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2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0-02-10 15:25 조회1,917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2

 

이 내용은 민동필 박사가 학생 또는 부모들로부터 받는 공부 방법, 두뇌의 발달 그리고 사고력을 키우는 방법 등에 관한 질문들에 답을 하는 내용입니다. 이와 비슷한 주제에 대해 궁금한 것이 있는 분들은 min@PonderEd.ca로 연락주세요.

 

 

- 앞서 이야기를 정리하자면 결국 학교에서도 배우는 학생들이 스스로 방법을 찾을 수 있도록 가르치는 것도 아니고 또 가르치는 사람의 능력이 아닌 학생들의 이해력을 탓하며 나아가 학생들에게 가르치는 자신을 따르도록 강요하는 것이 교육의 현실이라는 뜻이군요.

 

, 그런데 세계 그 어디를 가도 교육이 그렇게 될 수밖에 없었던 이유가 있어요. 지금까지 사고력이라는 두뇌의 영역을 직접적으로 다루며 가르칠 수 있는 방법을 가진 사람이 없었거든요.

 

- 그러면 어떻게 하면 학생들이 사고력을 키울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나요?

 

그 부분은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하는 공부 방법에 대한 이야기를 시작하면서 하나씩 살펴볼 테니 다시 목적이나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공부 방법으로 돌아가서 이 부분을 먼저 마무리 짓죠?

 

- , 아직 그 부분이 끝나지 않았네요. 그러면 목표를 세우고 그것을 이루기 위한 방법을 찾아가는 공부 방법을 학생들이 배우려면 무엇을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앞서 말했듯이 방법은 간단해요. 인터넷이나 누구의 도움을 구하는 것이 아니라 방법을 스스로 찾도록 생각에 생각을 거듭하는 것이지요.

 

- 하지만 그것이 어려워서 자꾸 인터넷을 찾는 것 아닐까요?

 

지금 하려는 말이 바로 그 부분이에요. 방법을 찾는 것이 어려워 외부의 도움을 얻으려는 생각이 공부를 방해하는 가장 큰 요소 중 하나죠.

 

- 이해는 가요. 공부도 내가 하는 것이니 내가 스스로 생각해봐야 한다는 점은요. 그렇지만 어렵잖아요. 그래서 인터넷을 찾는 것이고요.

 

물론 쉽지 않죠. 그래서 편법을 하나 알려드릴게요.

 

- 편법이라면 체계적인 훈련방법 외에 현재 주어진 상태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방법인가요?

 

맞아요. 일단 자신의 사고력을 바탕으로 방법을 찾는 것이 어려우니까 반대로 인터넷이나 참고문헌 등을 통해 얻은 방법을 내 것으로 소화하는 방법이에요.

 

- 조금 전에 인터넷 같은 것을 이용하면 사고력을 키우기 어렵다고 하지 않으셨나요?

 

그건 정보를 찾은 사람이 정보를 스스로 소화하지 못하고 다만 도구로 사용했을 때의 이야기죠. 예를 들면 망치라는 도구를 찾아서 못을 박는 용도로만 사용한다면 두뇌는 생각을 이어갈 이유가 없어요. 그러면 사고력과는 멀어지죠.

 

- 그러면 도구를 찾았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일단 도구 자체에 대한 분석부터 시작해요. 망치라는 도구를 인터넷에서 가져왔으면 망치를 하나하나 관찰하고 설명하는 것에서 시작하죠.

 

- 도구, 즉 방법 자체를 관찰하라는 뜻이군요. 그 다음은요?

 

라는 단어를 넣어 질문을 합니다.

 

- 예를 들면 왜 손잡이는 나무로 되어 있는가?’와 같은 질문인가요?

 

그렇죠. 그런 식으로 도구 자체를 설명하면서 질문을 만드는 거죠.

 

- 그러면 이런 방법이 사고력을 늘려줄 수 있는 건가요?

 

체계적인 공부 방법에 비하면 효율이 많이 떨어지지만 적어도 사고력을 늘릴 가능성은 키울 수 있어요. 예를 들어 스마트폰이라는 도구를 얻고 나서 그것을 관찰하면서 볼륨을 조절하는 버튼은 왜 내가 보는 방향에서 왼쪽 상단에 위치하도록 만들었나?’와 같이 질문을 하면 적어도 스마트폰을 디자인 한 사람들의 사고력을 따라잡을 수 있죠.

 

- 그러니까 도구를 만든 사람들이 어떤 목적으로 그렇게 만들었는지를 생각하면서 따라갈 수 있다는 뜻이군요. 이렇게 하면 실제로 도구를 만든 사람의 두뇌를 내가 복사해서 붙이기를 하는 것과 같으니 배우는 것은 많을 것 같네요.

 

하지만 한 가지 꼭 염두에 두어야 할 것이 있어요.

 

- 그게 뭐죠?

 

도구를 만든 사람의 사고력을 따라가면서 배우는 것은 가능해도 그것을 넘어서는 창의적인 사고력은 어려울 수 있다는 점이요.

 

- 스승만한 제자 없다는 뜻으로 들리는데요. 하지만 앞서 말씀하실 때 사고력은 새로운 방법을 찾아내는 두뇌의 힘이라고 하셨잖아요. 그런데 이렇게 배우는 것이 많으면 새로운 방법을 찾을 확률도 높아질 것 같고 그렇다면 사고력도 기를 수 있다고 보이는데 창의적인 사고는 힘들다는 말은 모순 아닌가요?

 

모순이라고 할 수는 없죠. 창의적 사고가 어렵다고 했지 전혀 가능성이 없다고 하지는 않았거든요. 이 방법으로 공부를 하면 드물기는 하지만 창의적 사고의 가능성을 늘릴 수 있거든요. 다만 각 개인의 두뇌능력에 따라 차이가 나죠.

 

- 지금 알려주신 공부 방법은 말 그대로 개인에 따라서 사고력을 키우는 훈련이 될 수도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뜻이네요. 모든 것이 너 자신에게 달려있다!’로 끝나니 이 방법을 이야기 하는 민 박사님은 더 이상 할 것도 책임도 없다는 뜻으로도 들리고요. 가끔 한 사회지도자라는 사람이 질문하는 사람들에게 나는 알려줬으니 실행에 옮기는 건 배우는 당신이 알아서 해야지 왜 자꾸 나에게 와서 더 가르쳐 달라고 또 해 도 안 된다고 따지냐?’라는 식으로 접근하는 것을 봤는데 지금 민 박사님의 접근법도 같은 것 아닌가요?

 

43cbfc2092a47630d813e39029f5230d_1581377070_9303.png
 

 

===================================================

민동필 박사는 미국 워싱턴주의 Washington State University에서 생화학/생물물리학 박사학위를 받고 뉴욕의 코넬대학 의과대학 (Weill Cornell Medical School)에서 박사 후 과정을 거쳤으며 콜럼비아 대학에서 선임연구원으로 있었다. 이후 캐나다로 이민 오면서 캐나다 국립 연구원에서 연구를 하며 동시에 혈우병 치료제에 관한 연구를 몬트리올에 위치한 콩코디아 대학의 겸임교수로 있으면서 진행했다. 이후 밴쿠버로 이주한 후 고기능 자폐아들의 교육을 위해 교육방법에 대한 연구를 수년간 진행해 왔고 그 결과 학생 및 일반인들이 할 수 있는 공부 방법으로 확장하여 최근 사고의 전개과정을 기반으로 한 교육이라는 새로운 공부 방법을 만들어 세상에 내어 놓았다. 새로운 공부 방법에 관한 자세한 내용은 http://www.PonderEd.ca 에서 볼 수 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9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8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스스로 목표를 설정하고 이루어 나가는 두뇌능력을 소유한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2 1878
483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대학과 사회를 위한 도구로서의 나 vs 내 삶을 위한 도구로서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880
482 [김바울의 교육칼럼] 아이엘츠 리딩 시작하시는 분들 위한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81
4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81
48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82
47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가 힘들고 지겹고 싫고 어렵습니다.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2 1882
47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남태평양 앞바다에 추락한 텐궁 1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84
477 자녀가 친구와 다퉜을 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886
476 생활 속의 자녀교육 – 답을 찾아 헤매는 방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1886
4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추워도 너무 추운 밴쿠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887
4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91
47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 공부에 미치는 영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1892
47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공부에 활용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1896
4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0 1897
4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무어의 법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1902
469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인터뷰하고 싶게 짧고 강렬해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3 1904
468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부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910
46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11
4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베누' 소행성에 대한 연구를 위한 탐사선 발사 계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913
4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9 1913
4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마도와 천마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1916
46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17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0 1918
4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20
46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코딩 교육(Coding Educati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920
45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새로운 물건을 사고 싶어 하는 아이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1921
4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송시열과 그들의 나라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22
4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나만의 세상에 빠져 사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1 1924
4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7 1926
455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26
45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총 정리 – 1단계, 사고의 틀을 벗어나는 훈련 + 5감을 바탕으로 지식을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1930
453 기억에 대한 불편한 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930
45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3 1932
4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33
4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6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936
4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루 문(Blue Mo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936
4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의 바둑 대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936
447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고력 키우기 (행동으로 옮기기 전에 생각하는 훈련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36
4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1937
4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로제타 프로젝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937
4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1940
4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쉽지만 쉽지 않은 영재의 두뇌능력, 그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1941
44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43
44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특강] 좋은 글쓰기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944
4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9 1945
4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0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7 1947
438 [CELPIP의 모든 것] “평이한 ‘리스닝’, 인터뷰 아닌 반복훈련으로 준비하는 ‘스피킹'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947
4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박사방 사건과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4 1948
4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3 1953
43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57
434 [과학 이야기] 황금 비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7 1958
43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61
432 [민 박사의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하고 '어떻게' 할까 -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1961
4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67
4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71
4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972
42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에 있어서 이 칼럼의 용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0 1977
4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1979
426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1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981
4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198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