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4-06 16:37 조회4,061회 댓글0건

본문

1960년대 이전까지만 하더라도 비활성기체 (noble gas)는 전혀 화학반응이 불가능하다고 생각해 왔습니다. 그래서 이들을 영어로는 ‘inert gas’ 즉 화학반응을 전혀 하지 않는 기체라고 불렀습니다. 하지만, 1962년 전혀 화학반응을 안할 것이라고 믿고 있던 비활성 기체 중 하나인 제논(Xe)을 이용하여 화학반응을 일으킬 수 있다는 것을 실험적으로 증명한 화학자가 나타나면서 전세계의 화학 학계가 발칵 뒤집히게 되는데, 이러한 실험을 성공한 화학자가 바로 캐나다 밴쿠버 UBC 화학과의 네일 바트렛(Neil Bartlett, 1932-2008) 교수였습니다.

비활성 기체란 화학 주기율표에서 가장 오른쪽 세로열에 위치한 원소들을 말합니다. 이들은 원자의 가장 바깥쪽 껍질에 위치할 수 있는 전자들이 자리를 꽉 채우고 있어서 다른 원소들과 화학반응하기가 어려운 성질을 갖습니다. 화학반응이 어렵다는 것은 그만큼 안정적이라는 뜻이고, 폭발을 하거나 화학변화를 일으킬 것에 대한 걱정을 덜 해도 된다는 말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화학반응이 일어나면 안되는 곳이나, 폭발의 위험이 있는 곳을 채우는 기체로 자주 사용됩니다.

기체 중에 가장 가벼운 기체는 당연히 크기가 가장 작은 원소로 이루어진 수소 기체입니다. 풍선을 만들어서 높이 띄울 때에 풍선 바깥쪽 공기와 풍선 안쪽 공기의 무게 차이에 의해 풍선이 올라가는 원리를 이용하는 것이기 때문에 수소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효율적으로는 가장 좋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파티용 풍선을 채울 때도, 커다란 비행선을 띄울 때에도 수소 기체를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두번째로 가벼운 헬륨 기체를 이용하는데 그 이유는 밀도 차에 대한 원리에 대해선 수소 기체를 이길 수 없지만, 수소 기체는 폭발성이 매우 강한 위험 물질이기 때문에 수소 기체로 비행체을 채운다는 것은 거대한 폭탄을 공기 중에 띄우는 것과 다름없기에 무게는 조금 더 무겁지만 훨씬 더 안정한 비활성 기체인 헬륨 기체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또 다른 비활성 기체의 활용의 예로는 형광등의 내부에 들어있는 기체의 대부분도 비활성기체중 하나인 아르곤(Ar) 기체를 들 수 있습니다. 형광등은 전극에서 방출된 전자가 수은 원자와 충돌하면서 빛을 방출하는 원리를 이용하는데, 전자들에 의해 지속적으로 충돌에너지를 전달받는 기체가 불안정하다면 흡수한 에너지로 화학반응을 일으켜 변형되거나 자칫하면 폭발의 위험도 갖게 될 것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인 비활성 기체 중 하나인 아르곤 기체를 채워 놓은 것입니다. 아르곤이라는 이름은 그리스어 ‘argos’에서 유래된 것인데, 이는 ‘게으름 뱅이’라는 의미로 화학반응을 잘 하지 않는 성질에 의해 얻어진 이름입니다. 요즘은  LED의  등장에 의해 거의 사라져서 보기 힘들지만, 예전 도심의 거리를 수놓던 간판에 사용되던 네온 사인 역시 그 내부에 비활성 기체들을 갖고 있습니다.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이 네온(Ne)이기 때문에 네온 사인이라고 불리지만 원하는 색에 따라 다양한 비활성 기체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네온은 주로 주황색, 헬륨 기체를 사용하면 밝은 붉은색, 제논(Xe)은 푸른 색의 사인을 만들어 내는 데에 사용되곤 합니다. 이들 모두 비활성 기체들로 강한 전기적 에너지를 받아도 빛을 방출하는 작용을 할 뿐, 화학적으로는 안정적이기 때문에 안심하고 널리 이용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이렇게 절대 안정적이라고 믿어졌던 비활성 기체로 1960년대 네일 바트렛 교수는 플래티넘 헥사플로라이드(platinum hexafluoride)에 제논 기체를 불어 넣으면 제논 헥사플로로플래티타이트(Xenon hexafluroplatinate)라는 가루가 만들어진다는 것을 처음으로 발견함으로써 비활성 기체인 제논이 화학반응을 일으킨다는 사실을 증명해 낸 것입니다. 그 결과, 절대 화학반응을 하지 못하는 기체들이라는 의미의 ‘inert gas’라는 이름을 더이상 쓸 수 없게 되어, 이후 모든 화학 교과서들은 안정적인 기체라는 의미의 ‘noble gas’라는 이름으로 수정 대체하여 지금까지 사용하고 있습니다. 바트렛 교수는 1958년부터 1969년까지 UBC에서 교수로 재직하였고, 이후 프린스턴 대학, UC 버클리 등의 대학에서 연구를 계속한 후 1999년 교직에서 퇴임한 후 미국 캘리포니아에서 여생을 보냈습니다. 

많은 분들이 캐나다의 과학기술 및 연구 수준은 미국이나 유럽에 비해 많이 떨어진다고 오해하시는 분들이 계시지만, 캐나다의 McGill, University of British Columbia, 그리고 University of Toronto 등의 대학들은 오래 전부터 전 세계 과학사에 굵직한 업적들을 이루어온 저력 있는 대학들이며 지금도 그 어느 곳에도 뒤지지 않는 중요한 연구들을 여러분야에서 활발히 진행하고 있습니다. 50년전 한 젊은 과학자가 밴쿠버의 작은 연구실에서 전 세계의 화학 교과서의 내용을 바꿔버리는 실험을 이루어 낸 것처럼 말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에 가까운 산 정상이 왜 더 추운 걸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12391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30
1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470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자기 유도와 무선충전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6304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249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끓는점과 녹는점 그리고 기압과 불순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6141
1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12
1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5993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레이저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5537
1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969
1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30
1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3D 영상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756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바다는 왜 짤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691
1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맛있는 음식의 비밀 - 마이야르 반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4561
1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22
1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음의 질량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464
1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별까지의 거리 측정법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343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260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수학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4231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4211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에서 실행되는 실험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150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Smoke Detector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4112
1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4097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062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도박의 비밀을 알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3994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터치 스크린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890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883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782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58
1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18
1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38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339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261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245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157
1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093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054
1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 플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2986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2983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브라질 너트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911
1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부학적 영상진단과 기능적 영상진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2903
1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생아 황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878
1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872
1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791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86
1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782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778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62
1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밴쿠버 기후와 생물군계 관계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734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726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12
1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07
10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05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05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솔린 옥탄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700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게으름의 본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2698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690
100 [비센의 과학 이야기] 전자렌지 귀신이 와이파이 전파를 잡아 먹어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679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CT와 MRI, 그 속을 들여다보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677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41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