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11-01 16:08 조회1,916회 댓글0건

본문

지난 주 칼럼에서 필자는 감정의 조절과 공부에 대해 이야기 했습니다. 요약하자면, 일어난 감정이 표출 된 후 감정이 일어난 이유를 찾아 일어난 감정이 더 크게 확산되거나 또는 후에 비슷한 상황에서 감정에 휘둘릴 가능성을 줄이는 한 방법으로 감정의 조절을 이야기 했습니다. 그런데 이 방법은 이미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었다는 결과를 바탕으로 하는 후속 조치로서의 공부이기에 처음부터 일어난 감정을 표출하지 않는 방법에 비해서는 그 효과가 미미합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감정이 일어났다 하더라도 그 감정을 표출하지 않음으로서 스스로 갈등을 야기하는 상황에 빠지지 않아 객관적/논리적/창조적 사고가 조금은 더 원활하게 발휘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드는 방법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 

 

우선 방법에 대해 이야기하기 전에 감정이 표출되었을 때와 그렇지 않았을 때를 비교하여 설명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남편이 집에 돌아옵니다. 하루 일과를 끝내고 피곤하기도 하지만 배도 고파서 차려져 있을 아내의 밥상을 생각하며 문을 들어섭니다. 그런데 집에는 아내도 없고 밥도 차려져 있지 않습니다. 이 순간 화가 치밀어 오릅니다. 10분 20분을 기다려도 아내는 집으로 돌아오지 않습니다. 화가 나 전화를 해도 연결이 안 됩니다. 걱정과 함께 화가 뒤섞인 감정에 휩싸여가던 차에 아내가 문을 엽니다. 남편은 아내가 문을 열고 들어서자마자 소리를 지릅니다. ‘어디를 싸돌아다니다 이제와!’ 그리고는 고성이 오가는 싸움이 시작됩니다. 

독자 여러분들께서는 드라마에서 접할 수 있을 법한 이 상황을 어떻게 보시나요? 어떤 분들은 아내에게도 그럴만한 이유가 있을 것이기에 남편이 화를 내는 것이 잘못됐다고 또 어떤 분들은 그래도 밥을 차려놓지도 않고 연락도 없이 오지 않은 아내가 잘못한 것이니 남편이 화를 내는 것은 당연하다고 등등, 각자 자신의 생각과 판단을 가지고 이 상황에 대해 생각하고 이야기 할 것입니다. 그런데 이 상황에서 ’당연히 화를 낼 수 있다/화를 내지 말아야 한다/화를 내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이해할 수 없다’와 같은 논란이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상황은 비슷하지만 남편이 화를 내지 않았을 경우를 생각해보고 이야기를 계속하겠습니다.

 

이번에는 반대로 남편이 화를 내지 않았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상황이 이렇다면, 우선 아내가 화를 낼 이유가 없을 것입니다. 그렇다면 이 상황을 본 사람들의 반응은 어떨까요? 필자가 지금까지 접한 경우들을 생각해보면 대부분 ‘나라면 저 상황에서 화를 냈을 것 같은데’와 같이 자신의 의견을 피력하는 정도에서 마무리 되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즉, 논란이 일어나기보다는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선에서 그쳤다는 것입니다. (여기서 필자는 참는 것이 아닌 화를 내지 않았음을 전제로 했습니다. 그 이유에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에 무엇을 참는다는 것과 공부의 상관관계에서 다룰 예정입니다.)

 

전자의 예에서는 남편이 화를 내었다는 결과는 그 결과 자체가 또 다른 원인이 되어 부부 싸움을 넘어서 주변 사람들의 논란거리가 되었다는 결과를 낳았다면, 후자의 경우는 남편이 화를 내지 않음으로서 부부싸움도 벌어지지 않고 또 주변 사람들도 이 문제를 놓고 논쟁을 벌일 가능성도 적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화를 냈다’와 같은 감정적 결과물의 표출은 마치 잔잔한 호수에 던져진 돌과 같아 돌의 크기에 따라 파장의 정도가 다를 뿐 그 여파는 피할 수 없는 결과물이 됩니다. 달리 말하자면, ‘화를 냈다’, ‘짜증을 냈다’, ‘분노 했다’ 등과 같은 감정의 결과물은 내가 아무리 원치 않았다 하더라고 상대 또는 주변 사람들로부터, 정도의 차이일 뿐, 반발이나 논쟁을 피할 수는 없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필자는 일어난 감정의 표출 후 감정이 일어난 이유 등을 살펴보는 공부를 통해 향후 일어나는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을 익히는 것으로 공부를 시작하되 점차적으로 표출된 후의 감정조절이 아닌 일어난 감정이 표현되지 않을 수 있도록 하는 방법을 익혀보시라고 아래와 같은 방법 하나를 제안합니다.

감정이 일어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 - 관찰, 서술, 그리고 질문

 

예) 남편은 화가 난 상태로 아내가 오기를 한참을 기다리던 중 드디어 문이 열리며 아내가 집에 들어섭니다. 남편은 아내의 모습을 살핍니다. 남편에게 보이지 않으려 살짝 고개를 돌린 아내의 머리카락 사이로 어디가 아픈 듯 찡그린 얼굴과 한참을 울었는지 빨갛고 부은 얼굴이 살짝 보입니다. 화는 어느새 녹아 없어지고 남편은 조용히 다가가서 아내에게 ‘무슨 일 있었어?’하며 어깨를 감싸 안아 집안으로 안내합니다.

여기서, 비록 남편은 화가 나 있는 상태로 아내를 기다리고 있었지만 아내의 모습을 관찰하고 서술하는 과정에서 화를 내지 않고 아내의 상황을 이해하려는 쪽으로 방향이 바뀔 수 있습니다. 그리고 그 이유를 알고자 질문을 했습니다. 이와 같이 일어난 감정이 표출되지 않도록 예방하는 방법은 감정을 표출하기 전에 상황을 관찰하고 서술하며 나아가 질문을 함께 했을 때 가능합니다.

하지만 궁극적으로는 감정이 일어날 만한 이유마저 없도록 훈련 하는 것이 공부에 있어서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라고 필자는 이야기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8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5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9 1637
545 [김바울의 리사운드 영어교육 칼럼] 인텔리들의 영어표현법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2143
5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40
5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박에 빠지는 이유와 공부 방법이 어떤 연관이 있나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733
5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2342
54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고 출신이 수시 지원할 때 알아야 할 것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2948
5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1774
5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강화도 조약(1876, 조·일 수호 조규, 병자 수호 조약)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3658
5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9 1855
5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54
53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해외 고교 재학생이라면 이것부터 알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883
5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693
5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가 힘들고 지겹고 싫고 어렵습니다.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921
5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7 1563
5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1 2315
531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23
53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특례, 수시 전문 입시컨설팅 그룹 리사운드입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890
5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691
5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25
52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127
5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69
5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832
5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64
52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컨설팅] 우선순위만 잘 알아도 합격합니다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21
5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2 2382
5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57
52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113
51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9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2 2270
518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97
51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183
51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1)자격요건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725
51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8 2453
51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2 2473
513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자기소개서 교육컨설팅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533
5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57
511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89
510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울어야 얻는다'…당당히 요구해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571
5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862
508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고용 서명 전에 연봉·복리 조건 협상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525
5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51
50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50
50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03
50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107
5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579
50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막강한 추천인 한 마디…입사 당락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035
5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38
50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43
49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32
4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홍산(훙산) 문화(기원전 6,000년 ~ 기원전 800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3440
49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안전한 웹사이트와 안전하지 않은 웹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2559
49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이력서 심사 30초면 결판…첫눈에 들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444
4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6 2684
494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입사 1차 관문 통과, 이력서가 결정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08
49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7 2513
492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핵심 사이트 몇 개면 취업정보 얻는 데 충분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3223
4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100주년을 맞이하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887
49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짜가 아닌 가짜뉴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1 2427
48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유명 기업보다 내가 필요한 회사 찾아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270
48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일제의 식민지 문화 정책과 국학(국어, 한국사) 운동의 전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3 2604
487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석사 + 자격증 + 실무 경력' 가장 선호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75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