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8-03 13:14 조회819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 지식과 기술을 배워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이 일반적인 접근방법이라고 생각했는데 민 박사님은 잡스의 경우 달랐다고 하셨잖아요? 어떻게 다른 건가요?


- 지식과 기술을 이미 존재하는 것이라야 배울 수 있겠죠? 


◆ 물론이죠. 뗏목에 대한 지식이 있고 그것을 만들어 본 사람이 있어야 배울 수 있으니까요. 


- 잡스가 폰트나 스마트 폰을 개발하기 전에 이것들에 대한개념이 존재했을까요? 


◆ 당연히 아니죠. 그러니까 애플이 기존의 컴퓨터 시장을 넘어설 수 있었던 것이고요.  


- 비유하자면 뗏목이 없었기 때문에 뗏목을 만들어 성공할 수 있었다는 이야기죠? 


◆ 예. 


- 그렇다면 일반 사람들의 경우 뗏목과 같은 강을 건널 방법을 찾지 못하면 어떻게 할까요? 


◆ 글쎄요? 그래도 방법을 찾으려 하지 않을까요? 


- 어떻게 방법을 찾으려할까요? 


◆ 강을 건널 수 있는 방법이요. 


- 조금 더 구체적으로 질문해 볼게요. 강을 건너는 방법을 어떻게 찾으려 할까요? 


◆ 예를 들어 타잔처럼 나무줄기에 매달려 넘어갈 수 있는지 또는 통나무로 된 다리를 만들 수 있는 지 등이겠죠.


- 그렇겠죠? 주변에 있는 도구들을 사용해서 건너려 하겠죠? 그런데 왜 뗏목을 만들려는 생각은 하지 않을까요? 물론 강이 넓다는 가정 하에요.


◆ 일단 시간이 많이 걸리잖아요. 그리고 뗏목을 만들었다 하더라도 앞서 이야기 한 것처럼 강을 건널 수 있다는 보장도 없고요. 


- 그렇죠. 시간과 노력이 많이 들어가기 때문에 또 성공에 대한 확신이 없기 때문에 새로운 기술을 개발하려는 생각도 안하는 경우가 많아요. 하지만 잡스는 실제로 폰트를 개발했어요. 이 말은 잡스의 경우 목표가 고기를 잡는 것이 아니라 강 건너편에서 고기를 잡기 위해서는 강을 건너야 한다는 것을 바로 보았고 그래서 강 건너 고기를 잡는 것이 목표가 아닌 지금 현재 내가 당면한 과제인 뗏목을 만들겠다는 것이 목표였다고 봐야죠. 


◆ 알 것 같아요. 목표가 현재 내가 당면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이루었을 때 성공에 가까워 질 수 있다는 것은요. 하지만 앞서 말한 것처럼 실패를 한다면 모든 것이 물거품이 되잖아요. 


- 새로운 방법을 찾을 때 단순히 주어진 도구를 이용하려 한다면 실패했을 때 물거품이 될 수 있죠. 예를 들어 통나무를 놓아 강을 건너려 시도했다고 가정한다면 통나무로 강을 가로지른다는 생각은 누구든 할 수 있잖아요. 그리고 최소의 노력으로 효과를 볼 수 있고요.  


◆ 자꾸 대화가 맴도는 것 같은데, 그 방법이 목표를 이루는 데 가장 효율적이라서가 아닐까요? 


- 맞아요. 강을 건너 고기를 잡는다는 목표를 생각한다면 그렇죠. 하지만 그런 방법은 누구든 생각할 수 있잖아요. 


◆ 그러니까 다른 사람들이 생각하지 못하는 새로운 도구를 만들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강조하시는 것 같은데, 그 말에 동의하지 않는 것은 아니지만 실패한 경우 결과는 같은 것 아닌가 하는 것이 제 질문이에요. 


- 강을 건너기 위해 뗏목을 만들고 실제로 건너려 시도를 하는 과정에는 고려해야할 많은 요소가 있어요. 나무의 재질, 물의 깊이나 흐름 등이죠. 그러면 처음에 실패하더라도 다음에는 그것을 다시 개선해서 또 다른 것을 만들 수 있잖아요. 


◆ 물론 그럴 수 있죠. 하지만 대학에서 과학을 전공한 학생들이 후에 분야가 완전히 다른 직업을 가지듯이 강 건너 물고기를 잡기 위해 강을 건너려던 학생들이 산에서 나무를 베는 직업으로 전환한다면 결국 소용이 없는 것 아닌가요? 


- 배운 지식과 기술에 의존했었다면 그렇겠죠. 예를 들어 뗏목에 대한 지식과 기술을 배워서 뗏목을 만들다가 산에서 나무를 베고 옮기는 것으로 직업을 바꾸면 아무 소용이 없죠. 하지만 뗏목을 고안하고 실험하면서 나무마다 그 특성을 파악했다면 어떨까요? 나무를 옮길 때 강을 이용할 생각도 할 수 있고 나무의 재질에 따라 어떻게 다룰 것인지도 생각할 수 있지 않겠어요? 


◆ 그러면 완전히 다른 무쇠를 다루는 직업을 가졌다면요? 어떻게 적용할 수 있죠? 


- 나무의 물리적 특성과 물의 흐름 등을 관찰하고 분석했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해 철의 물리적 특성을 관찰하고 분석해서 새로운 방법을 찾을 수 있겠죠. 


◆ 하나를 배우면 열을 알 수 있다는 뜻이군요? 


- 아니요. 배워서 익히는 것만으로는 열을 알 수 없어요. 스스로 공부해서 찾을 수 있어야 자신이 찾은 것을 열 아니 그 이상으로 확장할 수 있죠. 


◆ 배우는 것과 공부가 다르다는 뜻인가요? 


- 앞서 이야기한 것처럼 배우는 과정은 누군가 가르쳐주는 사람, 책 등과 같이 내가 보고 배울 수 있는 기존의 지식과 기술이 존재해야 가능해요. 이런 수동적인 방법으로는 새로운 개념으로의 확장이 상당히 어려워요. 


◆ 그러면 공부는요? 


- 공부는 내가 하는 것이잖아요. 그러니까 나 스스로 방법을 찾고 개발하는 것이죠. 


◆ 그런 관점에서 보자면 학교교육이 필요가 없는 것 아닌가요? 배우는 것이 아니라 나 스스로 모든 것을 찾고 개발해야 하니까요. 


- 그렇지 않아요. 지금의 학교교육이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고 배우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서 학생들로 하여금 스스로 공부를 할 수 있도록 조건이 만들어지지 않았기 때문이지 시스템만 바꾸면 얼마든 효율적인 공부가 가능할 수 있어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68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2762
6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1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7 2566
6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에 치우치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2417
6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공부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1943
6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2 1863
6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홀로 선다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779
6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1704
6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8 1607
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논리적이지 않은 논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9 1492
5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물질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와 정신적 만족을 추구하는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8 1113
5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초점을 둔 공부가 야기하는 사회문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1095
5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정서적 안정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058
5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발달의 시작은 목표 지향적 사고로부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8 1005
5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과 중독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966
5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일반 대학과 직업기술에 초점을 둔 대학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2 964
5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향한 첫 걸음,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1 955
5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를 위해 목표를 세우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5 949
5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유와 근거로 지식의 재건축을 통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9 944
5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아는 것이 정말 힘일까? (공부에는 독이 될 수 있는 ‘나는 알고 있다!’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5 932
4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에 존재하는 여러 다른 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1 915
4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해를 통해 지식을 배우는 과정에는 생각이 필요하지 않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915
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의 두뇌와 경쟁할 수 있는 두뇌 능력을 키우는 공부 방법 (지식의 개념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8 915
4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재건축, 왜? 어떻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5 913
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조적 사고의 기반,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5 912
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발달에 장애가 되는 지식의 정확도를 묻는 시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9 909
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좋았던 기억보다 고생한 기억이 오래 남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877
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손가락으로 달을 가리키며 달을 보라고 가르치는데 달이 아닌 손가락을 본다고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872
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벽을 깨고 나오기 위해서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865
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여 일을 하는 일꾼 vs. 결정되지 않은 미지의 세계를 …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7 862
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운 지식과 기술을 사용하는 것과 사고력은 완전히 다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861
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은 어떻게 천재적 두뇌능력을 발휘할 수 있을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853
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직접경험을 통해 배우는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30 843
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가 사고력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837
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길들여지는 사람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831
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취업을 위한 교육에 열을 올리는 학교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823
33 5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유리벽에 갇힌 사람들의 특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22
열람중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움’과 ‘공부’는 두 가지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820
31 5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최고 지도자가 감정에 맡겨 결정을 내리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812
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808
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의 생존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1 792
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독립된 삶’은 인간 내면에 존재하는 가장 큰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7 788
27 5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전과 반항 그리고 사회의 양극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88
26 5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 사회의 보이지 않는 벽은 사람의 머릿속에 존재할 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4 784
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종속되어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770
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풀리지 않았던 문제가 해결될 때의 통쾌함, 어디서 올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745
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세우는 방법이 사고력을 결정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745
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진주를 연결해 목걸이를 만들 듯 개념들을 연결하면 오래 기억할 수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741
2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종속된 삶은 동물적 생존본능에 바탕을 둔 욕심에서 시작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3 738
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고자 생각하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737
1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난과 고통의 삶을 벗어나 스스로 만들고 이루어가는 성취감과 행복이 있는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722
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부정적 감정으로 인한 감정의 소모는 삶을 지치게 하며 논리적인 사고 또한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691
17 8월 1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창의적 사고력을 막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661
16 8월 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새로운 아이디어로 창의적 목표를 세우기 어려운 이유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9 648
15 9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교육을 통해 접하는 도박의 맛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6 615
14 7월 2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와 계획을 세우는 사고력은 가장 기본적인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614
13 1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을 자극하는 호기심과 사고력을 막는 호기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4 489
12 12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동물의 두뇌 vs. 인간의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4 457
11 4월 1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은 결과/결론이 정해졌을 때 일어나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454
10 12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으로 목표를 만들어야 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440
9 3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역사적으로 탄압받은 질문 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42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