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페이지 정보

작성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10-04 09:27 조회2,728회 댓글0건

본문

 

 

2018년 노벨 물리학상의 영예는 미국 벨 연구소의 아서 애쉬킨(Arthur Ashkin), 프랑스 에코폴리텍 및 미국 미시간 대학의 겸임교수인 제라르 무르(Gerard Mourou), 그리고 캐나다 워털루대학 교수 도나 스트릭런드(Donna Strickland)에게 안겨졌습니다. 지난 10월 2일 스웨덴 왕립과학원 노벨물리학상 선정위원회는 레이져 관련 물리 분야에서 그들이 이룬 혁신적인 발견에 대한 공로를 인정해 노벨상을 수여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아서 애쉬킨 박사는 올해 96세로 그동안 노벨 물리학상을 받은 과학자중 최고령의 기록을 새웠고, 도나 스트릭런드 교수는 1903년 마리 퀴리(Marie Curie), 1963년 마리아 괴페르트 메이어(Maria Goeppert Mayer)를 이어 무려 55년만에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하는 여성 과학자가 되었습니다. 물론 최초의 여성 캐나다 과학자가 노벨상을 수상했다는 쾌거에 캐나다 과학계는 흥분을 감추지 못하고 있습니다. 

 

 

레이저는 원래 ‘유도방출에 의한 빛의 증폭(Light Amplification by the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이라는 말의 첫 알파벳들로 이루어진 줄임말입니다. 이름 자체에 레이저의 발생원리가 담겨 있습니다. 

 

보통의 분자나 원자들은 안정적인 에너지 상태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이를 바닥상태(ground state)라고 합니다. 하지만, 외부에서 에너지를 흡수하면 불안정상태(excited state)로 올라가게 되고, 다시 안정된 바닥상태로 돌아가기 위해 흡수된 에너지를 빛, 즉 전자기파(electromagnetic radiation)의 형태로 방출해 버립니다. 어느 방향으로 빛이 방출되는가는 무작위적으로 일상생활에서 사용되는 형광등이나 일반 전구에서 나오는 빛의 원리가 모두 이와 같습니다. 하지만, 이런 과정을 의도적으로 일정 방향성을 갖게 나열한 뒤 많은 원자가 여러 다른 에너지 준위가 아닌 하나의 통일된 에너지 준위만큼 에너지를 얻었다가 동시에 낮은 에너지 준위로 떨어질 수 있게 ‘유도해서 방출을 시키면’, ‘증폭된 세기의 빛’을 만들어 낼 수 있게 되고, 이를 레이저라고 부릅니다. 마치, 여러명의 북을 치는 드러머들이 각자 자기 마음대로 북소리를 내는 것과 열을 맞춰서서 한쪽 방향으로 동시에 함께 같은 박자로 북을 쳤을 때의 소리를 비교하는 것과 같습니다. 1917년 그 유명한 알버트 아인슈타인이 레이저의 핵심원리인 유도방출원리를 밝혔고, 이후 많은 과학자들이 50여년간 연구를 거듭한 결과 1960년 미국 휴즈 연구소(Huges Research Laboratories)의 메이먼(T. H. Maiman)박사가 처음으로 루비막대를 이용한 레이저를 만드는데 성공하였습니다. 

 

 

이번 노벨상을 수상한 분들의 업적은 이러한 레이저를 이용해서 바이오, 특히 의학분야의 무한한 연구의 가능성을 열고, 다른 많은 분야를 포함하여 레이저를 활용할 수 있는 폭을 넓히는 것에 기여한 것입니다. 

 

아서 애쉬킨 박사는 광학집게(optical tweezer)라는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이는 레이저를 작은 초점에 집중시키는 방법으로 주변과 물질의 굴절률(빛의 통과하면서 휘어지는 정도)의 차이를 이용해 작은 입자들을 이동시키거나 붙잡아두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기술입니다. 처음 애쉬킨 박사가 이 기술을 개발한것은 1960년대 레이저가 처음 만들어진 직후였지만, 당시에는 그 가능성만 인정받았을 뿐 빠르게 다른 분야에 사용되지는 못했습니다. 이 후 오랜 연구를 거듭한 끝에 1987년 드디어 광학집게를 이용하여 살아있는 박테리아를 상처를 주지 않고 ‘광학적으로’ 잡아두는 것에 성공하였고, 이후 의학, 생물학분야에서 세포, 박테리아, 바이러스 등의 연구에는 빠질 수 없는 기술이 되어 관련분야 발전에 엄청난 공헌을 해오고 있습니다. 

 

 

제라르 무르 교수와 도나 스트릭런드 교수는 고출력 레이저를 가능하게 해준 처프펄스증폭(Chirped Pulse Amplification; CPA) 기술을 알아낸 성과로 이번 노벨상을 공동수상했습니다. 더 많은 드러머가 함께 모여서 북을 치면 더 큰 소리를 만들어 낼 수 있는 것과 마찬가지로 기본적으로 더 많은 유도방출이 한꺼번에 일어날 수 있게 만들면 더 강한 레이저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1970년대에는 어떻게 하면 더 강한 레이저를 만들어 낼 수 있을까에 레이저에 관련된 연구가 집중되었고, 1980년대초에는 더이상 증폭을 하면 매질자체의 손상을 주어 더이상 레이저를 고출력으로 끌어올리지 못하는 한계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점점 더 강한 무기를 만들어내다가 끝내 그 무기의 위력에 무기자체가 손상되는 시점에 도달한 것입니다. 이 문제점을 해결하고 한계점없이 더 높은 출력의 레이저를 가능케 한 것이 이들의 CPA기술입니다. 당시 지도교수였던 무르 교수와 박사과정중인 스트릭런드 교수는 매질의 손상이 너무 높은 고주파 펄스의 출력을 높이는 과정에서 비롯된 다는 것을 알아낸 후, 펄스의 진동수를 낮추기 위해 파장을 길게 늘여준 뒤 출력을 높이고 다시 압축하여 진동수를 다시 복원하는 방식으로 고출력 레이저를 가능하게 만들었습니다. 왠지 우리와는 먼 다른 세상의 이야기들처럼 들릴 수도 있지만, 이 기술이 바로 안과에서 시력교정을 위해 사용하는 라식, 라섹 레이저 수술이 가능하게 해준 기술이며, 이 외에도 대부분 일상에서 사용되는 고출력 레이저는 이들의 기술이 없었다면 불가능한 것들입니다. 

 

 

과학분야의 노벨상은 일반적으로 혁신적인 과학적 발견이 인류의 발전에 얼마나 공헌했는가를 그 수상기준으로 갖고 있습니다. 그래서, 매우 획기적인 발견에 대한 이례적인 경우를 제외하고는 연구발표가 있고 20년 길게는 30여년 뒤에야 노벨상 수상자로 인정을 받곤 합니다. 하지만, 노벨상은 현재 생존해 있는 과학자에게만 수여하기 때문에 사후에 그 공로를 인정받아 대단한 과학자로 추앙받고 있지만 노벨상을 받지는 못한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덕분에 과학자들 사이에는 노벨상을 받으려면 즐기면서 연구를 하고 스트레스없이 오래 장수를 하거나 아주 젊을 때 연구결과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농담을 주고받고는 합니다. 이 농담에 따르면 이번 수상은 두가지 모두에 해당합니다. 애쉬킨박사는 96세까지 장수한 덕분에 최고령 노벨상 수상자라는 기록을 새웠고, 스트릭런드 교수는 대학원 시절 박사논문 연구주제로 이번 노벨상을 받았으니 두번째 농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노벨 물리학상을 수상한 최초의 여성 캐나다인이 된 스트릭런드 교수를 축하하며 지금 이시간에도 연구실에서 난제를 풀어내기 위해 고생하고 있는 젊은 과학도들, 그리고 그런 과학도들이 되고자 꿈을 키우고 있는 어린 학생들이 20년, 30년 뒤 또 다른 노벨상 수상자가 되기를 바래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157건 1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15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에 가까운 산 정상이 왜 더 추운 걸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0 12426
15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물은 당연히 섭씨 100도씨에서 끓는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8 8660
15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줄다리기 승패는 신발이 좌우한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6498
15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전자기 유도와 무선충전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6319
15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285
15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끓는점과 녹는점 그리고 기압과 불순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2 6172
15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58
15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물수제비 (stone skipping)’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1 6018
14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레이저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5577
14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꿈의 소재 그래핀이 열어가는 무한한 가능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996
14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59
14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3D 영상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4776
14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바다는 왜 짤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1 4705
14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맛있는 음식의 비밀 - 마이야르 반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4587
14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46
14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음의 질량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4498
14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별까지의 거리 측정법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3 4367
14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기하고 위험한 액체 질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7 4288
13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4250
13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수학 공부는 왜 해야 하나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0 4248
13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우주에서 실행되는 실험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4181
13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Smoke Detector (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4 4143
13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눈의 흡음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4124
13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비활성기체 화학반응을 성공시킨 UBC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4085
13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도박의 비밀을 알면 성공적인 인생을 살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6 4025
13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터치 스크린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4 3919
13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불변의 진리였던 플로지스톤-진리가 아니었던 진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3908
13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설제에 숨어 있는 과학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3819
12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대중에게 잘 알려지지 않은 천재 물리학자, 레프 란다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4 3782
12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매운 음식을 먹으면 스트레스가 해소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3637
12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62
12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어 백(Air Bag)의 원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0 3385
12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원자 구조 2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5 3288
1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핼리팩스 대폭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2 3285
1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에너지 질량 등가 원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9 3197
12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잉글리쉬 베이 밤하늘을 수놓은 불꽃놀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9 3113
12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05
12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 플레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3 3008
1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산타의 썰매는 초음속 비행물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3006
11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브라질 너트 효과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6 2932
1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폭발 직전의 발리 아궁화산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917
11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해부학적 영상진단과 기능적 영상진단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2915
11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생아 황달(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893
1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유전자를 내맘대로 재단하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5 2830
11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11
1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05
1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당신의 뇌를 깨우는 모닝커피 한 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01
11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156회] 꿈이 알려준 과학적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9 2788
1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밴쿠버 기후와 생물군계 관계는 ?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3 2752
10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블랙 홀의 비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7 2752
10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건강식품도 독이 될 수 있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734
10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게으름의 본성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9 2730
열람중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역사상 세번째 여성 노벨 물리학 수상자가 된 워털루 대학 스트릭런드 교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4 2729
1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제 7대 브로이 공작, 루이 빅토르 피에르 레몽 드 브로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4 2727
10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가솔린 옥탄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2 2723
10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태양을 향한 인류 첫 탐사 - 파커 탐사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3 2719
10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 코드(1)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717
100 [비센의 과학 이야기] 전자렌지 귀신이 와이파이 전파를 잡아 먹어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3 2706
9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CT와 MRI, 그 속을 들여다보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2692
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8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