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별까지의 거리 측정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별까지의 거리 측정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10-13 08:30 조회4,341회 댓글0건

본문

240E9D4051B5A00D35BC92

상상을 뛰어넘는 우주 세계, 꿈을 찾으며 인간 발전 이루어져 

작은 곰자리라는 별자리의 꼬리부분에 있는 별, 북쪽 하늘에서 밝게 빛나는 별이기에 많은 배들의 밤길 항해에 길잡이 역할을 해주던 별, 바로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북극성입니다.  

사실 이 북극성은 지구로부터 약 400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별인데요, 여기서 ‘광년’이라는 단위는 빛이 1년동안 날아가 도달할 수 있는 거리로서 일반적인 단위로 환산하자면 약 9,460,000,000,000 킬로미터에 해당합니다. 

그 거리에 400배에 해당하는 거리이니 북극성은 지구로부터 엄청나게 멀리 위치하고 있는 것입니다. 

말을 바꿔서 이야기하자면, 빛이 북극성으로부터 출발해서 지구에 도착하는데까지 약 400년이 걸린다는 이야기가 되니까, 오늘 밤 혹시 밤하늘에서 북극성을 볼 수 있다면 그 북극성은 약 400년전의 모습을 보여주고 있는 것이 됩니다.

하지만, 전체 우주의 많은 별들과 비교해 보면 400광년이라는 거리는 상대적으로 그리 놀랄만큼 먼 거리에 해당하지 못합니다. 

우리 은하에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이웃 은하가 바로 안드로메다 운하인데, 지구에서 안드로메다 은하까지의 거리가 약 250만 광년에 해당합니다. 또한 이런 은하가 이 우주에는 약 1700억개 이상 존재한다고 알려져 있으니 이 우주가 얼마가 거대한 공간인지는 가히 상상이 되질 않을 정도 입니다.


그럼 도대체 천문학자들은 이러한 엄청난 거리를 어떻게 잴 수 있는 것일까요? 

천문학자들이 우주공간의 별들까지 거리를 잴 때 사용하는 방법은 주로 연주시차법과 세페이드 변광성(Cepheid Variable)을 이용한 거리 측정법입니다. 

연주시차법이란 지도에서 거리를 측량하는 방법과 비슷한데, 예를 들어 강의 폭을 측정하고자 한다면, 한 쪽 강변에 위치한 두 위치에서 반대편 강변에 있는 한 점을 바라보면 바라보는 각도의 차이가 생기는데, 이 두 각도와 두 위치의 거리를 이용하면 고등학교에서 배우는 삼각함수법을 이용해서 강폭을 계산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방법은 바라보는 두 위치의 거리가 멀면 멀수록 반대편을 바라보는 각도의 차이가 커져서, 더 먼거리를 측정할 수 있게 되고, 만약 두 측정위치의 거리를 바꿀 수 없다면, 거리가 멀면 멀수록 바라보는 각도의 차이가 거의 없게 되어서, 측정가능한 한계거리를 갖게 됩니다. 

이와 동일한 방법으로 별까지의 거리를 측정하는 것을 연주시차법이라고 하는데, 이 때 우주 상에서 측정하는 두 위치를 최대한 멀리하기 위해서, 지구가 1년을 주기로 태양주변을 공전하는 원리를 이용해 6개월의 시차를 두고 같은 별을 바라 보는 방법을 사용합니다. 즉, 1월에 지구에서 별을 바라볼 때의 각도와 7월달에 동일한 별을 바라보는 각도가 지구의 위치변화로 인해서 다르게 되고, 이 각도의 차이와 지구 공전 지름을 이용하면 별까지의 거리를 계산해 낼 수 있는 것입니다. 

하지만, 앞서 설명드린 바와 같이 이 방법으로는 약 300광년이내의 별들까지의 거리를 잴 때만 사용되는데, 그 이상의 거리는 각도차이를 거의 잴 수 없기 때문입니다.


300광년보다 멀리 위치한 별들까지의 거리를 측정하기 위해서는 세페이드 변광성을 이용한 방법을 사용하는데, 세페이드 변광성이란 북극성주변에 위치한 세페우스 별자리에서 처음 발견되어 이름이 붙여지고, 이제는 일반적으로 빛의 밝기가 주기적으로 변화하는 별을 세페이드 변광성이라고 부릅니다. 

세페이드 변광성은 별의 중력이 강해서 별 자체가 수축을 하는데, 수축이 강해지면 강해질수록 별 내부의 압력이 높아지고, 고압 상태에 의해서 더욱 폭발적인 에너지를 내는 핵융합반응이 가능해서 다시 별이 부풀어 오르는 과정을 반복합니다. 

이때 핵융합반응이 주기적으로 변화함으로써 별의 밝기가 그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변광성이라 분류됩니다. 

이러한 변광성의 위치와 성질을 계산, 기록하던 하버드 대학교 천문대의 헨리에타 스완 리비트(Henrietta Swan Leavitt, 1868-1921)는 1912년 세페이드 변광성의 주기와 별의 밝기가 비례관계를 갖는다는 것을 알아냈고, 그녀의 이론에 따라 변광성의 밝아졌다 어두어지는 주기를 측정하면 그 별의 밝기를 알아낼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이 밝기는 별 자체의 밝기이기 때문에 이를 절대밝기라고 하는데, 이는 우리 밤하늘에 그 별이 얼마나 밝게 보이는지와는 차이가 있습니다. 

아주 밝은 빛이라도 산등성이 너머 멀리 있으면 그 빛이 희미하게 보이듯이 절대 밝기가 매우 밝은 별이라도 그 별이 우리 지구로부터 멀리 떨어져 있으면 어둡게 보일 수도 있다는 것이지요. 이렇게 밤하늘에 실제 보이는 밝기 정도를 우리는 겉보기 밝기라고 합니다. 

이전에는 겉보기 밝기만을 알 수 있을 뿐, 그 별의 절대밝기를 알아낼 수 없었는데, 리비트의 연구 덕분에 주기측정을 통해서 변광성의 절대밝기를 알아낼 수 있게 되었고, 우리는 절대밝기와 겉보기밝기를 비교함으로써 그 별이 지구로 부터 얼마나 멀리있는 가를 측정할 수 있게 된 것입니다. 

쉽게 말씀드리자면, 우리가 실제 밝기가 얼마나 되는지 아는 불빛이 먼거리에 있어서 희미하게 보이면, 먼거리에서 보이는 희미한 정도와 실제 밝기의 비례식을 이용해서 불빛이 얼마나 멀리 있는가를 측정할 수 있다는 원리입니다. 

이러한 방법을 이용해서 리비트는 세페이드 변광성이 위치한 소마젤란 은하가 지구로부터 약 20만 광년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는 것을 알아낼 수 있었습니다. 

마젤란 은하는 지구에서 가장 가까운 이웃은하로서, 마젤란이 남반구를 여행할 때, 북쪽의 북극성을 볼 수 없어서 이 성운을 보고 방향을 가늠했다는 기록에서 이름이 붙여진 운하입니다. 우리 은하에서 가장 가까운 은하는 안드로메다인데, 지구로부터 가장 가까운 곳에 위치한 은하는 마젤란 은하가 되는 이유는 지구가 우리 은하의 중심에 위치하지 않기 때문에, 은하의 중심으로부터 보면 안드로메다가 가장 가까운 것이고, 지구를 중심으로 보면 마젤란 은하가 가장 가깝게 되는 것입니다.


사실 이 우주가 이렇게 엄청나게 넓은 공간이며 그 안에 무수히 많은 은하가 존재한다는 것을 알게 된것은 그리 오래되지 않았습니다.  

19세기까지만 해도 이 우주는 우리 지구가 속한 하나의 은하로 이루어져 있다고 생각했고, 심지어 그 중심에 태양계가 위치한다고 생각하기도 했습니다. 

20세기초가 되어서야 충분한 성능의 반사 망원경이 설치되고, 드디어 1923년 허블이라는 유명한 천문학자가 안드로메다 은하의 변광성의 주기를 측정하면서, 이 변광성이 속한 은하는 우리의 은하가 아닌 그 외부에 존재하는 또 다른 은하라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재미있는 사실은 과학적 증거가 뒷받침이 안되던 시절, 우리 은하 외부에 다른 은하들이 존재할 것이라는 생각을 처음으로 했던 사람은 과학자가 아니라 독일의 유명한 사상가이자 철학자였던 칸트(Immanuel Kant,1724-1804)였습니다. 

칸트는 우리의 은하를 우주에 존재하는 하나의 섬이라 생각하고 은하 밖에는 우리 은하와 비슷한 "섬"들이 무수히 많이 있을 것이라 생각했었는데, 이 "우주섬 이론 "가설은 후에 허블의 안드로메다 발견으로 100년이 지난 뒤에나 과학적으로 입증이 될 수 있었습니다. 

석준영 비센학원장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에 가까운 산 정상이 왜 더 추운 걸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12390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27
1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467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자기 유도와 무선충전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6303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247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끓는점과 녹는점 그리고 기압과 불순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6139
1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10
1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5993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레이저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5536
1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968
1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29
1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3D 영상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752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바다는 왜 짤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688
1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맛있는 음식의 비밀 - 마이야르 반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4560
1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20
1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음의 질량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464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별까지의 거리 측정법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342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259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수학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4230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4210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에서 실행되는 실험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149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Smoke Detector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4112
1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4094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058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도박의 비밀을 알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3994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터치 스크린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889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883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782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55
1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18
1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37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339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260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244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155
1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93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52
1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 플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985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2982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브라질 너트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909
1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부학적 영상진단과 기능적 영상진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2902
1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생아 황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876
1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871
1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790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85
1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779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78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61
1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밴쿠버 기후와 생물군계 관계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734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725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10
1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05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05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05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솔린 옥탄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699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게으름의 본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2697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688
100 [비센의 과학 이야기] 전자렌지 귀신이 와이파이 전파를 잡아 먹어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679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CT와 MRI, 그 속을 들여다보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675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38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