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8-31 08:40 조회1,968회 댓글0건

본문

질병은 예고도 없이 불쑥 찾아오곤 합니다. 뚜렷한 증상이 없어 방심하고 있다가 병이 걸렸다는 것을 안 순간 이미 치료 시기가 너무 늦어버린 안타까운 이야기가 적지 않게 들리기도 합니다. 이러한 일들을 미리 예방하기 위해 전문가들은 주기적인 검진을 권유합니다. 하지만, 가끔은 그렇게 권유에 따라 정기 건강 검진을 받은 후에 애매한 결과 때문에 오히려 더 긴장되고 걱정된다는 얘기도 심심치 않게 들을 수 있습니다. 어떤 병이 걸린건지, 안 걸린건지 확실하게 대답해 주면 좋으련만, 많은 경우 의사 선생님들께서 말씀해주시는 것은 질병이 걸렸을 확률이 몇 퍼센트정도 된다는 이야기입니다. 3 퍼센트, 95 퍼센트 처럼 거의 확실한 경우도 있지만, 30 퍼센트, 45 퍼센트 정도의 확률이라는 이야기를 듣게 되면 걱정이 해소되는 것이 아니라 더 커지기도 합니다.  

 

일반적인 진단검사라는 것은 여러가지 관련 인자들을 두루 조사한 결과에 따라 질병의 유무를 결정하는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확실한 기준선을 갖고 나누어지는 것이 아니라 결정이 애매한 중간 부분이 생길 수 밖에 없습니다. 이 애매한 부분의 결정을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서 질병이 있는데 없다고 오판할 수도 있고, 반대로 질병이 없는데 있다고 잘못 판단할 수도 있습니다. 이를 의학 통계에서 민감도(sensitivity)와 특이도(specificity)로 구분합니다. 민감도는 실제 질병이 있는 사람이 검사를 통해 질병이 있다고 판정(양성반응)을 받는 비율을 뜻하고, 특이도는 질병이 없는 사람이 검사를 통해서 질병이 없다고 판정(음성반응)을 받을 비율을 말합니다. 비슷비슷하게 들리지만, 이 둘은 거의 반대적 의미를 갖습니다. 특이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민감도가 떨어질 수 밖에 없고, 반대로 민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특이도를 낮추는 수 밖에 없습니다. 

 

진단결과에 대한 경우의 수는 다음의 네가지로 구분됩니다. 질병이 있는데 양성반응을 받는 경우, 질병이 없는데 양성반응을 받는 경우, 질병이 있는 음성반응을 받는 경우, 질병이 없는데 음성반응을 받는 경우입니다. 민감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조금이라도 질병의 징후가 있어 보이는 사람을 모두 환자로 구분하면 됩니다. 기침을 한번이라도 한 사람을 모두 감기환자라고 결론짓는 것과 같습니다. 이럴경우, 실제로 감기가 걸린 사람을 환자로 분류할 수는 있지만, 공기가 탁해서 기침 한번 한 것 뿐인 사람까지 감기 환자로 분류될 것입니다. 즉, 질병이 안걸렸는 데도 환자로 분류되니, 특이도가 낮아질 수 밖에 없습니다. 반대로 특이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기침도 하고, 열도 오르고, 오한으로 고생하며, 콧물도 흘리는 사람만 감기 환자라고 칭하는 것입니다. 즉, 검사기준을 엄청나게 까다롭게 함으로써 정말 100 퍼센트 감기가 걸렸다고 확신할 수 있는 사람들만 환자로 분류하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왠만한 경우라면 모두 감기에 걸리지 않은 것으로 되니, 실제 감기에 걸리지 않은 사람이 감기에 걸렸다고 판단될 가능성은 매우 적게 됩니다. 하지만, 덕분에 증상이 약한 감기에 걸린 환자들도 감기에 걸리지 않은 것으로 분류될 것이니 민감도가 떨어지게 됩니다. 

 

서로 상반되는 민감도와 특이도를 어느 정도 선에서 맞출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은 진단검사의학분야의 중요한 사안 중에 하나입니다. 일반적으로 전염도가 높아서 초기에 질병의 확산을 막아야하는 병일수록 민감도를 높입니다. 일단 의심이 가는 환자들을 격리하고,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서 환자가 아닌데도 환자로 구분된 사람들을 다시 필터링하는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질병의 확산을 원천 봉쇄하고자 함입니다. 하지만, 의료계나 보험업계, 또는 정부의 입장에서는 환자가 아닌 사람들에게도 동일한 검사를 진행해야 함으로써, 많은 양의 예산을 낭비할 수도 있습니다. 무엇보다, 검사과정이 까다롭고 힘든 경우, 많은 사람들이 질병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힘든 과정을 겪어야 하는 문제가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마냥 민감도만을 높일 수는 없는 것입니다. 미국과 같이 사보험이 발달하고, 의료 보험에 문제가 많은 곳에서는 보험 수가를 높이기 위해서, 조금만 의심되는 환자들도 모두 검사를 받게한다는 문제점이 제기되기도 합니다. 필요 이상으로 민감도를 높임으로써 생기는 부작용인 것입니다. 아기가 생겼는지를 초기에 확인하는 임신테스트기들은 대부분 매우 높은 민감도를 갖게 만들어집니다. 임신이 의심되면 병원에 가서 확인을 받게 만듬으로써, 임신을 했음에도 모르고 지나가는 경우를 없게 하기 위해서 입니다. 임신이 되었는 데도 테스터기에서 음성반응을 보였다는 것보다는 테스터기에서는 임신이라고 나왔는데, 병원에 가보니 아니었다는 이야기가 상대적으로 많은 이유가 여기에 있습니다. 

 

특이도가 높은 경우는 질병이 없는 데도 여러가지 검사를 받기 위해서 고생해야 하는 경우는 적은 대신에, 질병이 있음에도 초기에 발견하지 못하고 병을 키우게 되는 경우가 종종 생깁니다. 비씨주는 공보험제도를 갖고 있기 때문에, 진단에 있어서 특이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에 해당합니다. 공공의 세금을 허투루 낭비하는 일을 최소화하고자 하는 정책적인 면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덕분에 한국에서 오신지 얼마 안되시는 분들은 의료 부분에 대한 불만이 일반적으로 많이 있으십니다. 한국에선 쉽게 받을 수 있었던 검사 등도, 이곳에서는 확실한 징후가 있을 경우에만 가능한 경우도 있고, 한국에서는 이것저것 약도 많이 처방해 주는데, 이곳에서는 약 하나 처방받기도 까다롭다고 불평하시는 분들도 뵌 적이 있습니다. 저는 의사가 아니기 때문에, 정확한 말씀을 드리기는 힘들지만, 제 개인적인 생각으로는 필요없는 약들을 많이 드시는 것이나, 불필요한 검사를 과하게 받으시는 것들이 굳이 좋은 것은 아니지 않을까 합니다. 한국에서는 건강검진을 할 때, 옵션으로 항목을 넣으면 PET(positron emission tomography, 양전자 단층 촬영술)을 이용해서 암 진단을 받을 수 있다는 이야기를 듣고 깜짝 놀란 적이 있습니다. 현재 이용되는 의료 영상 법 중에 인체에 무해하다고 알려져 있는 것은 MRI(자기 영상법)이 유일합니다. 특히, CT 촬영은 일반 흉부 엑스레이보다 10배 이상 강한 엑스레이를 사용하고, PET법은 몸에 소량의 방사성물질을 투여하여 촬영을 합니다. 물론, 일반인들에게 허용된 방사선 피폭량에 비교하면 안전한 양이지만, 그렇다고 ‘몸이 좀 찌뿌둥하니까 한번 찍어볼까?’라는 생각으로 옵션을 선택해서 찍을 수 있는 영상법은 아닌 것입니다. 물론, 밴쿠버에서는 다른 조사들에 의해서 거의 확실시 된다라는 소견이 났을 때 사용하는 영상법입니다. 

 

‘질병을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는 새로운 진단법 개발' 

 

위와 같은 광고를 보신다면, 이 말이 질병이 있는 사람만 정확히 질병이 있다고 알려줄 수 있는 방법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라는 것을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물론 일반인들이 어느정도의 민감도와 특이도를 갖고 있는 진단법인지를 정확히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겠지만, 적어도 하나의 진단법을 과도하게 맹신하는 일도, 또 애매한 의사 선생님의 진단 때문에 의사선생님에 대한 신뢰를 갖지 못하는 실수도 범하지 않도록 조심해야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더 이상 남의 일 아닌 지진(Earthquake)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7 1278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네팔 대지진(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7 1486
1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10월의 마지막 날 밤. 할로윈(Hallowee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1501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후쿠시마 유출물, 밴쿠버에 도착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1526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플루엔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7 1616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의 기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2 1634
1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652
1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호라이즌이 보내온 반가운 소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37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740
1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797
1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유방암 진단을 위한 맘모그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813
1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메르스 증후군(MERS), 제대로 알아보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4 1813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빠, 자동차 바퀴는 왜 전부 까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9 1823
1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를 마음대로 내리게 할 수 있다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1826
1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관절 꺽기' 연구를 왜 할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1 1834
1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상 현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843
1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빈디시 연구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1844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어떻게 하면 수학, 과학을 잘 할 수 있을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0 1860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Deep Impact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1867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저 광 케이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4 1870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남태평양 앞바다에 추락한 텐궁 1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874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올해 최고의 과학 업적들, 무엇이 있을까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1875
1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추워도 너무 추운 밴쿠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2 1886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무어의 법칙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1901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키시니, 그 장대한 여정의 마지막을 불사르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1 1903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베누' 소행성에 대한 연구를 위한 탐사선 발사 계획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4 1911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코딩 교육(Coding Educati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915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로제타 프로젝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1929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덜 익은 햄버거의 용혈성 요독 증후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1931
1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루 문(Blue Moon)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933
1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의 바둑 대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3 1933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1934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42억 8000만년 된 미생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64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정확한 진단의 양면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1969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1978
1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1980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89
1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0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12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7
1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1
1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47
1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0
1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6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63
1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7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7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3
1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0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6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1
1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Atomic Spectrum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112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이 지배하는 세상을 두려워 해야 하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115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핵융합 발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4 2118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물리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1 2141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타임지가 선정한 올해 발명품 25가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2 2152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화성 내부의 숨은 비밀을 밝혀줄 탐사선, 인사이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190
10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크리스마스에 잠든 여성 천문학 거장 베라 루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2195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오퍼튜너티 - 긴 탐사여정을 마치고 영원히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204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천체 망원경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2209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