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2>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1-28 08:20 조회1,718회 댓글0건

본문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속의 자녀교육]

 

지금까지 앞의 여러 칼럼에서 다루었듯이 객관적 사고력 즉, 지혜를 늘리는 방법은 생각의 대상을 객관화 시켜 관찰-설명-질문-비교/실험-관찰 의 과정을 반복함으로서 인과의 법칙을 찾아가는 것입니다. 

 

앞의 실패 (e중앙의 2015년 12월 11일 칼럼 참고)와 성공 (e중앙의 2015년 12월 25일, 31일 칼럼 참고)에서 예를 들었듯이 먹고 살기 위해서든 취미로든 고기만을 잡으려 하면 할수록 두뇌는 결과가 내 생존에 보탬이 되는가/아닌가와 같은 생존을 바탕으로 한 성공과 실패에 대한 생각에 갇혀 객관적인 사고가 어렵게 되고 행복과 고통은 고기를 잡는 여부에 의존할 수밖에 없습니다. 


하지만 성공과 실패를 떠나 현재 자신이 접한 상황을 객관화 시켜 관찰 및 분석을 하고 그 분석을 바탕으로 비교/실험을 할 수 있게 된다면 본인 스스로 고기를 낚기까지의 과정을 익히면서 즐길 수 있게 되며 결국 이러한 경험은 다른 사람들에 비해 고기를 쉽게 낚을 수 있게 할 것입니다. 


이 말은 곧 돈을 쫓지 않기에 돈을 벌 수 있다는 것과 일맥상통합니다. 객관적 사고는 보통 생각의 대상인 주제가 자연현상이나 물건과 같이 자신과 직접적인 관계에 있지 않는 경우 상대적으로 수월합니다.

 

다시 말하자면 자기 자신이나 가족과 같이 직접적인 관계가 형성이 되어 있을 때에는 상당히 어려워 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전주 칼럼의 원효대사의 예를 확장하자면 해골바가지의 물을 마셨다는 것을 알았을 때 토했다는 것은 두뇌로부터 먹을 수 없는 즉, 생존을 이어온 경험으로부터 같은 종이 서로를 사냥의 대상으로 삼아 잡아먹지 않도록 또한 부패한 것이 몸에 들어갔을 때에는 병이 생길 수 도 있다는 것과 같이 진화를 통해 두뇌에 먹지 말아야 할 것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어 온데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요약하자면 해골바가지의 물이었음을 인식했을 때 토했던 것은 생존을 이어가기 위한 동물적 본능에 따른 두뇌의 판단이었다는 것입니다. 그런데 원효대사는 어두워 해골바가지의 물인지 몰랐을 때 갈증을 풀 수 있어 만족했던 자신과 알았을 때 자신의 몸이 반응한 것을 관찰 비교함으로서 자신의 생각에 따라 물을 받아들이는 것이 다를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이것은 곧 자신의 본능에 따른 생각마저도 객관화시킴으로서 실제는 본능에 따른 두뇌의 판단이었다 하더라도 스스로가 능동적으로 동물적 본능에서 오는 생각과 판단을 지우고 덮어쓸 수 있다는 것을 깨달을 수 있었던 것으로 생각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는 이러한 깨달음을 통해 불교에 관계된 많은 일을 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이렇게 자기 자신마저도 객관화 시킬 수 있는 사고력을 조금이라도 발휘할 수 있다면 원효대사의 경우에서처럼 상대적으로 큰 깨달음을 통해 새로운 관점에서 세상을 볼 수 있게 됩니다.

 

생존 본능에 기인한 자기 자신의 생각마저도 객관화 할 수 있는 사고력을 대상의 종류에 상관없이 자신이 접하는 모든 것에 적용할 수 있다면 이 사람의 삶은 어떻게 될까요? 이것은 지혜를 통해 깨달음을 쉬지 않고 이어간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기에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을 얻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스로를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설명하며 자신에 대한 객관적 질문을 바탕으로 비교와 실험을 한다는 것은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하물며 자녀들이 객관적이며 논리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이끈다는 것이 이보다 쉬울 수 있을까요?

 

따라서 조금 더 체계적인 방법을 통해 객관화된 사고력을 익힐 수 있도록 앞으로의 칼럼은 부모 자신이 일상생활에서 객관적 사고를 하고 있는지 스스로를 살펴볼 수 있고 나아가 일상에 적용할 수 있을 분만 아니라 객관적 사고를 할 수 있도록 이끌 수 있는 방법에 초점을 맞추도록 하겠습니다. 

 


 저자소개 = 현재 PonderEd Education을 운영하며 사고력 (지혜)을 키우는 교육을 하고 있다. 칼럼, 교육에 관한 문의는 민 박사 이메일 tongpil@gmail.com 또는 http://www.the-lessons-of-life.ca/kr/를 방문하면 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국제 단위계의 재정의 Huge change, but no chang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87
723 [과학 이야기] 전기 뱀장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2484
7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2479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62
7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56
71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를 다루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2455
7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53
7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성자 별의 충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2445
71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43
7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40
7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37
7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살인 한파를 몰고 온 '폭탄 사이클론' 그레이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1 2435
7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31
7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분과 고분 벽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2429
7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장승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429
7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드레스 색깔의 차이(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2425
7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23
70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18
706 [과학 이야기] 양성자 빔 암 치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415
7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10
7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초의 한국 철도 – 경인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2397
7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탄소연대 측정(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0 2396
7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396
7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이 부족한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2395
7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393
6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393
698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기초과정의 공부 방법을 응용하여 사고가 갇힌 상태를 스스로 확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8 2390
697 이공계열 단과대학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390
69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387
6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로운 거미줄의 세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2387
69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2377
6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럭체인과 비트코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2376
69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374
6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71
6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67
6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365
68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질문의 종류와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363
6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63
686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59
6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구조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2350
68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볼라 바이러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338
68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8 2335
6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초끈 이론(Superstring theory)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334
6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31
68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면접편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2 2328
679 [ 과학 이야기] 에펠 탑의 과학자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7 2320
6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317
6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317
6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314
67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14
67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12
6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양의 파르테논, 종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311
672 자녀교육 – 답을 찾을 수 있는 질문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2308
6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307
67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306
6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달의 뒷면에 착륙한 인류 최초의 탐사선 ‘창어4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2302
66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301
6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2296
6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숨겨진 세기의 발명가 – 테슬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2292
6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8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