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석 이야기] 2016년은 로즈 골드(rose gold) 골드가 대세 !!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보석 이야기] 2016년은 로즈 골드(rose gold) 골드가 대세 !!

페이지 정보

작성자 박한나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4-06 16:40 조회3,893회 댓글0건

본문

5.jpg

 

[뮤즈의 보석 이야기]

 

세대 차이 불구하고 로즈 골드 찾는 사람 많아

유행 보다는 자신에게 맞는 색상과 디자인 고르면 오래 할 수 있어

 

 

금값이 2013년 이후 1oz(1 온스)당 $1750(캐나다 달러) 까지 뛰었다가 다시 $1600 선에서 가격이 조정되고 있습니다.

 

이 글이 나갈 때 쯤에는 또 어떻게 변할지는 잘 모르겠네요. 손님들께서 요즘 금에 대해 많이 관심을 가지고 문의도 많이 하고 있습니다. 

 

언제쯤 금을 사야 좋은지, 아니면 지금이 금을 파는게 좋은 시기인지 관련한 질문이 많습니다. 하지만 저의 답은 언제나 같습니다  결정은 손님의 필요와 사정에 의해서 하셔야 한다고.(제가 그것을 알고 있다면 지금쯤 재벌이 되어 있겠지요)

 

이러한 금의 역동적인 움직임 이외에도 작년에 의해 올해에 더 강해진 쥬얼리 트랜드는 화이트 골드나 옐로우 골드의 식상함을 벗어나 로즈골드 입니다. 한국 뿐만 아니라 전세계적으로 핑크골드라고 말하는 핑크색 쥬얼리가 대세를 이루고 있습니다. 

 

24K는 순도 99% 이상을 말하는 순금을 의미합니다. 99.9999 의 금이 완전 pure Gold라고 하지만 순금으로 쥬얼리를 만들면  너무 물러서 일상적이고 실용적인 쥬얼리로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18K는 75% 금과 25% 다른 금속과 합금한 것이고 14K  58.5% , 10K 41.7% 의 금의 함량을 의미합니다. 합금을 함으로써  단단하게 만들어서 스톤 셋팅이나 여러가지 디자인의 쥬얼리를 만들어내는것이지요

화이트 골드는 실버와 팔라디윰을 합금해 화이트 색깔을 내는것이고, 로즈 골드의 경우는 구리(copper))를 섞어서 붉은 빛의 금을 만든 것 입니다. 

 

로즈골드는 잘못하면 자칫 올드(old)한 느낌의 노란색과 화이트 변색에 단점을 보안할수 있는 장점을 갖고 있는 골드 색깔로 많은 인기를 끌고 있습니다. 특히 얼굴이 하얀 분들에게는 너무나 잘 어울리는 쥬얼리 입니다. 그래서 동양인, 특히 한국 여성들에게 웬만하면 잘 어울리는 골드색깔이라 다시 각광을 받고 있는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패션 쥬얼리뿐만 아니라, 결혼 다이아몬드 반지에도 핑크 골드로 원하시는 분들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 다른 쥬얼리와 차별화를 확실히 나타내고 있기 때문인 것 같습니다. 핑크 골드의 인기는 쥬얼리뿐만아니라 시계 제품에도 많이 찾아 보실 수 있습니다. 

 

결혼 예물로 핑크 골드가 섞인 시계가 구매자의 50% 이상이 선택한다고 하니  정말 대세는 대세인가 봅니다.

 

큼직한 쥬얼리보다는 아기자기하고 작은 핑크 쥬얼리가 유행하고 있고, 작은것을 여러개, 레이더드 방식으로 해보시면 올 봄에 어울리는 쥬얼리가 될 것 같습니다. 

 

물론 모든 사람들이 로즈골드와 궁합이 맞는 것은 아닙니다..피부톤이 붉은 색을 가지신 분, 혹은 피부색이 다소 어두운 분들은 화이트나 옐로우 골드가 더 잘 매치가 되고 어울립니다. 옷 디자인 색이 저마다의 다른 사람들에게 각각 어울리듯  쥬얼리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됩니다. 

 

쥬얼리를 보는 것과 직접 착용해서 느끼는 것은 큰 차이가 있습니다. 그래서 쥬얼리는 보는 것도 중요하지만 구매를 결심한다면 착용해서 자신에게 잘 어울리는지 확인하는 것도 매우 중요합니다. 각각 사람들에게는 자신에게 어울리는 디자인이 있습니다. 

 

특히 나이에 따라 어울리는 쥬얼리 크기도 달라집니다. 나이가 젊을 때 그렇게 이쁘고 어울리던 작은 크기의 쥬얼리가 나이가 좀 들어서 착용하면 왜 그렇게 촌스럽고 어울리지 않는 경험을 해 본 분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것은 엄마나 할머니가 착용하던 쥬얼리가 어린 학생들에게 잘 어울리지 않는 것과 비슷합니다. 하지만  유행은 언제나 지나갑니다. 그래서 무작정 유행을 쫓기 보다는 자기에게 어울리는 색상과 디자인 선택이 현명한 구매 원칙이 될 것 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로즈 골드 열풍은 한동안 계속 되리라 생각됩니다.

 

박한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8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과 동물의 삶은 다르지 않다?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3 1756
54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6) - 토론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756
54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주제의 핵심요소 찾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1758
54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0) - 돈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1758
540 생활 속의 자녀교육 (16)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758
539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14) - 사회문제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1761
5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1763
537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방법을 익히는 방법이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77
5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1 1778
53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합성어 쪼개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82
5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많은 사회문제는 교육이 그 시작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785
5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793
532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794
53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1795
530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생리의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796
5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797
528 [CELPIP의 모든 것] 영주권 ㆍ시민권 수월하게 신청하는 영어시험 ‘셀핍(CELPIP)’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799
5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07
5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유방암 진단을 위한 맘모그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12
5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메르스 증후군(MERS), 제대로 알아보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813
5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15
5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1817
5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쁨과 행복은 미래에 대한 불안감을 해소하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18
5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빠, 자동차 바퀴는 왜 전부 까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1822
52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감정 조절과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1823
5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26
5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26
51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1 1827
51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28
515 [과학 이야기] 기억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1 1829
51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공부의 원동력 =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833
5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관절 꺽기' 연구를 왜 할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834
512 토의 vs 논쟁 (토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835
5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1835
5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1836
50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대할 때 감정을 배제하기 어려운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1837
508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39
50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명령하는 부모와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1839
5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을 배우는 공부는 생각이 필요가 없어 사고력을 늘리지 못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1841
5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3. 익산 미륵사지 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41
50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5 1842
5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43
5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43
5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운현궁 – 조선말, 왕실문화를 거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7 1846
5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문으로 세상을 보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850
499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3 1850
49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55
4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856
49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59
495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고득점을 원하는분들을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860
49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훈련과정 보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31 1861
49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네가 알아서 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1861
492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62
49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863
4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Deep Impact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866
489 [Jay의 재미있는 도서관 이야기] 3D 프린터와 스캐너의 신기한 세계, 코퀴틀람 도서관에서 만나요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867
4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저 광 케이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870
4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6 1871
4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872
4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남태평양 앞바다에 추락한 텐궁 1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7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