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4-11-27 19:31 조회2,752회 댓글0건

본문

sjy.gif  석준영 비센학원장

인간이 알지 못하는 우주의 신비, 아직도 많아

어마어마한 중력으로 인해 모든 것을 중심으로 끌어당길 뿐 아니라 빛 마저도 밖으로 빠져 나올 수 없어 직접적으로는 관측할 수 없는 우주 공간상의 빈 구멍. 아마도 일반인들이 생각하는 가장 상식적인 블랙홀의 의미는 이정도가 아닐까 생각합니다. 

최근 우주 여행을 줄거리로 한 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라는 영화로 인해 일반인들에게 많이 회자되기 시작한 블랙홀. 현재 가장 권위있는 천체물리학자중 한사람인  캘리포니아공과대학의 킵 손(Kip Steven Thorne)교수가 이 영화의 물리학적 자문을 맡으며서부터 화제가 되었을 뿐 아니라, 그 덕분에 영화상의 스토리나 블랙홀의 표현 등이 현재의 물리학적 이론에 매우 근접했다고 해서 나날이 화제가 되고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덕분에 영화상에서 보여지고 있는 내용들과 괴기하게 표현된 블랙홀의 이미지가 어떤 과학적 근거에 의해서 만들어진 것들에 대해 설명해 주는 엄청난 양의 과학기사들과 칼럼들을 접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런 글들을 읽으면서도 명확하게 이해되지 않는 질문이 있는데, 그건 바로 “그렇게 블랙홀의 중심으로 빨려들어가는 많은 것들은 그럼 어떻게 되는거지?”

“그렇게 많은 것들이 안으로 빨려들어간다면 블랙홀은 풍선이 불어나듯 점점 커져서 궁극에는 터져버리게 되는건가?” 등의 질문들 입니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이런 질문들에 시원하게 답해주는 글을 찾아보기란 쉽지 않으셨을 겁니다.  

253FAF4A5232FA46077EFC

이런 당연한 질문에 대해 그 수많은 글들이 답을 주지 못하는 이유는 다름이 아니라 아직 정확히 모르기 때문입니다. 많은 과학자들이 연구를 통해 지금도 답을 찾기 위해 노력을 하고 있고, 그 선두에 앞서 언급한 킵 손 교수와 루게릭병을 극복한 물리학자로 더 유명한 영국 캠브리지 대학의 스티븐 호킹(Steven Hawking)교수가 있습니다. 

워낙에 많은 글들이 이미 블랙홀과 아인슈타인의 일반 상대성이론, 중력장에 의한 시공간의 휨현상 등을 ‘인터스텔라’라는 영화와 함께 설명을 하고 있기에 저는 이번 칼럼에서 그런 부분들은 생략하고, 블랙홀에 빨려들어가는 정보들은 그 이후에 어떻게 되는 것인가에 대한 연구들이 어떻게 진행되어가고 있는가에 초점을 맞춰서 설명을 드리고자 합니다.


1780년대에 처음 예견되었던 블랙홀의 존재는 1915년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이론을 발표하면서 천체물리학계의 핫 이슈로 급부상합니다. 아인슈타인이 일반 상대성 의한 중력장을 설명하기 위해 도입한 아인슈타인 방정식을 독일의 천문학자인 카를 슈바르츠실트(Karl Schwarzschild, 1873-1916)가 그 해를 구했고, 그로부터 충분하게 무거운 별의 주변에 강한 중력장으로 인해 공간의 왜곡현상이 일어나고 빛도 중력장밖으로 탈출하지 못하는 한계선, 즉 사건 지평선(event horizon)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 알려지게 된 것입니다. 

오랜 연구끝에 1971년 드디어 X-선을 이용하여 백조자리   X-1이 발견되었고, 1974년 스티븐 호킹이 호킹복사(Hawking Radiation)을 이론적으로 증명해 내면서 블랙홀의 베일은 벗겨지는 듯 했습니다. 호킹 복사란 블랙홀이 스스로 에너지를 방출한다는 것인데, 모든 것을 빨아드리는 블랙홀이 어떻게 에너지를 방출해내며 유한한 온도와 무질서도(entropy)를 갖을 수 있는 지를 설명한 이론입니다.

블랙홀의 사건 지평선(event horizon)근처에는 엄청난 중력장의 차이로 인해 아무 것도 존재하지 않는 진공(vacuum)상태가 형성되는데, 이를 양자적 진공(quantum vacuum)상태라고 부릅니다. 

이러한 진공상태는 말 그대로 아무것도 없는 것이 아니라 입자(particle)와 반입자(anti-particle)가 함께 생성되었다가 소멸되기를 반복하고 있는 공간을 말합니다. 이렇듯 사건 지평선 근처에 형성된 진공지역에서는 아주 작은 위치 변화로도 엄청나게 큰 중력의 변화를 겪에 되는데, 이곳에서 두 입자가 생성되는 순간, 두 입자중 하나는 블랙홀의 중력에 의해 끌려들어가지만, 나머지 한 입자는 블랙홀을 벗어나 밖으로 튕겨져 나올 수 있다는 것입니다. 

이때 블랙홀로부터 발산되는 입자와 에너지를 바로 호킹복사라고 합니다. 이 과정에서 블랙홀은 입자와 반입자의 연결고리를 끊는데 많은 에너지를 소모하게 되고, 밖으로 나가는 입자, 또는 반입자,의 질량만큼 블랙홀의 질량도 줄어들기 때문에 블랙홀은 사건 지평선 안쪽의 것들을 중심으로 끌어당김에 의해 폭발하는 것이 아니라 일정 에너지와 질량을 유지할 수 있고, 오랜 시간이 지나면 안으로 끌려들어가는 것은 더이상 없지만, 진공지역에서의 호킹복사는 계속되기 때문에 결국에는 블랙홀이 스스로 우주 공간으로 증발해 버린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 역시 그동안 블랙홀로 빨려들어간 정보들의 최후에 대해서는 명확한 답을 주지 못하는데, 이에 대해 1983년 샌프란시스코에서 열린 학회에서 호킹이 ‘블랙홀이 증발하는 과정에서 흡수된 정보들이 사라진다’라고 말을 함으로써, 이때부터 블랙홀에 대한 전쟁이 시작됩니다. 호킹박사의 호킹복사이론은 일반 상대성 이론에 양자역학적 개념을 접목시켜 만들어진 천재적인 발상이라 할 수 있는데, 정보가 사라진다는 그의 말은 미시세계에서의 양자역학적 변환은 절대 정보를 잃어버리지 않는다는 양자역학의 기본틀에 정면으로 반하는 이야기가 되기 때문입니다. 

호킹의 정보손실에 관해 반대의견을 펼친 과학자로 미국 스탠포드 대학의 레너스 서스킨드(Leonard Susskind)박사를 들 수 있습니다. 그는 ‘블랙홀 전쟁’이라는 자신의 저서를 통해 호킹의 ‘정보손실론’을 반박하였고, 오랜 기간의 학문적 논쟁 끝에 2007년 드디어 스티븐 호킹이 ‘정보를 손실하는 호킹복사’대신 ‘정보를 보존하는 호킹복사’가 맞다고 자신의 패배를 인정하면서 일단락되었습니다. 

그럼 정보가 손실되지 않는다면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하는 가라는 문제는 아직까지도 진행중인 물음이며, 올해 1월에 스티븐 호킹은 이에 대한 새로운 답을 제시하면서 블랙홀에 대한 연구는 또다른 국면을 맞이하기 시작했습니다. 올해 1월 스티븐 호킹은 빛이 무한히 탈출 할 수 없는 사건지평선(event horizon)은 없고, 그 대신 그렇게 보일 뿐인 겉보기 지평선(apparent horizon)이 있을 뿐이라고 말했는데, 그 말은 블랙홀에서 아무것도 나올 수 없다는 것은 틀린 말이며, 양자역학적으로 블랙홀로부터의 탈출은 가능하다라는 완전히 새로운 이론을 내놓은 것입니다.

이렇듯 블랙홀은 아직 인간의 알아내지 못한 우주 공간의 많은 미스터리중에 하나입니다. 앞서 말씀드린 영화에서도 다뤄지지만, 웜홀(wormhole)이라는 것 역시 블랙홀에 들어간 정보들에 대해 설명하기 위해 만들어진 이론중 하나입니다. 블랙홀이 입구라면 그 반대편에 화이트홀이라는 출구가 있고, 이들사이의 웜홀이라는 통로가 존재한다는 이이기입니다. 이런 웜홀의 존재에 가장 많은 연구를 한 과학자가 바로 킵 손교수라 할 수 있지만, 블랙홀과 달리 아직 관측된 웜홀은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화이트홀의 존재의 가능성이 점점 희박하다고 계산되면서 웜홀이 실제하는지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생각되지는 못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하지만, 이역시 현재의 과학의 한계내에서 내리고 있는 결론들일 뿐, 그 어느 것도 확실한 진실이라고 또는 절대 있을 수 없는 일이라 이야기할 수 없는 것입니다. 

석준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에 가까운 산 정상이 왜 더 추운 걸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12429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62
1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501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자기 유도와 무선충전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6320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285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끓는점과 녹는점 그리고 기압과 불순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6177
1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59
1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6019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레이저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5578
1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996
1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61
1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3D 영상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776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바다는 왜 짤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705
1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맛있는 음식의 비밀 - 마이야르 반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4587
1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47
1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음의 질량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499
1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별까지의 거리 측정법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367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288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4250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수학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4248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에서 실행되는 실험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183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Smoke Detector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4143
1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4124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085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도박의 비밀을 알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4026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터치 스크린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920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08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19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82
1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37
1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62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386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288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285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197
1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13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06
1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10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 플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008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브라질 너트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932
1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918
1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부학적 영상진단과 기능적 영상진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2915
1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생아 황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894
1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830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1
1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06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02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89
1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밴쿠버 기후와 생물군계 관계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753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753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36
1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게으름의 본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2731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30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29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솔린 옥탄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723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22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718
100 [비센의 과학 이야기] 전자렌지 귀신이 와이파이 전파를 잡아 먹어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707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CT와 MRI, 그 속을 들여다보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692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8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