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루 문(Blue Moon)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루 문(Blue Moon)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08-06 12:30 조회1,932회 댓글0건

본문

04.gif

 

 

블루 문에 숨겨져 있는 과학 지식과 역사 흔적

--------------

 

지난 달 30일, '밴쿠버 밤하늘에 3년 만에 커다란 블루문(Blue moon)이 떴다'며 여러 신문과 SNS 등을 장식했습니다. 하지만 아무리 보아도 자신은 파랗게 보이지 않을 뿐만 아니라 보통의 달과 의 차이점도 못찾겠다며 혹 이것도 일전에 화제가 된 드레스 착시처럼 일종의 착시현상에 관련된 것이지를 물어보는 학생도 있었습니다.

 

파랗지도 않은데 블루문이라 불리는 달, ‘블루문’은 도대체 무엇일까요?

 

모든 행성들은 수성(Mercury), 금성(Venus)를 제외하고는 모두 달을 갖고 있습니다.

 

이 중 이번에 뉴호라이즌호의 탐사에 의해서 많은 베일이 벗겨진 명왕성의 달, 세론(Charon)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달은 모행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매우 작은 크기인데, 우리의 달은 지구와 비교했을 때 다른 행성의 달들에 비해 매우 큰 달에 해당합니다.

 

이렇게 특이하게 커다란 달이 지구에 생긴 이유는 그 탄생자체가 다른 달들과는 차이가 있기 때문이라고 추측되고 있습니다.

 

1960년대에서 1970년대 사이에 진행된 아폴로 우주선 달 탐사를 통해서 약 300kg 정도의 월석이 지구로 운반되었고, 이 월석을 분석한 결과 달을 이루고 있는 물질은 지구의 그것과 매우 유사하며, 또한 그 나이도 지구와 동일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달은 원래 지구와 함께 붙어있는 일부분이었는데, 어떤 이유로 지구로부터 떨어져 나간 것이라는 것을 추정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달의 크기와 그 외의 많은 자료들을 바탕으로 현재 가장 유력하다고 믿어지는 가설은 ‘대충돌설(Big Splash Theory)’입니다.

 

이 가설에 따르면 지구가 처음 생성되어, 아직은 고온의 불안정한 불덩어리와 같던 시기에 현재 화성 정도 크기의 충돌체가 지구와 충돌하면서 부서져 주변에 흩뿌려진 부스러기들이 뭉쳐져 달을 형성했다고 합니다.

 

물론 이러한 가설은 실험적으로 증명될 수 없는 것이기에 그저 ‘유력한’ 가설일 뿐이지만, 이 가설을 바탕으로 시행된 많은 컴퓨터 시뮬레이션에서 실제로 달이 형성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지구가 형성되던 시기에는 이러한 충돌이 빈번히 일어날 만큼 태양계가 불안정한 상태였기 때문에 현재로서는 가장 유력한 시나리오로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오랜 세월에 걸쳐 태양계가 점차 안정되고 각 행성과 그에 딸린 달들도 나름의 공전주기를 갖게 됩니다. 그렇게 정해진 달의 공전(지구를 중심으로 도는 회전) 주기는 29.5일입니다.

 

하지만, 양력에서의 한 달은 2월을 예외로 하면 일반적으로 30일 또는 31일로 되어있습니다. 이렇게 실제 달의 공전주기가 한달의 날짜보다 짧다보니, 보름달이 뜨는 시기가 매일 조금씩 앞당겨지게 됩니다.

 

조금씩 앞당겨지던 보름날이 급기야 월초에 보름달이 뜨고, 월말에 다시 보름달이 뜨는, 즉 한 달에 보름달이 두 번 뜨는 달이 생기게 됩니다. 바로 이렇게  두 번째 뜨는 보름달을 ‘블루문’이라고 합니다.

 

그렇다면 왜 푸른색을 띄지도 않는데, ‘블루문’이라고 부르게 된 것일까요? 이에 대해서는 여러가지 설명이 있는데,  원래의 어원이 변형된 것이라는 설명이 가장 유력하다고 인정되고 있습니다.

 

보름달은 충만함이고, 풍요로움을 뜻한다고 믿었던 동양 사람들과 달리, 옛 서양사람들은 보름달은 불길하게 여겼었습니다.

 

게다가 달의 공전주기에 관해서 아직 정확히 알지 못했기 때문에, 안그래도 불길한 보름달이 한 달에 두 번 뜨는 것은 자연의 섭리를 배반하는 것이라 생각되어졌고 이에 이 현상을 ‘배반의 달, betrayer moon’, 즉 ‘belewe moon’이라고 칭했다고 전해집니다.

 

여기서 ‘belewe’라는 단어는 ‘배반하다, 배신하다’라는 의미의 고 영단어로 이제는 더이상 사용되지 않는 어휘입니다.

 

중세시대에 쓰여진 많은 문서에서 ‘belewe mone’, ‘the mone is belewe’ (mone은 moon은 고어)등의 표현이 나오는 것을 증거로 이러한 해석이 힘을 얻고 있습니다.

 

이렇게 ‘belewe moon’이라고 불리던 것이 그 단어가 사라지면서 차츰 발음이 비슷하면서, ‘스산한’, ‘우울한’, ‘창백한’ 등의 의미를 갖는 ‘blue moon’이라고 바뀐 것이라 받아들여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공전주기차이에 의한 블루문 현상은 약 2.7년에 한 번씩 일어나며, 지난달 나타난 블루문은 2012년 8월 이후 다시 찾아온 현상인 것입니다.

 

그렇다면 색이 정말 붉은 빛을 띄는 달을 ‘블러드문(blood moon)’이라 부르듯이 진짜 푸른빛을 띄는 ‘블루문’을 보는 것은 불가능일까요?

 

우리가 지구에서 보는 빛은 실제 우주 외부에서 보내는 빛을 본다기 보다는 그 빛들의 지구의 대기권을 통과하며 산란된 빛을 보는 것이라 생각하는 것이 더 정확합니다.

 

낮에는 하늘이 파란색을 띄고 저녁에는 파장이 긴 붉은 노을이 지평선 근처에 나타나게 되는 것도 이러한 빛의 산란효과에 의해 설명될 수 있습니다. 지구 대기권에 대규모의 분진이 섞이게 되면, 그 입자들에 의한 산란효과에 의해 빛이 파랗게 보일 수 있게 됩니다.

 

이러한 이유로 역사적으로 대규모 화산활동이 일어난 지역에서 실제 푸른빛의 달이 관측된 사실이 기록에 남아있습니다.

 

실제로 1883년 인도네시아 크라카토아(Krakatoa) 화산이 폭발했을 당시에는 그 화산재가 지구의 거의 전 지역으로 퍼져 대부분의 지역에서 ‘푸른달’이 관측되었다고 합니다. 또한 요즘 캐나다 BC지역과 같은 광범위한 산불로 인해 공기가 뿌옇게 된 때에도, 국지적으로 푸른 빛의 달을 볼 수 있습니다.

 

이 밖에도 달에는 흥미있는 사실과 현상들이 많이 있습니다. 아까 잠깐 말씀드린 ‘블러드문’은 달이 낮은 고도에서 뜨거나 개기월식이 일어나 태양빛이 지구에 가려 달에 도달할 수는 없지만 지구 대기에 의해 굴절반사 된 빛이 달에 쬐어지게 되고 특히 가시광선 중 가장 긴 파장을 가진 붉은 파장이 회절이 잘 일어나 달이 붉게 보이게 되는 현상입니다.

 

또한 지구에서 우리는 달의 한쪽 면만 바라볼 수 있고, 달의 뒷부분을 볼 수 없다는 이야기도 들어보신 적이 많으실 겁니다.

 

실제로 달 사진을 보면 보름달인지, 초승달인지에 따라 보이는 면적이 다를 뿐, 언제 찍힌 사진 인지에 관계없이 보이는 면은 항상 똑같은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는 달의 공전주기(지구 주위를 한 바퀴 도는데 걸리는 시간)와 자전주기(달 혼자 자신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한바퀴를 도는데 걸리는 시간)가 정확하게 같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입니다.

 

석준영.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278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486
1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10월의 마지막 날 밤. 할로윈(Hallowee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501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후쿠시마 유출물, 밴쿠버에 도착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1526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플루엔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616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34
1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652
1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호라이즌이 보내온 반가운 소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36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740
1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797
1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메르스 증후군(MERS), 제대로 알아보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813
1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유방암 진단을 위한 맘모그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13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빠, 자동차 바퀴는 왜 전부 까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1823
1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26
1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관절 꺽기' 연구를 왜 할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834
1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43
1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44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60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Deep Impact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867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저 광 케이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870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남태평양 앞바다에 추락한 텐궁 1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74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올해 최고의 과학 업적들, 무엇이 있을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875
1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추워도 너무 추운 밴쿠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886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무어의 법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1901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03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베누' 소행성에 대한 연구를 위한 탐사선 발사 계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911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코딩 교육(Coding Educati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915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로제타 프로젝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929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31
1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의 바둑 대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932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루 문(Blue Mo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933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1934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64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68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1978
1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1980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89
1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0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12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7
1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0
1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47
1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0
1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6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2
1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7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7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3
1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0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6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0
1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12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15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18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41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52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90
10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95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04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0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