된다고 생각하니?’, ‘무슨 그런 황당한 말이 있어?’, ‘너 바보니?’라는 반응이 더 많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후자와 같은 반응을 아이는 어떻게 받아들일까요?

 

아이로서는 스스로 움직일 수 있는 것과 아닌 것의 차이에 대한 개념 (예, 생물과 무생물의 차이)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하고 있기에 직접 실험을 통해 알아보고자 돌을 화분위에 올려놓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부모는 자신의 논리로 그것이 말이 ‘된다/안된다’를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나아가 ‘바보니?’와 같은 말로 아이의 이해력을 탓했습니다. 부모의 이러한 접근법을 통해 아이가 자신의 논리적 사고의 부족을 인정하고 부모의 논리적 사고를 받아들일 수 있을까요? 어쩌면 반대로 바보취급을 당하기 싫어 시간이 흐를수록 이러한 질문이나 질문에 대한 답을 찾기 위한 생각을 처음부터 하지 않게 될 가능성이 늘어갈 수도 있습니다. 즉, 부모의 판단이 자녀의 논리적 사고를 키우기 위한 시도를 막을 수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자녀가 사고력을 늘릴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은 자녀가 이러한 실험을 할 때 부모의 논리로 막지 않고 할 수 있는 자유를 주면 될 것입니다. 하지만 자녀에게 이러한 자유를 준다는 것이 말처럼 쉽지만은 않습니다. 왜일까요?

 

자녀가 논리적 사고가 결여된 말 또는 행동을 했을 때 ‘내 아이가 이 정도도 생각을 못하나?’라는 생각으로 자녀의 논리 부족을 탓한다면 그것은 곧 자녀교육에 있어 부모 자신의 능력을 의심한다는 것을 뜻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달리 말하자면 ‘나는 아이를 잘 키우고 있다’, ‘나는 아이를 잘 가르쳐왔다’와 같은 생각을 가지고 살아가는 부모가 자녀로 인해 ‘내가 아이를 잘못 키웠나?’라는 의심을 품는 일이 벌어지면 부모는 힘이 없는 자녀를 탓하며 자녀의 그러한 생각이나 행동을 부모의 논리로 고치려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자녀를 통해 부모 자신의 자녀교육 능력을 인정받으려는 부모의 생각이 결국 자녀의 사고력 발달을 막는 가장 큰 걸림돌이 될 수 있습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어떤 부모라고 생각하시나요? 아이를 잘 키우고 있다고 스스로 또 사회로부터 인정받기를 원하시나요? 아니면 아이가 사고력을 키워갈 수 있는 여건을 마련해 주고 있으신가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08
7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502
7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500
7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88
7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74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73
720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468
7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분과 고분 벽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2467
7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65
7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64
71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63
7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61
7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승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52
7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52
7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49
7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46
71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46
70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44
708 [과학 이야기] 양성자 빔 암 치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42
7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27
7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425
7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424
7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416
7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415
7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415
7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초의 한국 철도 – 경인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415
700 이공계열 단과대학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412
6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407
6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이 부족한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2407
6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403
69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기초과정의 공부 방법을 응용하여 사고가 갇힌 상태를 스스로 확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402
69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99
6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97
6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93
69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88
69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86
6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2385
6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84
6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82
6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70
68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60
6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53
6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49
683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347
68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347
6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342
68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41
6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양의 파르테논, 종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37
67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332
67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31
6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330
67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329
6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29
67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326
6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25
6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323
670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322
669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21
6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319
6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1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