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7-06 08:51 조회1,742회 댓글0건

본문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용을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도록 전체적인 개념을 다룬 강의를 유튜브에 올렸습니다. (링크: https://youtu.be/ito6vBvZ1w4) 필자의 유튜브 강의 또는 7월 12일과 19일에 밴쿠버 중앙일보 대회의실에서 열리는 필자의 무료 공개강좌를 통해 전체적인 내용을 접하신 후 칼럼의 내용을 적용하여 공부하신다면 공부의 효율을 높일 수 있습니다. 공개강좌에 대한 내용은 밴쿠버 중앙일보 Business&Money에 게재된 광고를 참고해 주세요.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 미치는 영향

설명이 쉽도록 현실적이지는 않지만 아래의 예를 먼저 살펴보고 이야기를 시작하겠습니다.

복어라는 물고기에 대해 아는 것이 없는 A라는 사람이 낚시를 하다가 복어를 한 마리 잡아놓았습니다. 옆에 있던 A와 마찬가지로 복어에 대한 지식이 없는 B라는 사람이 ‘그 물고기를 내가 매운탕 해 먹어도 될까?’라고 하자 선뜻 내어줍니다. 복어를 끓여먹은 B는 잠시 후 목숨을 잃습니다. 얼마가 지난 후 낚시꾼 A가 또 복어를 잡습니다. 옆에 있던 C라는 사람이 ‘그 물고기 내가 먹어도 될까?’라고 묻습니다. 그러자 A가 ‘그거 독이 있어서 먹으면 죽어!’라고 말합니다. 하지만 C는 고집을 피워 물고기를 얻어갑니다. 그리고 회를 선호해서 살만 발라 회로 먹습니다. 물론 죽지도 않습니다.

위의 예에서 A가 말한 ‘복어는 독이 있어서 먹으면 죽어!’라는 말을 ‘맞다’고 할 수 있을까요? B와 C의 경우가 다르기에 참이라고도 또 거짓이라고도 말하기 어렵습니다. 즉, ‘맞다/틀리다’를 이야기 할 수 없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맞다/틀리다’ 또는 ‘이건 이렇다/저건 저렇다’와 같이 자신의 관점으로 단정을 내려 무엇을 설명하게 되면, 경우에 따라 받아들여질 수도 또는 반발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즉, 관점에 따라 동의를 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은 사람으로 나뉘어 벌어지는 갑론을박으로 인해 갈등도 생길 수 있습니다. 물론 이러한 관점의 차이를 극복하고 어느 한 쪽의 손을 들어주는 방법으로 어떤 사회는 ‘민주주의’라는 다수를 따르는 방법을 또 어떤 사회는 독재와 같이 권력자의 의견을 관철시키는 형태를 선택하여 자신들의 사회를 유지해 가고 있기는 합니다. 하지만, 소수의 의견도 또 독재자와 다른 의견도 경우에 따라서는 시간이 흐를수록 점차 그 세력을 늘려갈 수 있기에 사회는 언제 터질지 모르는 갈등이라는 시한폭탄을 안고 살아가는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한 마디로 ‘맞다/틀리다, 이건 이렇다/저건 저렇다’와 같이 단정적으로 결론을 내린 형태의 서술이 부부 사이, 부모와 자녀사이, 그리고 사회 구성원 사이의 갈등과 그로인한 분란을 일으키는 불씨라는 것이 필자의 관점입니다. 따라서 내가 살아가는 삶 속에서 갈등과 분란을 줄이는 한 방법이 바로 내가 표현하는 말 중에서 단정적으로 이야기하는 표현들을 줄여가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렇게 ‘맞다/틀리다, 이건 이렇다/저건 저렇다’와 같은 표현을 줄여가는 것이 단지 갈등을 줄이는 역할만을 하는 것일까요? 이것을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과 연관 지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경험이나 배워서 익힌 지식을 바탕으로 ‘맞다/틀리다, 이렇게 해야 한다/저렇게 해야 한다’와 같이 단정적으로 이야기 하는 순간 그 사람은 자신의 생각과 다른 즉, 반론을 제기하는 사람이 있는 경우 그 사람에 대한 반감을 가질 수 있습니다. 위의 예에서 만일 복어를 먹고도 죽지 않은 C가 A를 보고, ‘봐, 나 죽지 않았지?’라고 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A의 반응은 어떨까요? 사람에 따라서는 '어떻게 죽지 않았지?‘라는 생각으로 받아들이고 자신의 사고를 넓혀가는 사람이 있을 수도 있지만 아마도 자신이 틀렸다는 생각으로 인해 부끄러워하거나 ’복어는 독이 있다‘라는 자신의 생각을 관철시키기 위해 다양한 핑계를 가져다 대는 경우가 더 많을 것으로 필자는 생각합니다. 이것은 무엇을 뜻할까요?

단정적으로 이야기한다는 것은 곧 자신의 생각을 자신이 만든 작은 상자에 가두는 역할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필자는 이야기합니다. 즉, 자신의 말로 인해 스스로의 생각이 갇힐 수 있다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어떻게 했을 때 자신의 사고를 가두지 않고 새로운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열어둘 수 있을까요? 같은 상황에서 이번에는 A가 아래와 같이 표현했다고 생각해 보겠습니다.

‘지난번에 B라는 사람이 같은 물고기를 매운탕으로 끓여 먹고 죽었어. 내가 보기에는 독이 있는 것 같아.’

여기서 차이는 단순히 자신이 겪은 사실만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자신의 생각을 표현했다는 것입니다. 이러한 표현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인 사람이라면 아마도 반론을 제기하기는 어려울 것입니다. 따라서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을 익히려면 ‘내가 경험 또는 배워서 지식으로 안다’는 생각을 지우고 구체적인 서술과 함께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는 훈련을 하시라고 필자는 제안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285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2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787
2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최재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803
2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인과 결과를 연결하는 인과의 법칙을 찾아가는 공부가 사고력을 늘리는 공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835
2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924
2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951
2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바보 온달(? ~ 59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953
2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후삼국시대-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954
2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대건 신부와 최양업 신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961
2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인들의 근친혼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043
27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구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077
2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소헌왕후 심씨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1 1080
27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양명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1080
2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0 1099
2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회암사터-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1115
2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정몽주(1337~1392)와 정도전(1342~139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1118
27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육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119
2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우리나라의 신석기 시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1140
2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내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1163
2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토정 이지함(1517 ~ 1578)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1168
26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5 1198
26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김생(711년 ~ 791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1253
26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나기 무네요시-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253
26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지로 요를 삼고 창공으로 이불을 삼아 - 암태도 소작쟁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262
26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칠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1337
2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성취할 수 있는 구체적인 목표 vs. 막연한 목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3 1345
26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오리 이원익 대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1357
259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ESSAY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1425
25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대동여지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455
257 민동필 박사, 자녀교육을 위한 안내서 영문판 제작 밴쿠버 중앙일보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518
25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7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1521
25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왕위 계보도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4 1531
25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5 1534
25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궁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1546
25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조선왕조실록, 세계 천문학계 보물됐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1557
251 화려하고 웅장한 성당 그리고 예수의 가르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1566
25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를 서술에서 배제하는 훈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579
24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명대사(유정)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1580
24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7 · 4 남북 공동 성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653
247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59
24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제자리를 맴도는 주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668
24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나일본부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1673
24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서울의 백제 고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675
24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 후 서술의 필요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693
242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3 우선순위 파악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695
241 공부가 쉬운 주제가 가진 이면 - 욕심, 그리고 욕심을 넘어서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702
24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18
23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29
23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31
237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34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43
235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43
23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53
23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754
23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7 1811
231 [김바울의 교육칼럼] 리사운드 영어교육 2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3 1811
23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나라 안의 나라, 개항장 인천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5 1830
22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원화성 아버지를 아버지라고 부르지 못한 노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1839
22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8 1844
22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깨달음’은 내 안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845
2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4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