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5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4-05-09 15:26 조회155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 사랑에 눈이 머는 이유가 결국 다른 사람의 감정을 받아들이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라는 뜻인데, 조금 두렵다는 생각이 들어요. 흔히 이야기하는 가스라이팅이 이런 것 아닌가요?

   

- 그렇게 볼 수 있어요. 가스라이팅의 뜻이 상대로 하여금 내 말을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과정이니까요. 

   

◆ 그런데 설득해서 상대가 내 말을 믿도록 만드는 것과 감정을 받아들이는 것은 조금 다른 내용 아닌가요? 

   

- 달라 보이지만 근원은 같아요. 상대가 준비해 놓은 로맨틱한 분위기의 저녁 식사 자리를 통해 사랑을 느끼는 것은 분위기를 도구로 설득하는 경우이고, 말로 설득하는 경우에는 말이 도구라는 차이가 있을 뿐이죠. 

   

◆ 결국 둘 다 신호라는 뜻인가요? 

   

- 예. 방법이 분위기든 말로 하는 것이든 둘 다 일방적인 내용을 전달해서 받아들이도록 만드는 것이니까요. 

   

◆ 그러면 가스라이팅에 당하는 사람은 일방적인 내용을 받아들이기 때문이라는 뜻인데, 어떻게 이게 가능할까요? 사람은 생각할 수 있는 두뇌가 있는데요.

   

- 분명 두뇌는 생각하는 힘을 가지고 있어요. 하지만 생각하는 힘을 키우는 교육은 쉽게 찾아볼 수 없어 그 힘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니까요.

   

◆ 무슨 뜻이죠? 

   

- 하버드 대학의 마이클 샌델 교수처럼 학생들에게 질문을 던지면서 생각을 하도록 만들면 어떻게 될까요? 

   

◆ 그 교수가 가르치는 과목이 정의에 대한 것이니까 정의에 대해 많은 생각을 하겠죠. 질문에 답을 찾기 위해서요. 

   

- 이런 훈련을 받은 학생들이 누군가 나타나서 ‘정의란 이런 것이다!’라고 주장하면 어떻게 할까요? 

   

◆ 일단 의심할 것 같아요. 그동안의 훈련이 정의에 대한 정의를 찾아가는 것이었으니, 다른 사람이 내린 정의를 의심하고 질문하지 않을까 해요. 

   

- 누군가의 주장을 쉽게 받아들이지 않겠죠? 반론을 제기하기도 할 테고요. 

   

◆ 가스라이팅이 먹히지 않겠네요?

   

- 맞아요. 이유와 근거를 찾아가는 생각하는 사람에게는 가스라이팅이 소용이 없어요. 물론 가둬놓고 강제로 두뇌를 개조하는 경우는 조금 다르겠지만, 적어도 자신의 의지로 상대의 말에 빠지지는 않는다는 거죠. 

   

◆ 그러면 가스라이팅에 쉽게 빠지는 사람의 특징이 혹시 다른 사람의 말을 잘 믿는 사람들인가요? 

   

- 아니요. 다른 사람의 말을 믿는다고 다 가스라이팅을 당하지는 않아요. 저도 집에서 아이가 하는 말을 일단 믿고 시작하는데, 그러면 제가 아이에게 가스라이팅 당했게요? 

   

◆ 그러면 어떤 차이가 있죠?

   

- 질문이요. 아이의 말을 믿고 받아들이는 것이 시작이지만, 이어서 아이의 말을 바탕으로 이유와 근거를 묻는 질문을 하죠. 

   

◆ 그건 의심이 아닌가요? 이유와 근거를 묻는다는 것은 곧 아이가 하는 말을 믿지 못하기 때문에 묻는 것으로 보이거든요.

   

- 아니요. 꼭 그렇지 않아요. 예를 들어 아이가 점심 먹은 흔적이 있는데 ‘너 점심 먹었니?’라는 질문에 ‘아니!’라고 답한다면, 일단 아이의 말을 믿어요. 그리고 ‘싱크에 음식 묻은 그릇이 있는데, 그러면 이 그릇은 뭐야?’라고 질문을 해요. 

   

◆ 그건 믿지 못하는 거잖아요. 분명 음식을 먹은 흔적을 보고 질문하는 것이니까요. 

   

- 그럴까요? 만일 아이의 답이 ‘간식 먹은 거야!’라면요? 

   

◆ 음, 실제로 점심을 먹은 게 아닐 수도 있겠네요. 그러면 믿고 안 믿고의 차이가 아니라면 어떤 사람이 가스라이팅 당할 확률이 높나요? 

   

- 간단하게 정리하자면, 지식에 매달리는 사람과 답을 정해놓고 생각하는 사람이라고 볼 수 있어요. 

   

◆ 지식에 매달리는 것은 뭐고 답을 정해놓고 생각하는 것은 또 어떤 건가요? 

   

- 지식은 결과예요. 그러니까 네가 먹은 건 ‘점심’이다, 또는 ‘아니, 그건 간식이다.’와 같이 정해진 지식으로 접근하는 경우죠. 

   

◆ 잘 이해가 가지 않아요. 

   

- 앞의 예를 가지고 다시 설명하자면, 아이는 분명 ‘간식’을 먹었다고 생각해요. 그런데 부모가 ‘너 점심 먹었잖아! 여기 그릇에 음식이 묻어있는데 왜 거짓말 해!’라고 이야기한다면 아이는 어떻게 될까요? 

   

◆ 자기의 주장을 받아들이지 않으니까 답답해서 울분을 터뜨리지 않을까요? 

   

- 아이가 사춘기에 접어들었다면 말 그대로 전쟁이겠죠? 그런데 반대로 아이가 ‘내가 먹은 게 점심이구나!’라고 받아들이면요?

   

◆ 간식이 점심으로 바뀌는 건가요? 

   

- 예. 처음 나는 간식으로 생각했는데, 아빠의 주장에 의해 점심으로 생각이 바뀌는 거죠? 이 과정에서 내가 가진 간식에 대한 지식은 틀린 것이 되고 점심이 맞는 것으로 바뀌고요. 

   

◆ 지식의 맞고 틀림을 지적하면서 가르치는 교육이 곧 가스라이팅의 희생양이 되도록 만들 수 있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이유와 근거 찾는 질문이 빠진 상태에서 지식을 전달하는 교육은 배우는 학생으로 하여금 가스라이팅 당할 확률을 높여요.

   

◆ 그러면 이 세상의 많은 사람들이 가스라이팅 당할 위험에 노출되어 있겠네요? 

   

- 그러니까 하기 싫어도 시키니까 하겠죠? 돈에 가스라이팅 당하면 돈을 위해 타인을 해치기도 하고 사기도 치니까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83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5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가스라이팅 당하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9 156
182 4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신호 체계 발달을 촉진하는 감정과 사회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31
181 4월 1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을 가진 사람과 생각이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5 295
180 4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빈 깡통은 요란해서 사람의 시선을 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334
179 3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낚시? 그냥 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311
178 3월 2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공지능으로 인해 사라지는 직장,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403
177 3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스턴트 지식, 인스턴트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7 387
176 3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시험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9 350
175 2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언어와 두뇌 발달의 핵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367
174 2월 1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사용을 보면 두뇌가 보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8 379
173 2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 발달에서 지식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315
172 2월 2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언어와 신호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22
171 1월 2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의 진화 과정을 그대로 따라가며 발달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7 392
170 1월 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꿈을 이루기 위한 삶의 의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363
169 12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높은 시험성적은 두뇌가 지식의 노예화가 되었다는 증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1 420
168 12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질문은 눈에 보이지 않는 목표를 만들 수 있는 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405
167 12월 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3 381
166 11월 2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고기를 잡아주기 보다는 고기를 잡는 방법을 가르쳐야 한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6 449
165 11월 1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4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437
164 11월 1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3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2 392
163 11월 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6 433
162 10월 2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와 기억법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489
161 10월 2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2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84
16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 (1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6 446
159 10월 6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모든 인간은 천재성을 가지고 태어난다. 다만 사회가 천재성을 억…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9 500
158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삶의 고통과 괴로움은 목표를 향해 달려가기 때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441
157 9월 2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천재들의 아이디어를 판단할 수 없는 사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500
156 9월 1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형태의 천재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535
155 9월 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에도 종류가 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9 449
154 8월 25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욕망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517
153 8월 18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양극화라는 불씨에 기름을 붓는 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1 498
152 7월 21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를 이루기 위한 계획을 세우는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3 667
151 7월 14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욕망의 종류에 따른 기억력과 공부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678
150 7월 7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에 집착하는 두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618
149 6월 30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을 통한 기억력 vs. 방법을 포함한 기억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646
148 6월 23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기억력의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5 650
14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뇌가 정보를 저장하는 방법은 하나가 아니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8 643
146 6월 9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배우는 것과 공부는 완전히 다른 개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1 646
14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권력자나 지식인들에 의해 통제되고 만들어 질 수 있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0 633
14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감대는 함께 난관을 극복하는 힘의 원동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838
14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유토피아는 존재할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700
14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폭력의 뿌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786
14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생각이 있는 사람과 없는 사람의 차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2 935
14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원하는 것의 두 종류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704
13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단 감정에 빠지는 것은 동물로서의 인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708
13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으로 가르치는 교육은 원시적인 교육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693
13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식에 기반을 둔 사고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767
13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사고력의 두 종류 (비판적 사고 vs. 창조적 사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693
13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눈을 통해 보는 방법 외의 볼 수 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708
13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석가모니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2 675
13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상상의 세계가 주는 즐거움은 또 다른 고통의 씨앗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6 626
13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려움과 공포는 실체를 모를 때 생기는 감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9 657
13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권력자들은 국민을 애완동물처럼 길들이고자 한다. 어떻게 그리고 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7 759
13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과 이태원 참사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772
12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즐거움에 대한 욕망이 집착을 만든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7 842
12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게임이나 도박에 빠지는 이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0 919
12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집착의 근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4 759
12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중독의 원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688
125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내 두뇌속의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5 740
1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치매는 과거가 아닌 현재의 두뇌사용방법에 따라 결정되는 질병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676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