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7-12 08:42 조회3,385회 댓글0건

본문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개념을 다룬 무료 공개강좌를 7월 19일 오후 6시에 밴쿠버 중앙일보 회의실에서 열립니다. 이 공개강좌 또는 필자의 유튜브 강의 (링크: https://youtu.be/ito6vBvZ1w4)를 통해 전체적인 내용을 접하신 후 칼럼의 내용을 적용하여 공부하신다면 공부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에 있어서의 핵심은 질문이라고 필자는 강조해 왔습니다. 하지만 하늘을 볼 수 없다면 ‘구름은 왜 떠 있고 또 모양은 왜 다른가?’와 같은 질문을 떠올리기 어렵듯이 인간이 지닌 5감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받아들이는 관찰이 없다면 질문 또한 쉽지 않습니다. 따라서 시각, 청각, 촉각, 미각, 그리고 후각을 통해 받아들이는 정보를 두뇌가 정확하게 인식할 수 있어야 관찰을 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일상에서 관찰을 한다는 것이 쉽다고만은 할 수 없습니다.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은 질문을 능동적으로 할 수 있도록 관찰력을 늘리는 것에서 시작합니다. 우선 시각이라는 감각을 예로 들어 무엇이 관찰을 하는데 장애의 요소로 작용하는지 살펴보고 다음으로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을 이야기하겠습니다.

축구, 테니스, 골프 등 공을 다루는 스포츠를 TV와 같은 매체를 통해 볼 때 느린 동작으로 움직이는 선수들의 모습을 독자 여러분들도 종종 접했을 것입니다. 필자가 찾은 한 가지 공통점은, 골프를 예로 들자면, 선수의 팔은 이미 스윙을 해서 공을 치고 지나갔음에도 선수의 눈은 공이 있던 자리에 머물러 있다는 것입니다. 선수들이 이렇게 공은 이미 떠나갔음에도 공이 있던 자리에서 눈을 떼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그 답을 필자는 인터넷에서 접한 한 동영상에 찾을 수 있었습니다.

시각과 두뇌의 상호 작용을 실험하는 동영상에서 마술사가 컵 3개를 놓고 그 중 하나에 공을 넣은 뒤 빠르게 섞은 후 바로 앞에서 지켜보는 사람에게 공이 어느 컵에 들어있는지 맞춰보라는 실험이었습니다. 물론 바로 앞에서 지켜보던 사람은 단 한 번도 공이 들어있는 컵을 맞추지 못했습니다. 그러자 이번에는 컵을 투명한 것으로 바꿔 공이 잘 보일 수 있도록 한 뒤 다시 같은 실험을 반복합니다. 하지만 컵을 빠르게 섞은 후 카메라에 비친 세 개의 컵 중 그 어느 것에도 공은 없었습니다. 마술사가 공을 옮기는 척 하면서 빼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바로 앞에서 지켜보던 사람은 ‘난 분명히 공이 왼쪽 컵에서 가운데 컵으로 옮겨가는 것을 봤다’라고 말합니다. 옮기는 흉내만 하고 공을 감추는 모습이 느린 동작 영상에서는 뚜렷하게 보임에도 불구하고 앞의 사람은 공이 중간 컵으로 옮겨가는 것을 분명히 봤다고 이야기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필자는 그 답을 두뇌에서 찾습니다.

사람은 빠르게 움직이는 물건 있을 때 그 물체를 정확하게 관찰할 수 없습니다. 이는 빠른 속도로 달리는 차에서 상대적으로 가까운 거리에 있는 물체나 환경을 바라보면 쉽게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가까운 거리에서 빠른 속도로 움직이는 물체를 두뇌가 뚜렷하게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두뇌는 시뮬레이션을 통해 물체의 움직임을 가상현실처럼 만들어 낸다는 것입니다. 그렇기에 앞의 실험에서 공의 움직임을 따라가던 사람이 공은 마술사의 손에 의해 이미 사라지고 없었음에도 공이 옮겨가는 것을 보았다고 하는 이유도 이 사람의 두뇌가 시뮬레이션을 통해 가상으로 빠른 물체의 움직이는 영상을 만들었기 때문이라는 것입니다.

빠르게 움직인다는 것을 시각으로 따라가면서 보려하면 인간의 두뇌는 시각을 통해 들어오는 정보를 정확하게 분석할 수 있는 시간을 갖지 못하게 되고 따라서 그것을 보완하기 위해 가상의 이미지를 만들어 그것이 마치 실체인 것으로 착각하게 한다는 것입니다. 앞에서 예를 든 스포츠 선수들의 경우 공은 이미 날아갔음에도 공이 있던 자리를 좀 더 오랜 시간 보고 있도록 훈련을 하는 이유도 공을 치는 순간 시각으로 들어오는 정보를 두뇌가 처리할 수 있도록 시간을 주기 위해서라고 필자는 해석합니다.

주변에서 빠르게 움직이는 것들을 내가 통제할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내가 내 몸의 움직임은 느리게 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은 모든 것을 느리게 하며 앞서 스포츠 선수들처럼 내 손이 닿는 것 하나 하나를 정확하게 보고 그 정보를 두뇌가 시간을 가지고 해석할 수 있도록 훈련을 하는 것입니다. 

지금 이 순간 독자 여러분들께서는 빨리 무엇을 끝내려고 서두르고 있지는 않은지 돌아보는 것은 어떨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측정의 기준-단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276
66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자연과학과 철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2275
6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여행시대를 향한 진일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273
66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보 교환 수단의 미래- 양자 통신이란 무엇인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270
6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배론 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266
6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257
6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여진 정벌과 9성 개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2256
65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54
6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4 2253
6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를 세우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250
6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49
6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목성 탐사위성 주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2245
6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42
65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41
65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238
649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한 가족된 지구촌, 은퇴 이후 삶 - 어디가 좋을까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32
648 [과학 이야기] 펜싱에 숨어 있는 신비로운 과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2228
6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양자 컴퓨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1 2228
6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보살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223
6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튼과 사과나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22
6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20
6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20
6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은 경쟁의 최전선에서 상대와 겨룰 수 있는 힘의 원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1 2219
6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11
640 불의 고리(Ring of Fir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2209
6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206
6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2. 백제 금동 대향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203
6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02
6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절두산(切頭山) 순교성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201
6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195
6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사람의 이해력을 탓하는 교육자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192
6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92
63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 중급단계 주제를 다루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2190
63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86
63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교육방법과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168
6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61
6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58
627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곤경 처한 사람들의 다른 선택, 인간 본성에 대한 고민 다시 해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57
62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53
6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149
6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47
6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2145
622 새롭게 개정된 AP Physics 시험제도, 어떻게 바뀌었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145
6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145
6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에 따라 지은 서울의 4대문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143
61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인간의 여섯 번째 그리고 일곱 번째 감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6 2142
61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의 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2141
61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7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6 2140
6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2138
615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책, 강의 등 외부의 지식을 나의 것으로 소화하여 받아들이는 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137
6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36
6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1. 백제의 무령왕릉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131
6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구체적인 공부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28
6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23
6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2122
6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9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0 2120
6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2119
6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18
6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17
60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1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