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2-08-11 13:48 조회773회 댓글0건

본문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의 핵심은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공부방법


◆ 사실 많은 사람들이 ‘배운다’와 ‘공부한다’를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는데 지금까지의 이야기를 들어보니 배우는 것과 공부하는 것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이 보여요. 학생들은 새로운 것을 배우기 위해 학교에 다닌다고 보통은 이야기하는데 스스로 공부를 할 수 있다면 학교교육이 필요가 없는 것 아닌가요? 


- 자신의 삶을 자신이 살아가기 위한 방법을 찾고자 하는 사람들에게 지식을 가르치고 배우는 학교라면 사실 필요가 없어요. 아니, 필요가 없는 정도가 아니라 오히려 장애물로 작용해요.  


◆ 장애로 작용한다는 말은 학교를 다닐수록 독립된 삶을 살기 어렵게 된다는 뜻인가요? 


- 맞아요. 지식은 가르쳐주는 사람이 있어야 배울 수 있기 때문에 독립된 삶이 아닌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게 매달려 그들의 정신적 노예가 될 가능성이 더 크거든요. 이런 교육을 충실히 받으면 후에 권력자나 재력가가 개돼지처럼 자신을 취급해도 반항도 못하고 그대로 당하기만 하죠. 사람에 따라서 오히려 개돼지취급 받는 것이 당연하다고까지 생각하기도 할 거에요. 


◆ 그런 경우를 뉴스에서 본 적이 있어요. 특히 ‘그루밍 성폭행’과 같은 경우를요. 그런데 왜 그런가요? 지식을 배우고 익히는 교육이 어떻게 사람을 그렇게까지 수동적으로 만들 수 있죠?  


- 동물적 생존본능이에요. 동물들은 생존을 하기 위해서 먹을 것을 구하고 또 지켜야 하죠. 그런데 기억력이 발달하면서 이제는 가르치고 배워서 생존의 확률을 늘릴 수 있는 방향으로 생명체들이 진화를 했거든요. 직접경험을 통한 학습은 말 그대로 먹어봐야 독이 있는지 없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이라 선택에 따라 살고 죽음이 나뉘지만 기억력과 함께 가르치고 배우는 방법이 발달하면서부터 직접경험이 아닌 지식의 전달을 통해 생존의 확률을 늘릴 수 있는 방향으로 진화한 거죠. 


◆ 그러면 학교교육이 더 필요한 것 아닌가요? 생존의 확률을 늘릴 수 있으니까요. 


- 야생에서 살아간다면 그렇겠죠. 독이 있는 뱀과 그렇지 않은 뱀을 구분할 수 있는 지식을 배우고 익혀야 뱀을 다룰 수 있으니까요. 하지만 사람의 경우에는 많이 달라요.


◆ 어떻게 다른가요? 사람도 생존을 위해 경쟁을 하는데요. 


- 사람들이 살아가면서 가장 필요로 하는 능력이 무엇일까요?  


◆ 글쎄요? 살아남기 위해서는 다양한 지식과 기술이 필요하지 않을까요? 


- 기술과 지식은 부수적인 요소들이에요. 음식을 예로 들자면 보기 좋게 장식을 하는 것과 같죠. 


◆ 그러면 뭐가 가장 필요한 능력인가요? 


- 타인을 설득해서 내 이야기에 동의하도록 만들고 나아가 내가 이야기하는 대로 따라오도록 만드는 것이죠. 


◆ 잠깐만요. 예전에 지도자의 자질에 대해 이야기 할 때에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것을 찾아내고 그 필요를 충족해 줄 수 있는 사람이 진정한 지도자라고 하지 않으셨나요? 자신의 이야기대로 따라오도록 만든다는 이야기는 처음인 것 같은데요.


- 그랬죠. 하지만 그 내용은 뒷부분을 생략한 내용이었어요. 


◆ 어떤 내용이 생략된 거죠?  


- 지도자라고 해서 모든 사람의 필요를 충족해 줄 수 없어요. 돈이 필요한 사람에게 필요한 만큼 돈을 제공할 수 없잖아요.  


◆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하는 데요? 


- 진정한 지도자라면 생존에 관계된 것 말고는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이유를 찾아 그 이유를 없앰으로서 더 이상 그것을 찾지 않도록 할 수 있어야 해요. 


◆ 그 말은 욕심 또는 욕구를 없앤다는 뜻으로 받아들여도 되나요? 


- 예. 맞아요. 돈을 필요로 하면 돈이 왜 필요한 지 이유를 찾고 그 이유가 생존과 직결된 것이라면 제공할 수 있도록 하지만 만일 그것이 자신의 욕망을 채우기 위한 것이라면 그 욕망이 어디서 왜 왔는지를 찾아가 욕망을 없앨 수 있도록 이끄는 거죠. 


◆ 정확하게 와 닿지 않는데, 이 이야기는 후에 다시 질문을 하도록 하고 일단 학교교육에 대한 질문을 할게요. 생존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가르치면 독립된 삶을 살기 어렵다고 했었고 사람이 살아가면서 가장 필요한 것이 다른 사람들로 하여금 내 이야기를 믿고 따르도록 설득하는 능력이라고 했는데, 이 둘이 어떻게 연결이 되나요? 


- 인간의 삶에서 동물적 생존은 어느 정도 보장이 돼 있다고 볼 수 있어요. 안전장치들이 있으니까요. 하지만 이것들은 내 목숨을 유지하는 것이지 사람들 사이의 경쟁에서 이겨나가면서 내 삶을 살아가는 방법은 아니죠. 인간 사회에서 생존은 내가 만든 물건을 소비가가 구매하도록 만들고 내 말을 고객이 충분히 이해해서 동의하도록 설득하는 힘에 바탕을 두고 있어요. 이러한 활동의 가장 핵심이 되는 것이 얼마나 논리적으로 설명을 할 수 있는지의 여부거든요. 앞서 이야기 했듯 지식과 기술은 그러한 설득에 활용될 수 있는 도구이고요. 


◆ 그러니까 사람에게 있어서 생존은 생명을 이어가는 동물적 생존이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내 이야기를 듣고 수긍하고 따르도록 만드는 것이라는 뜻이군요. 어떻게 보면 지도자의 모습이네요. 사람들로 하여금 자신의 이야기를 받아들이고 따르도록 설득하니까요.


- 그렇죠. 그래서 학교는 지식과 기술이 아니라 알려진 지식과 기술을 가지고 그것들을 인과의 법칙을 적용해 논리적으로 연결하고 그 내용을 서술함으로서 다른 사람들을 설득할 수 있는 힘을 기를 수 있도록 훈련하는 장소라야 학생들로 하여금 자신의 삶을 살아갈 수 있도록 길을 열어줄 수 있어요. 그리고 이러한 과정이 공부고요. 앞서 이야기 했듯, 지식과 기술만을 가르치면 학생들은 기득권의 정신적 노예가 될 가능성이 크고요.  


◆ 그래서 지식과 기술을 배우려 하지 말고 공부하는 방법을 익혀 스스로 찾아갈 수 있도록 훈련을 해야 한다는 뜻이군요. 그러면 학교에서 다루는 주제는 바뀔 필요가 없겠네요? 


- 그럼요. 지식과 기술은 상관이 없어요. 그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공부방법이 핵심이죠. 


◆ 그 말씀은 꼭 학교에서 다루는 주제가 아니라도 상관이 없다는 뜻인가요? 


- 예. 요리하는 것도 빨래하는 것도 그 외의 내가하는 모든 것이 공부의 주제가 될 수 있어요. 다만 법적으로 문제가 될 수 있는 것들을 주제로 삼으면 감옥에 갇혀 공부는 더 이상 어려울 테니 빼고요. 


◆ 여기서 궁금한 것이 지식과 기술은 두뇌능력 중 기억력에 많이 의존한다고 보이거든요. 그런데 민 박사님이 이야기하는 공부방법은 기억력과 어떤 관계가 있나요?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0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새 원자의 발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4 1975
4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4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1 1977
4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78
42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잔소리를 참는 부모 vs 잔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부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1979
420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건강하게 여행 떠나는 방법, 무엇일까요 ?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80
4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82
4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986
4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88
416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1990
4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1993
4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6
4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03
41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05
41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05
41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10
40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12
4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14
40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16
406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17
405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18
4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2019
403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1
40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1
40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2022
4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름이나 지식에 얽매이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23
39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23
39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024
3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29
396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30
3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0
39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31
39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33
39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35
39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37
39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2
38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3
38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45
3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47
386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48
38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50
384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52
38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53
3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54
38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058
3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59
37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60
37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63
37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066
376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69
3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0
3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2
37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5
372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76
371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77
3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82
369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3
3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087
36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92
3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092
36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원초적 본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30 209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