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합성어 쪼개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합성어 쪼개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0-19 09:05 조회1,821회 댓글0건

본문

공부를 하는데 있어서 가장 기초단계의 하나가 개념을 익혀가는 과정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실제로 필자가 몇 과목 수업을 맡아서 강의하고 있는 대학의 교수들이 모여 회의를 할 때에도 ‘어떻게 하면 학생들에게 교과 과정에 나오는 개념들을 좀 더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까?’ 또는 ‘개념과 개념을 연결하여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방법은?’ 등을 주제로 종종 논의를 합니다. 이것은 곧, 개념을 익혀가는 것이 공부의 기초이기도 하지만 그 과정이 쉽지가 않다는 것을 반영한다고도 할 수 있습니다. 개념을 익힌다는 것이 왜 이렇게 힘든 것일까요? 이번 칼럼에서는 그 이유 중 하나인 합성어에 대해 다루겠습니다. 

필자가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에 관한 칼럼을 시작하면서 초기에 다루었던 내용이 ‘개념을 연결하여 쌓아가는 방법’이었습니다. 공부를 하는 과정에서 각각의 개념을 독립적으로 외우는 방법이 아니라 구슬을 꿰듯 서로 연결하여 하나의 개념을 떠올리면 그 연결고리를 따라 자연스럽게 다음의 개념들을 머리에 떠올릴 수 있는 방법이라는 점에서 공부의 효율을 높일 수 있고 나아가 기억력도 늘릴 수 있습니다. 물론 이 방법을 통해 새로운 개념도 스스로 탐구해 나갈 수 있지만 그 개념이 합성어와 같이 여러 개의 개념이 합쳐진 경우 (예, Biodiversity - 생물의 다양성 등)에는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이러한 합성어의 경우, 그것을 하나의 개념으로 받아들여 사용하기에는 너무나 많은 내용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이 칼럼에서는 설명이 쉽도록 ‘Biodiversity’라는 영어로 된 합성어를 예로 들어 이야기 하겠습니다. 필자가 영어로 된 합성어를 예로 드는 이유는 한국어의 경우 표의문자인 한자 (예, ‘생물’은 한자의 살아서 움직인다는 뜻의 ‘생’과 물질이라는 ‘물’을 합친 단어)를 포함한 경우가 많아 설명이 길어지기 때문입니다.

Biodiversity는 말 그대로 생명을 뜻하는 Bio와 다양하다는 뜻의 ‘diversity’라는 단어가 합쳐져서 이루어진 단어입니다. 일반적으로 학생들이 공부하는 방식은 이 단어가 무엇을 뜻하는지에 대해 책이나 학교에서 배운 내용을 숙지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주어진 합성어를 하나로 받아들여 공부를 하는 방법 (예를 들어 biodiversity에 대해, 고양이는 몇 종이 존재하며 어느 지역에 따라서 어떻게 다른지 또 왜 달라지는지 등)으로 접근을 하게 되면 공부가 각각의 경우를 찾아 외워서 숙지하는 방향으로 흐를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렇게 경우의 수를 늘려가면서 공부하는 경우 새로운 정보가 나올 때마다 그것을 받아들여 소화를 해야 하기에 공부의 양은 정보의 증가와 함께 비례해서 늘어날 수밖에 없습니다. 이는 대학에서 학생들이 학교 수업을 받을 때 얼마나 많은 다양한 참고 문헌을 찾아 읽어서 소화를 해야 하는지 그 현실을 접해본 독자 분들이라면 쉽게 이해하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렇다면 필자가 이야기하는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에서 사용하는 ‘합성어를 쪼개는 방법’은 무엇일까요?

합성어를 쪼개는 방법은 말 그대로 합성어를 합성어 이전의 상태로 나누어 놓고 각각에 대해 먼저 그 개념을 완전하게 숙지한 다음 다시 합성어로 되돌아와서 공부하는 방법입니다. 아래 그 방법을 좀 더 구체적으로 적어보겠습니다.

‘합성어를 쪼개어 공부하는 방법’

1. 합성어를 최소 단위의 단어로 나눈다. 예) Biodiversity = BIO + Diversity

2. 질문을 바탕으로 나누어진 각각의 개념을 찾아 익힌다. 예) Bio – 생명을 뜻하는 단어이므로 생명에 대해 ‘생명은 무엇인가?’와 같은 질문을 바탕으로 생명에 대한 개념을 익히고 마찬가지로 Diversity (다양성)에 대해 ‘다양성은 무엇이며 어디서 오는가?’와 같은 질문을 바탕으로 다양성에 대한 개념을 먼저 익힌다.

3. 원래 합성어의 의미로 되돌아가서 2번에서 정리한 내용을 바탕으로 나만의 개념을 통해 정의를 내리기. 예) Biodiversity – 주어진 환경이나 조건에 생명체가 적응하면서 뼈나 피부조직 등이 변화하여 나타나는 생명체의 차이.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전 등을 찾지 않고 2번에서 내가 찾은 개념을 바탕으로 합성어에 대한 나만의 정의를 내려 보는 것입니다.)

4. 내가 생각한 정의와 사전이나 교과서적 정의를 비교하여 차이점과 비슷한 점을 나열한 후 분석하기. (이 부분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에 다루겠습니다.)

위의 과정에서 3번 단계는 2번 과정에서 개념을 얼마나 구체적으로 찾아 서술하였는지에 따라 내용이 많은 차이를 보일 수 있습니다. 이는 개개인의 구체적인 서술능력에 따른 것이기에 공부를 거듭할수록 늘어갈 수 있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실제로 적용해보지 않고 이 방법들을 지식으로만 숙지하는 경우 공부의 진전을 기대하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필자는 우선 시작하는 단계로서 합성어를 그대로 받아들이기보다는 한번이라도 최소 단위로 쪼개서 각각에 대해 잠시라도 생각을 해 보라고 독자 여러분들께 제안 드립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5건 6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65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3 우선순위 파악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711
6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45
6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8 2187
6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45
6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780
660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36
65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79
6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953
657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1. 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2392
6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발휘하는 사람들과 그렇지 않은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2 1551
6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5 1418
65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438
6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39
6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67
651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89
6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757
6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2 신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3457
6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407
6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를 능동적으로 움직이도록 만드는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481
6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초기의 대외 관계-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415
6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661
644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97
6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두뇌에 대한 이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594
6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의 토지 제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5 2443
6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홀로 선다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769
6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의 집단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1749
6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32
6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행복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123
6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2 (칭찬과 벌을 통한 교육은 배우는 사람을 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1331
6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61
6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처리하는 방법 1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513
6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3 - 가르치는 사람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557
6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35
6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1693
631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38
6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 공부에 미치는 영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1924
6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926
6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1973
627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79
6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영재는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으로 이룰 수 있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545
6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93
6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1718
62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50
6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603
6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지방 행정 조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3 5399
6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1814
61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69
6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1504
6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주자학과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9 4143
61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하는 사람과 집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7 1236
615 [김바울의 교육칼럼]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수업 환경, 능동적인 공부법으로 극복해 보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892
614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823
613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2004
61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과 선택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639
61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미리 준비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75
61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31
60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974
6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3150
6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5
6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절 구경 갑시다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2 2212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