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페이지 정보

작성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5-24 10:12 조회3,654회 댓글0건

본문

 

?ui=2&ik=8b85a9b931&view=fimg&th=16385c3251592e52&attid=0.1.1&disp=emb&attbid=ANGjdJ-wZbu0G3whhTf1G72ttqp0QkTveQ-35FLMStoJ58H-epWaOpWfzYJI63e1EI2Fb1It5fQL1j-oUvS7ftpcvYvFfVqJ8I_7Jf2dIvBKCBrJO8GBNQWQcdb7kvc&sz=s0-l75-ft&ats=1527181853357&rm=16385c3251592e52&zw&atsh=1 

* 삼국사기(고려 인종, 김부식, 1145)

 

?ui=2&ik=8b85a9b931&view=fimg&th=16385c3251592e52&attid=0.1.2&disp=emb&attbid=ANGjdJ_uGCxP1stqEG4fa66a_9MOtf2prLe_iErzzZEN9PLgKA39xaISa30rRFQBnRrhplohNy19Tb6A7eZs-WO8yEG-q-Q5MoNdiO7dXKBLftZaMtzhJRv1XwyN2nU&sz=w1284-h814&ats=1527181853358&rm=16385c3251592e52&zw&atsh=1 

* 삼국유사(고려 충렬왕, 일연, 1285)

 

 

삼국사기를 올리는 글

 

성상 폐하께서는 "오늘날 학자들이 중국의 경전과 역사에 대해서는 간혹 두루 알아 자세히 설명하는 사람도 있지만, 우리나라의 역사는 도리어 잘 알지 못하니 매우 유감스러운 일이다. …… 중국 역사서에 삼국의 기록이 있으나 자세하지 않고, 예부터 전해 오던 고기의 내용은 빠진 내용이 많아 후대에 교훈을 주기 어렵다. 임금의 선악, 신하의 충과 불충, 나라의 안위, 백성의 다스림에 관한 것을 다 드러내어 후세에 잘못됨이 없도록 타일러 주의함을 보이지 못하였으니, 일가의 역사를 완성하여 만대에 전하여 해와 달같이 환하게 하고 싶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김부식

 

- 일흔이 넘어 「삼국사기」편찬을 마친 김부식이 인종에게 바친 글이다. 김부식은 경주 출신의 문벌 귀족이자 유학자이다. 그는 묘청의 서경 천도 운동을 진압한 후, 유교 이념으로 지배 질서를 재정립하고 금과 온건한 대외 관계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그의 성향 때문에 「삼국사기」는 사대주의 경향을 지닌 신라 중심의 역사서로 인식되기도 한다.

 

  그런데 윗글에는 정작 우리 역사를 잘 알기 위해 「삼국사기」를 편찬했다는 뜻이 잘 나타나 있다. 김부식은 "괴력난신(초자연적이고 신비한 것)은 서술하지 않는다."라는 원칙을 따랐지만, 삼국 고유의 기록을 존중하였다.

 

  이에 고구려 주몽이나 신라 박혁거세의 건국 신화도 실었다. 유교적 가치관에 맞지 않는 사실이라 해도 있는 그대로 기록했고, 저자의 평을 구분하여 서술하였다. 또한, 고구려, 백제, 신라의 본기를 똑같이 두었으며, 각 본기에서 해당 국가를 "우리나라"라고 칭하였다. 본기는 기전체 사서에서 황제의 행적을 다룬 부분이다.

 

  이처럼 「삼국사기」에는 삼국의 역사를 동등하게 다루고, 중국의 역사와 대등하게 인식했던 흔적이 있다.

 

 현종 때 거란의 침입으로 전적 대부분이 불타 버렸으므로 1대 태조로부터 7대 목종 때까지의 「7대 실록」의 편찬에 착수하였다. 현종 4년(1013)에 최항, 김심언 등을 감수국사와 수국사로 발탁하여 「7대 실록」 36권을 만들게 하였으며, 황주량이 덕종 때 완성하였다(1034년 무렵). 「7대 실록」에 이어서 역대 왕의 실록도 편찬된 것으로 보이지만 이들 「고려 실록」은 「7대 실록」을 포함하여 모두 전해 오지 않고 있다.

 

  12세기 인종의 명을 받아 김부식 등이 편찬한 「삼국사기」는 현존하는 우리나라 최고의 사서로서 본기, 열전, 지, 연표 등을 갖춘 기전체의 정사이다. 고려 중기에는 「구삼국사」라는 삼국 시대의 역사 책이 남아 있었던 것으로 믿어지는데 김부식 등이 「삼국사기」를 편찬한 이유는 우리의 역사를 밝히 알려 정치적 교훈을 삼게 하려는 것이었다. 이러한 사관은 도덕적인 선악이 정치의 성쇠를 좌우한다는 유교적 도덕 사관이나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이라고 볼 수 있다.

 

* 역사 서술 방법

 

1. 기전체 : 역사를 군주의 정치 관련 기사인 본기와 신하들의 개인 전기인 열전, 통치제도·문물·경제·자연 현상 등을 내용별로 분류해 쓴 지와 연표 등으로 기록하는 편찬 체재. 기전체는 전한의 사마천의 「사기」에서 시작되었으나, 그 정형은 후한의 반고가 편찬한 「한서」에서부터 갖추어졌다. 이후 중국 역대 왕조의 정사로서 편찬된 25사가 모두 기전체로 편찬되었다. 중국의 경우, 정사의 편찬은 한 왕조가 멸망한 뒤에 후속 왕조에 의해 전왕 조의 실록을 기본 자료로 이용, 기전체로 편찬하는 것이 정례였다. 우리나라에서 기전체의 역사는 고려 초기에 「삼국사」가 편찬되었으나 오늘날 전하지 않는다. 김부식의 「삼국사기」가 현전하는 최초의 것이다. 고려가 멸망한 뒤, 「고려사」가 기전체로 편찬되었다. 이들 사서는 국가에서 편찬한 관찬 사서이다.

 

2. 편년체 : 역사 기록을 연·월·일순으로 정리하는 편찬 체재. 동양에서 가장 보편적이고 오래된 역사 편찬 체재이다. 오늘날 전하는 편년체 사서 중 가장 오래된 것은 중국의 경우 공자가 노나라 역사를 쓴 「춘추」이다. 우리나라에서도 편년체의 역사 책은 일찍부터 편찬되었다. 고구려에서 국초부터 기록을 남겼다고 하는 「유기」나 이를 바탕으로 정리한 이문진 「신집」, 백제에서 고흥에 의해 편찬된 「서기」, 신라의 거칠부 등이 편찬한 「국사」 등도 편년체의 역사라고 생각된다. 고려 시대에 사관이 설치되어 역사 기록을 남기고 왕이 죽은 뒤에 이를 정리한 각 왕의 실록과 조선시대에 편찬된 실록, 승정원에서 매일 일기를 쓴 「승정원일기」, 비변사 회의록인 「비변사등록」, 왕의 일기인 「일성록」 등이 모두 편년체로 쓰였다. 이처럼 당대의 기록을 정리했을 뿐만 아니라, 이전 왕조의 역사 정리도 편년체로 된 것이 있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서인 「일본서기」와 「고사기」도 편년체로 된 사서이다. 이러한 체재를 갖춘 사서의 장점은 편찬이 용이하다는 점과 역사 기록을 분산시키지 않았다는 점이다. 그러나 역사를 구조적으로 이해하고 연대가 정확하지 않은 자료를 싣기 어려운 점도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시대에는 읽히기 위한 역사서로서 많은 사서가 편년체로 기술되었다.

 

3. 기사본말체 : 사건 중심으로 기록한 역사 서술 방식. 18세기 실학사상가 이긍익의 <연려실기술>이 기사 본말 체로 기록된 대표적인 역사서이다.

 

  따라서 「삼국사기」는 유교적인 문신 귀족의 입장에서 유교적 도덕 사관 및 합리주의 사관을 토대로 고대의 우리 역사를 정리한 사서라고 평가되고 있다. 그러나 「삼국사기」는 지나치게 신라 본위로 서술되었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고려 후기 충렬왕 때에는 민족적 자주 의식을 바탕으로 전통문화를 올바르게 계승하려는 움직임이 나타나 일연의 「삼국유사」와 이승휴의 「제왕운기」 등이 편찬되었다. 이 두 책은 모두 우리나라 역사의 시작을 단군 조선으로 설정하고 단군을 비롯하여 역대 시조에 얽힌 신비한 설화를 서술하고, 민족적 정통성과 자존심을 회복하려는 의도로 서술하였으며, 주체적, 도덕적 문화 전통을 서술하였다.

 

  승려이면서 유교 지식도 갖춘 일연은 인각사에서 「삼국유사」를 저술하였다. 「삼국사기」를 보완한다는 뜻에서 「삼국유사」라고 한 것으로 보이지만 「삼국유사」는 「삼국사기」의 모자라는 점을 보완하는 것에 그치지 않고 「삼국사기」에 버금가는 사서로 평가되고 있다.

 

  이 두 사서의 특징은 크게 대별된다. 「삼국사기」가 합리적 유교 사관에 토대하여 쓰인 기전체 정사인데 반하여, 「삼국유사」는 불교사를 중심으로 고대의 설화와 야사를 풍부하게 수록하였고 우리 고유의 문화와 전통을 소중하게 다루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7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용? 중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1 2104
60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이 개인의 삶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103
6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101
6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097
600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097
5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5
59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93
59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089
59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3
5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82
5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79
59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77
5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6
5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5
59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071
5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1
58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0
58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68
586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61
5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0
5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059
5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57
5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56
581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55
5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1
5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48
578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48
57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45
576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4
575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3
5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42
57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36
5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35
57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5
5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35
5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34
5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2
56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28
5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025
5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름이나 지식에 얽매이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24
564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3
5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2022
5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1
561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20
5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2020
55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18
5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17
5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15
5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14
55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13
5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09
5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07
55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07
5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04
55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97
549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1992
5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0
5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87
5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987
5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8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