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6-08-31 23:49 조회6,032회 댓글0건

본문

물수제비, 그 속에 과학적, 수학적 원리 담겨 있어 

 

 

놀이 일종으로 호수나 냇가같이 물결이 잔잔한 곳에 돌을 던져 수면위로 튀어 오르게 하는 것을 물수제비라고 합니다. 호수와 같이 잔잔한 물가에 놀러가면 누구나 한번쯤은 해보는 것으로 모두에게 친숙한 이 놀이는 사실 역사적으로 그리스 시대에 사람들도 즐겨 했었다는 기록을 찾아 볼 수 있을 만큼 범세계적으로 오래된 놀이 중의 하나라고 할 수 있습니다.

 

물수제비를 여러 번 튕기기 위해서 대부분의 사람은 얇은 돌멩이를 골라 던지는데, 그렇다면 왜 얇은 돌멩이를 던지면 수면 위를 튕겨 오를 수 있고, 또 어떻게 하면 많은 횟수를 튕겨 오르게 만들 수 있을까요?

 

나름대로 물수제비를 가장 잘 던지기 위한 조건을 오랜 기간 연구하여 실제 물수제비 튕기기로 기네스북에 처음 오른 사람은 1992년 제르돈 콜먼 매기(Jerdone Coleman McGhee)라는 사람으로 38회 물수제비 튕기기를 성공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고, 또 자신의 오랜 데이터를 바탕으로 “The secret of stone skipping”이라는 책을 펴내기도 했습니다. 이 기록은 2002년이 되어서야 깨졌으며, 현재 기네스북에 올라있는 최고 기록은 2007년 러셀 바이어스라는 사람에 의해 세워진 기록으로 무려 51번의 물수제비를 성공시켰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러한 물수제비는 단지 재미있는 놀이로 기네스북의 희한한 기록 중의 하나로서가 아니라, 그 보다 훨씬 더 중요한 과학적 의미를 갖으며, 매우 중요한 분야에 그 원리가 응용되기도 합니다. 일례로 2차 세계대전 당시 영국군에 의해 시행된 ‘Skipping bombing’이라는 폭탄 투여 원리를 들 수 있습니다. 독일의 군수공장에 큰 타격을 주기 위해서 군수공장에 전력을 공급하는 

수력발전소의 댐을 폭파하려는 작전을 계획하던 영국군은 독일군의 레이더에 잡히지 않기 위해서는 저공비행을 해야하지만 댐에 저공비행으로 다가간 후 댐에 직접적으로 폭탄을 투여할 만큼 전폭기가 댐에 가까이 다가가는 경우 폭탄을 투여한 후 아무리 전폭기가 수직 상승을 한다고 하더라도 댐에 부딪힐 가능성 때문에 고민하던 중, 물수제비 원리를 이용하여 댐에서 어느정도 떨어진 호수면에 폭탄을 투여하여 폭탄이 수면에서 두세번 튕긴 후 댐에 근접한 곳에서 폭발하는 원리를 이용하여 성공적으로 작전을 수행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으며, 이를 ‘Skipping bombing’ 전술이라고 말합니다.

 

이렇게 과학적으로도 그 의미를 갖는 물수제비의 원리를 실제 이론적으로 밝히고자 한 첫번째 노력은 2002년 프랑스의 리더릭 보우케 (Lyderic Bocquet) 교수에 의해 이루어졌으며, ‘The physics of stone skipping’이라는 제목의 논문으로 미국 물리학회지(American journal of physics)에 2003년 2월에 게재되었습니다. 이 논문에 따르면 물수제비의 원리는 돌의 속도와 회전력에 따라 얼마나 멀리, 많은 횟수를 튕길 수 있느냐가 결정된다고 합니다. 보우케 교수는 이에 멈추지 않고, 이후 클라네(Christophe Clanet) 교수와의 공동연구를 통해서 지름 약 5cm의 얇은 돌이 수면과 20도의 각도를 유지하고 약 2.5m/s 이상의 속도로 수면에 충돌하면 물 속에 빠져들지 않고 튀어 오를 수 있다는 것을 수학적으로 증명해 2004년 저명한 과학저널인 네이처(Nature)에 그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습니다. 이들은 최초 기네스북에 오른 매기의 38번의 물수제비 기록이 가능하려면 수학적으로 지름 약 10cm의 얇은 돌멩이를 최소 초당 14회의 회전을 유지하며 시속 40 km정도의 속도로 던져야 한다는 것을 역으로 계산해 보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물수제비의 원리는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실제 폭탄 투하를 위해 응용된 것처럼, 단지 놀이로서가 아니라 최첨단의 과학분야의 응용성에 대해 활발히 연구되고 있는데, 실제로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연구원들은 매우 적은 연료로 빠른 속도의 운행이 가능한 비행기 개발에 물수제비의 원리가 효과적으로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나사 연구원들이 상상하는 물수제비의 원리를 이용한 차세대 비행기는           비행기가 이륙 후 성층권이상으로 올라간 후 엔진을 끄고서 무동력 비행을 시작합니다. 추진력을 잃어서 서서히 고도를 낮추던 비행기는 성층권보다 밀도가 높은 대류권의 경계선을 만났을 때, 수면을 만난 물수제비처럼, 튕겨 올라가 성층권에서의 비행을 유지할 것으로 예측하며, 이를 이용한다면 미국 시카고에서 이탈리아의 로마까지 18번의 튕김을 통해 약 72분만에 비행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누구나 호숫가에 가면 아무 생각없이 던져보는 물수제비. 그 속에 매우 심오한 수학적, 과학적 원리가 담겨져 있을 뿐 아니라, 그 원리가 엄청난 미래 과학의 근본이 될 수도 있다는 것. 우리의 일상 속의 매우 단순해 보이고, 의미없어 보이는 하나하나에 모두 과학적 원리가 깃들어 있으며, 그것이 미래 과학의 중요한 기본 원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좋은 본보기가 아닐 까 생각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5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7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는 신개념을 만드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093
7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271
7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고유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128
7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한 삶을 살 수 있는 두 가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5 1132
7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신할머니(삼신할미)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3765
7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종류의 행복한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107
7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리 이원익 대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371
7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삶의 주인이 된다는 것은 지도자로서의 자질을 키우는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1112
7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판단을 받아들이는 것 vs. 내가 내리는 판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156
7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교육은 세뇌와 다르지 않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171
7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나일본부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1689
7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는 두뇌능력을 반영하는 거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1077
7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1087
7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177
71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168
7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과 성적은 지식과 개념의 차이에서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276
7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307
7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고 노력해도 공부한 내용이 기억에 남지 않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1179
7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한계를 뛰어넘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1281
7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559
7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두뇌능력과 사고력은 차원이 다른 두뇌의 기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1155
7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으로 배울 수 없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269
7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589
7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방을 통해 배우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1138
7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필요를 충족하기 위해 방법을 찾는 두뇌능력은 문명과 과학기술 발달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1159
7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23
6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호기심은 두뇌 발달의 시작, 하지만 답을 찾는 방법을 익히지 못하면 호기심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1541
6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형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를 수 있는 공부 방법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6 1518
6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348
69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2154
69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235
6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40
69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주인으로 산다는 것은 행복이 아닌 도전과 고통의 길 PonderEd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4 1672
69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쁨과 행복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47
6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서울의 백제 고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681
69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는 행복과 기쁨의 삶으로 이어지지 않는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9 1451
6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도 (방법)은 결과가 아닌 사고의 과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2 1636
6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65
68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2 (중도, 방법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529
6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인을 넘어선 지도자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9 1494
6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울진 봉평비, 영일 냉수리비, 포항 중성리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2459
6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897
6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종류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1721
68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지닌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1772
6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15
680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65
6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1857
67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70
6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37
67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487
675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51
67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나만의 세상에 빠져 사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1938
6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44
67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두뇌능력으로 이루어진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1763
67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330
6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547
66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기계화 되어가는 학생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0 1647
6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1787
6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64
6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65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