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1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1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4-06 16:33 조회1,842회 댓글0건

본문

학생들의 공부정도를 확인하는 방법으로 시험, 프로젝트와 발표, 논술 등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주어진 예에서 답을 선택하는 객관식, 간단하게 답을 하는 주관식,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서술하는 논술이 학습정도를 평가하는데 가장 많이 사용되는 대표적인 방법들입니다. 이러한 공부의 평가방법이 주어진 지식을 습득하는데 멈추지 않고 새로운 것을 탐구해 나가는 학생들의 사고력에 대한 평가방법으로 사용될 수 있을까요? 이번 주와 다음 주 칼럼을 통해 객관식, 주관식, 그리고 논술과 같은 시험이 학생들의 창의적/객관적/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할 수 있는지 여부를 살펴보고 부모로서 자녀들을 어떻게 이끌어야 할 것인지에 대해 이야기 하겠습니다. 
객관식과 단답형 시험, 말 그대로 주어진 예에서 답을 선택하든지 아니면 비어있는 공간에 들어갈 답을 적는 시험입니다. 우선 아래의 예를 살펴보겠습니다. 학교에서 사용하는 교과서에 ‘일제 강점기는 근대화에 기여를 한 시기’라는 내용과 함께 독립운동에 대한 이야기도 함께 실려 있다고 하겠습니다. 그리고 학생들에게 객관식으로 ‘일제 강점기에 대한 서술 중 맞는 것은?’과 같은 문제와 함께 ‘1) 근대화에 기여한 시대, 2) 독립운동을 통해 근대화를 이룬 시대’ 등과 같은 보기가 주어졌습니다. 또 다른 시험에서는 주관식으로 ‘일제강점기는 (_______)에 기여한 시대’라는 괄호 안에 답을 쓰는 시험이 학생들에게 주어졌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이 문제들이 학생들의 사고력을 측정하는 도구가 될 수 있을까요?
교과서에 실리지 않은 내용을 예제로 사용한다면 논란이 생길 것이기에 시험을 출제하는 사람은 교과서의 내용에 바탕을 두어야 할 것이며 학생들 또한 교과서의 내용과 다른 것을 선택하면 틀린 답을 선택한 것이므로 성적을 받지 못할 것입니다. 즉, 이러한 책이나 학교에서 배운 것을 바탕으로 답을 찾아 선택해야 하는 객관식이나 주관식 시험은 학생이 주어진 것을 얼마나 잘 배우고 익혀서 가르친 대로 기억하고 생각하는지를 보여주는 방법으로 창의적/객관적/논리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도구라기보다는 교육받은 내용 (지식)을 얼마나 잘 익혔는지에 대한 측정도구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형태의 교육에서 가장 큰 맹점중 하나는 시험을 출제하는 출제자의 의도에 따라 얼마든지 방향을 바꿀 수 있는 점으로, 어린 시절부터 권력자의 의도대로 학생들이 생각하고 행동하도록 사고의 방향을 유도하는 즉, 배우는 학생들을 정신적으로 길들이는 가장 손쉬운 형태의 교육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권력자, 교과서 집필진, 시험 출제자나 채점자 등의 의도에 따라 시험의 용도가 달라질 수 있기에 이러한 시험이 학생들의 창의적/객관적/논리적 사고력을 반영하는 용도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권력자 등 교육에 관계된 모든 사람들이 이념/정치 등에 있어서 치우침이 없이 중립을 지킬 때 가능하지만 현 사회의 모습은 그렇지 않아 보입니다. 그렇다면 논술이라는 형태의 시험은 어떨까요?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표현한다는 면에서 보자면 논술은 객관식이나 단답형 주관식과는 조금 다르게 여겨질 수 있습니다. 그런데 이러한 논술을 바탕으로 글을 쓴 학생의 사고력에 대해 점수를 매기는 사람은 누구일까요? 바로 채점자입니다. 채점자의 판단에 따라 학생의 점수가 결정이 된다는 것은 곧 학생들이 점수를 주는 사람의 관점에 맞춰 글을 쓰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것을 뜻하기도 합니다. 위의 학교시험의 예를 들어 이야기하자면 학생들은 더 높은 성적을 받기 위해 수업에서 배운 대로 ‘일제강점기는 근대화에 기여를 한 시기’라는 관점에 맞춰 선생님의 뜻과 부합하는 내용의 글을 쓰도록 유도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즉, 논술 형태의 시험 또한 그것을 주관하는 사람에 따라 창의적/객관적/논리적 사고력의 측정보다는 학생들의 사고방향을 통제하는 도구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객관식/주관식 시험과 마찬가지로 논술이 사고력 측정의 도구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측정하는 사람이 학생이 쓴 글을 정치사회적 이념 등에 치우지지 않고 나아가 선생님 자신의 생각마저도 판단에 영향을 주지 않을 정도로 중립적인 위치에서 논리적 연결고리만을 보고 판단할 수 있어야 가능합니다. 하지만 학부모로서 학교의 어떤 선생님들이 어떤 방식으로 채점을 하고 또 아이들을 이끄는지 판단할 수 있는 방법은 거의 없어 보입니다. 이렇게 창의적/논리적/객관적 사고력을 측정하는 도구로서의 시험이 오히려 아이들의 사고력을 가두는 역할을 할 수 있는 상황에서 부모가 할 수 있는 것은 무엇이 있을까요? 3월 31일 칼럼에서 계속.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7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113
60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12
6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 때 의병의 활동 – 2 심현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2111
6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6
600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05
5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03
59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99
5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095
5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3
5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90
59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087
593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6
5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84
5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80
5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80
58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78
58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7
5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5
58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72
5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71
5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67
58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067
58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65
5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65
58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62
579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59
5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8
5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54
5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54
57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52
574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50
57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49
572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7
5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6
5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45
5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39
56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39
5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7
5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033
5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2033
564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31
5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름이나 지식에 얽매이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29
5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9
5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2026
56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25
559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24
5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24
5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23
5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22
5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21
55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21
5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19
55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17
5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13
550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007
54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04
5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99
5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999
5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6
5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9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