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5-11-05 12:17 조회4,148회 댓글0건

본문

눈 오는 날, 사위가 더 조용한 이유는 무엇일까

--------------- 

 

 

지난 11월 1일 그라우스 마운틴(Grouse Mountain, North Vancouver)에 약 5 cm 가량 첫 눈이 내렸습니다. 눈이 내리는 광경을 상상해 보면, 왠지 모르게 고요함과 적막함 속에 산사의 모습이 생각납니다. 시끄럽고 북적거리는 장면보다는 조용한 장면을 떠올리게 되지요. 이는 단지 느낌상 그러한 것이 아니라, 실제로 눈이 내리면 소리를 잡아주는 흡음효과가 있기 때문이라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소리는 매질을 통해서 에너지를 전달시켜주는 파동의 일종으로 ‘음파(Sound waves)’라고 부릅니다. 소리를 포함한 (빛을 제외한) 모든 파동은 매질이 없다면 전달될 수 없으며, 매질의 밀도에 따라서 전달 속도가 변화하게 됩니다.

 

즉, 두 사람이 공기가 없는 우주 밖으로 나간다면, 빛은 전달이 가능하기 때문에 서로 볼 수 는 있지만, 서로의 목소리는 들을 수가 없게 됩니다.

 

또한, 공기 중보다 물 속에서, 그리고 물 속보다 금속성 물질 내부에서 소리는 더 빠르게 전달됩니다.

 

어릴적, 또는 영화속에서 보면 아이들이 기찻길 주변에서 뛰어놀면서 귀를 철로에 대고서 소리를 듣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직접 그렇게 해 본 경험도 있으실 것입니다. 이것은 철로를 타고 오는 소리가 공기중으로 전달되는 소리보다 훨씬 빠르게 전달되기 때문에 기차가 오는 소리를 일찍 알아챌 수 있기 때문에 그렇게 했던 것입니다.

 

소리와 같은 파동들은 반사(reflection), 굴절(refraction), 간섭(interference), 그리고 회절(diffraction)이라는 네가지 특성을 갖습니다.

 

장애물을 만났을 때 튕겨저 나오는 반사의 성질, 다른 매질을 만났을 때 그 매질 내부로 휘여져 들어가는 굴절현상, 그리고 두개 이상의 파동이 서로 겹쳤을 때, 각각의 파동의 세기가 겹쳐서 증폭되기도, 또는 상쇄되어 사라지기도 하는 간섭현상, 그리고 직진하던 파동이 좁은 구멍을 통과하면 퍼져나가기 시작하는 회절현상은 모든 파동들의 공통된 특성이고, 당연히 음파도 동일한 성질을 갖고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방음’을 한다는 것은, ‘차음’과 ‘흡음’ 두가지를 의미하는데, 차음은 정해진 공간 밖으로 소리가 새어나가지 않게 하는 것으로서 밀도가 높은 재질의 벽을 사용하여 통과하는 음파의 세기를 최소화하는, 소위 ‘차폐’의 효과를 만드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와 다르게 흡음은 벽을 맞고 다시 반사되어 나오는 소리를 없애는 것으로서, 일반적으로 두가지 방법을 사용합니다. 혹시 한국에서 꽤 오래전에 많은 사람들이 즐겨보았던 ‘쟁반 노래방’이라는 예능 프로그램을 기억하시나요? 출연자들이 노래를 외워부르며 진행되었던 그 프로그램의 스튜디오가 계란판으로 둘러싸여져 있었는데요.

 

이 계란판이 바로 흡음의 첫번째 방법을 이용한 것입니다. 계란판에 소리가 부딫히면 울퉁불퉁한 표면덕분에 일정치 않은 방향으로 음파가 반사되는 ‘난반사’를 일으키게 되고, 이렇게 여러 방향으로 반사된 음파는 서로 부딫혀 사라지는 상쇄간섭(destructive interference)을 통해 흡음작용을 일으키게 됩니다. 두번째 흡음 방법은 콘서트홀이나 음악 연습실 등 벽에 사용되는 흡음재의 미세한 흡음구멍에 의해 일어나게 됩니다.

 

흡음재는 매끈한 표면이 아니라 많은 구멍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음파가 벽이 부딫혀 반사를 일으키는 대신 구멍 안쪽으로 들어가게 됩니다. 이 구멍으로 들어온 음파는 구멍 내부에서 반사를 거듭하며 에너지를 잃어버려 사라지고, 이때 사라진 음파의 에너지는 대부분 열에너지로 전환되어 흡음제에 흡수되어 버립니다. 눈은 바로 이 두번째 방법을 통해서 흡음효과를 낼 수 있습니다.

 

눈(snow)이란 구름 속의 수분이 얼어붙은 상태를 말합니다. 구름속에서 눈이 생성될 때, 대기중에 떠다니는 먼지 입자가 그 핵이 되어, 주변에 수증기가 얼어붙으면서 눈이 형성되게 됩니다. 흔히 눈 결정은 육각구조를 갖는다고 하지만, 생성당시의 수증기압과 기온에 따라 판모양, 각기둥 모양 등 다양한 모양이 만들어 질 수도 있습니다.

 

어떤 모양으로 만들어지던지 상관없이 중요한 점은 수증기가 ‘덕지덕지’하게 붙어서 만들어진 것이기에 구조상에 많은 틈과 구멍이 있게 됩니다. 이러한 눈 결정의 수많은 구멍들이 방음벽에 있는 흡음재의 구멍과 같은 원리로 소리의 에너지를 흡수해 버리기 때문에, 눈이 내리는 날에는, 단지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주변이 조용해지는 것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비가 내리는 날은 반대로 더 시끄러워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입니다. 물론 이때는 빗소리 자체가 시끄럽기 때문에 주변의 소리가 더 커지는 것이 크게 느껴지지는 않지만, 실제로 비가 오거나, 비가 오기 직전에는 공기중의 수증기의 분포가 많아져서 공기(매질)내 입자들 간의 간격이 가까워지기 때문에 소리가 더 빨리, 더 멀리 전파될 수 있기 때문에 주변의 소리가 더 많이 들리게 됩니다.

 

옛 속담에 ‘기차 기적소리가 가깝게 들리면 비가 내린다’, ‘종소리가 똑똑히 들리면 비가올 징조다’ 등의 말이 있는데, 이것들이 바로 이 원리와 관련된 말입니다.

 

아무도 없는 산속 조그만 산사에서 조용히 내리는 함박눈의 흡음효과 덕분에 얻어지는 고요함 속에 따뜻한 차 한잔을 마시는 기분 좋은 상상과 함께 이번 글을 마칩니다.

 

석준영.gif

석준영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에 가까운 산 정상이 왜 더 추운 걸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12459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78
1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543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자기 유도와 무선충전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6347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297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끓는점과 녹는점 그리고 기압과 불순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6216
1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85
1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6053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레이저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5605
1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5015
1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73
1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3D 영상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793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바다는 왜 짤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727
1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맛있는 음식의 비밀 - 마이야르 반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4606
1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64
1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음의 질량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514
1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별까지의 거리 측정법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397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309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수학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4271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4270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에서 실행되는 실험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213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Smoke Detector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4172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4149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104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도박의 비밀을 알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4055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터치 스크린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944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21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48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814
1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57
1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83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428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314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304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215
1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30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22
1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 플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028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27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브라질 너트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950
1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935
1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부학적 영상진단과 기능적 영상진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2929
1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생아 황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906
1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850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27
1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15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2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805
1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밴쿠버 기후와 생물군계 관계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773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773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55
1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55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게으름의 본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2751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50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솔린 옥탄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747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740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37
100 [비센의 과학 이야기] 전자렌지 귀신이 와이파이 전파를 잡아 먹어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726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CT와 MRI, 그 속을 들여다보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714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9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