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5-24 10:09 조회2,680회 댓글0건

본문

 

 

앞서 필자는 공을 보는 현상을 논리적 사고를 통제하는 동물적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현상이라고 적었습니다. 그리고 이 과정은 논리적 사고를 이용한 시뮬레이션을 통해 영상화 하였을 때 가능합니다. 이제 석가의 삶과 죽음의 경계를 넘어서는 과정을 통해 이 현상을 살펴보고, 오랜 수행을 통해 상을 떠나 이룰 수 있었던 석가의 방법보다 상대적으로 수월한 필자의 경험에서 얻은 방법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먼저 석가의 깨달음에 대한 내용으로 칼럼을 시작하면서 언급했듯, 석가의 사고 과정은 석가만이 알 수 있는 것이기에 이어지는 석가의 마지막 깨달음 과정 또한 필자가 보는 관점에서 필자가 알고 있는 석가에 대한 기록물을 바탕으로 추정한 것임을 다시 언급하고 시작하겠습니다. 아울러 아래의 과정이 언어로서 이어지는 것이 아닌 두뇌에서 영상으로 벌어지는 현상이었을 것임을 염두에 두고 읽으시라는 제안을 드립니다.

 

권력, 재력, 어여쁜 여인들 등의 근원을 찾아서 인간이 존재하기에 시작된 것들임을 인식한 석가에게 아마도 마지막의 주제는 늙거나 병들거나 또는 그 어떤 다른 이유로든 맞이하게 되는 죽음이었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여기서부터 석가의 사고를 필자의 관점에서 재구성하겠습니다.

 

석가는 생각합니다. ‘이 모든 것이 인간이 존재하기에 시작된 것이라면 과연 나를 비롯한 인간은 어디서 왔으며 어디로 가는가?’ ‘나무와 풀 그리고 동물들은 또 어디서 온 것이며 어디로 가는가?’ 이런 생각을 이어가던 중 문득 ‘생명이 없는 곳에서 생명이 태어나 살 수 없는데 그렇다면 생명체가 살아가는데 필요한 것은 무엇인가?’라는 생각으로 생명체들의 삶을 객관적으로 따라가 봅니다. 식물의 잎과 뿌리를 동물이 먹고, 동물이 죽어 썩으면 다시 흙이 되고, 사람들은 식물과 동물이 옮겨 다니며 배설하거나 또는 죽어 분해된 것들을 거름으로 다시 농사를 짓는데 사용하며, 거름이 뿌려진 밭은 비옥해 풍성한 작물을 생산한다. 즉, 식물은 동물의 배설물이나 썩은 시체를 영양분으로 그 생명을 이어가고, 또한 동물은 그러한 식물이 제공하는 잎과 뿌리를 먹으며 살아가니 서로 먹고 먹히는 순환의 구조를 이루는 것은 아닌가? 이렇게 서로 순환의 구조를 이룬다면 나 또한 죽었을 때 내 몸 또한 흙으로 바뀌고 그 흙속에서 식물과 같은 또 다른 생명체가 생기지 않을까?

 

생각이 여기까지 미친 석가에게 마지막 질문이 떠오릅니다.

 

‘그렇다면 나는 누구인가?’ ‘내가 죽으면 나는 어디로 가는가?’

 

이 질문을 따라 가면서 석가는 아무 것도 없는 무에서 태어나서 결국 아무 것도 없는 무로 돌아가는 자신의 모습을 머릿속에 한편의 영상으로 떠올리는 순간 동물적 본능의 두뇌는 불이 꺼지고 사고력을 담당하는 두뇌가 자유를 얻음과 동시에 그동안 자신을 답을 찾아 헤매도록 만든 질문들에 대한 답을 한 번에 모두 얻습니다.

 

어쩌면 독자 여러분들 중에도 이 내용들은 이미 지식으로 어느 정도 인식해 왔던 분들도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정을 통해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것은 그리 쉽지만은 않습니다. 지금 이 글을 쓰는 필자 또한 시간을 되돌려 생존본능의 불을 끄기 전으로 돌아가서 다시 공부를 한다 하더라도 아마 석가와 같이 오랜 시간 생사를 넘나드는 처절한 수행을 바탕으로 생명체의 가장 뿌리 깊은 본능을 넘어설 수는 없었을 것으로 생각합니다.

 

하지만, 처절한 수행만이 지혜의 완성을 이루는 방법은 아니라고 필자는 이야기 합니다. 석가가 해탈 후 팔만이 넘는 지혜를 완성할 수 있는 방법을 설하면서 다녔던 것을 보면, 석가 자신은 비록 모든 것을 떠나고 또 경험하며 지혜의 완성을 이루었지만 다른 사람들에게 자신의 고행을 따라하라고 주문하지는 않았을 것으로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대신 석가는 ‘공을 보아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법’과 더불어 이러한 현상을 경험하기 어려운 사람들에게 논리적 사고를 통해 생존본능을 하나씩 넘어서는 방법을 가르쳤다고 생각합니다.

 

이 시점에서 필자가 경험한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상대적으로 쉬운 방법을 나누겠습니다.

 

필자의 경우에는 생존본능과 직결된 내용이 아닌 원효의 경우처럼 눈으로 직접 볼 수 있는 현상을 통한 두뇌의 시뮬레이션 결과였습니다.

 

아래 내용은 필자의 경험을 비춰 일반화 하여 만든 예입니다.

 

우주는 별로 가득하다. 하지만 별과 별 사이는 비어있다. 태양계는 행성 등으로 가득하다. 하지만 행성과 행성 사이는 비어있다. 풍선을 방에 가득 채우면 꽉 차있다. 하지만 풍선과 풍선 사이는 비어있다. 풍선 안에는 공기가 가득하다. 하지만 공기 분자와 분자 사이는 비어있다. 분자는 원자들로 가득하다. 하지만 원자와 원자 사이는 비어있다.

 

필자의 경우 이러한 과정을 영상으로 시뮬레이션 하던 중 두뇌에 원자의 핵과 전자만 남고 모두 사라진 상태에서 그 둘 사이도 비어 있어 아무 것도 없음을 보았을 때 생존본능의 불이 꺼졌습니다.

 

이 현상의 원리는 간단합니다. 처음에는 두뇌는 빈 공간이 없이 영상을 가득 채웁니다. 그리고 순차적으로 줄여가면서 빈 공간을 만들기 시작합니다. 끝에 두 개가 남았을 때 그 마저도 지우면 눈을 통해 들어오는 신호는 그대로 두뇌에 전달되어 보고 있지만 생존본능이 담당하는 영상의 부분은 불이 꺼지게 되는 것입니다. 따라서 말 그대로 두뇌가 불빛 하나 없이 깜깜해 지는 아무 것도 없는 현상을 경험하게 되는 것입니다.

 

(참고로 필자는 단백질 등 엑스레이 결정구조를 연구했었기 때문에 원자의 세계를 눈으로 보며 지냈던 세월이 10년이 넘습니다. 어쩌면 그러한 경험이 있었기에 생각지도 못한 상태에서 이러한 경험을 했을 수도 있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창덕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981
2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깨닫는 것’ -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의 시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895
2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90
2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48
2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병자호란과 남한산성 십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2778
28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력을 늘리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3409
2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48
2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2401
2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 후 서술의 필요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696
27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기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400
2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조실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3706
2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583
2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45
2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12
27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천재들의 공통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3808
2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진왜란과 이순신 댓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4410
2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46
26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인공지능의 번역능력과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61
2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신문화와 물질문화의 균형을 이룬 실학 댓글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906
266 [공부의 주제를 선택하는 방법] 상대적으로 수월하게 답을 찾는 훈련을 할 수 있는 공부의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1950
2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99년만에 찾아온 토탈 이클립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297
2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독립 협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7 2704
263 공부가 쉬운 주제가 가진 이면 - 욕심, 그리고 욕심을 넘어서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707
26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510
26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간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4891
2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항일 의병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8 10383
25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94
25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제자리를 맴도는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674
257 화려하고 웅장한 성당 그리고 예수의 가르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568
2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292
2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안중근의 동양 평화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2384
25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스스로 답을 찾는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585
2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36
2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3 · 1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272
25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49
2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41
2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윤봉길 의사와 이봉창 의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2903
24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호기심이 줄어드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1928
2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66
24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한민국 정부 수립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3053
24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13
2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발견에 공헌한 3인에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371
24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6 · 25 전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241
24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7 · 4 남북 공동 성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658
24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글쓰기 방법 - Rephrase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2552
24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80
2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11
23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76
2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5
23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48
23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195
23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22
2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07
2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70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81
2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708
22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61
2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39
2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66
22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5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