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헤럴드 코퀴틀람] 아이엘츠 제대로 알기 No. 42

페이지 정보

작성자 헤럴드코퀴틀람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23-06-07 10:26 조회817회 댓글0건

본문

1178908027_YdBSiVy6_134fa62a59d0bdab25cca5221dd10f46540ffbd8.png


전반적인 라이팅 파트에 있어서 고득점 전략에 이어 좋은 라이팅 점수를 받을 수 있는 팁을 말씀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아이엘츠 시험은 paper-based tes 로 컴퓨터로 타이핑하는 것이 아니기 때문에 답안지 작성하는 부분도 매우 중요한 평가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깔끔하면서도 분명한 필체(legible)가 아무래도 보기 힘들고 뚫어지게 쳐다봐야 알 수 있는 필체(illegible)보다 나을 것 입니다. 모든 답안지를 hand-writing 으로 작성해야 하는 아이엘츠에 있어서는 간과해서는 안됩니다. 아울러 문단의 형식이나 구둣점도 사소해 보이지만 완성도 있는 에세이 라이팅에서 신경 써야 할 요소입니다. 따라서, 아래의 라이팅을 위한 팁들을 숙지하시어 평소에 연습하실 때도 적용하시어 올바른 방식을 습관화하시기 바랍니다.

 

습관처럼 아무 곳에나 ,(comma)를 찍거나 문장이 끝났음에도 불구하고 .(period)를 찍지 않는 등의 오류들을 범하는 학생들이 의외로 많습니다. 이런 사소한 실수이지만 습관화 되어 버리면 나중에 고치기 정말 어렵습니다. 이러한 오류들은 미리 숙지하시고 아예 범하지 않는 것이 현명한 방법일 것 입니다.


 

 

# Hint for Good Writing

 1. 외양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 실제 시험장에서는 연필과 지우개는 사용할 수 있지만 볼펜이나 샤프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 용지 왼쪽과 오른쪽에 여백 주기에 주의해야 합니다. 즉, 답안지 줄이 끊어진 곳에서 다음 줄로 줄 바꿈하고 종이 끝까지 활용하지 않습니다.

- 문단의 형식에 있어서는 Traditional과 Modern 둘 중에 하나 만을 선택하셔야 합니다. 혼용 안 됩니다!

* Traditional Method: 문단이 바뀌는 것을 들여쓰기를 통하여 나타내고 줄 띄우기를 하지 않습니다.

* Modern Method: 들여쓰기를 하지 않는 대신 줄 띄우기를 하여 문단의 구분을 나타냅니다.

>> 둘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서 쓰는 것이 좋지만, 실제는 Modern Method를 선호합니다.


1178908027_4rmpoKDk_4c9b0696553c4b32d6e4b25ffad980104ca26b5c.png


- 줄 간격 두 배(double spacing) 는 안 됩니다.

- 단어가 너무 긴 경우는 여백까지 사용하지 말고 줄을 바꿔 쓰시기 바랍니다.

- 본인의 글자 크기에 따라 다르겠지만, 각 단어들 띄어쓰기 분명히 하시고, 각 줄 마다 10-12자를 쓰는 것이 좋습니다.

- 필기체가 익숙하지 않으면 인쇄체를 쓰시기 바랍니다.

- 교정에 대한 감점은 없고 오류 수정에 대한 좋은 인상을 줄 수 있습니다.



2. 기본 구두법(punctuation)은 매우 중요합니다.

- 마침표는 문장의 마지막에만 사용합니다. 반대로 문장의 마지막에 마침표를 안 찍으셔도 안 됩니다. (눈에 보이지도 않게 찍지마시고 자신있게 찍으십시오.)

- 문장의 첫 글자, 고유명사는 항상 대문자로 쓰셔야 합니다.

- 쉼표에는 뒤에 추가적인 정보가 있어야 합니다.

- 접속사 뒤에는 절대로 쉼표를 찍어서는 안됩니다.

     * 대표적인 실수 >> While, ….

- 접속사와는 달리 연결사의 역할을 하는 부사 뒤에는 항상 쉼표를 찍는 습관을 들이시기 바랍니다.

     * However, / On the other hand, / Accordingly, / Thus, / Yet, / Still,


The population of rivers, which is often caused by chemical waste and fertilizer, is causing enormous problems for fisherman, especially in Britain.

 

- 세미콜론은 나열된 것들 안에서 하부그룹을 구분하는데 사용 되어집니다. 하지만 문법적으로는 두 개의 밀접한 관련이 있는 두절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고 이때는 세미콜론 대신 마침표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Chemical waste from factories is still drained into river systems; it is hard to believe that this practice is still allowed by law in some areas.

 

- 콜론은 뒤에 나오는 것이 중요함을 알릴 때 사용합니다.

The environment is important for the following reasons:

 

- 공식적인 글에는 축약형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 don't(x)   >>   do not(O)

- IELTS에는 느낌표, 물음표와 같은 감탄 부호, 의문 부호 또한 피하도록 합니다.



3. 주어진 과제를 골든 룰에 따라 정확히 적어야 합니다.

- 주어진 주제를 일관되게 적어야 합니다.

- 최소 어휘 수를 충족 시켜야 합니다. (-5%까지는 okay)


 

4. 공식적인 문체의 글을 써야 합니다.

- 구어체나 속어의 사용은 금물입니다.

- thing이란 단어(something,anything, nothing)는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그보다는 좀 더 사실적인 어휘가 좋습니다.

I like computer games and something like that. (x)

- etc, and so on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대신 최소 3개의 예시 나열이 좋습니다.

They sat for the test, passed, and failed to use their qualifications.

- I, We의 사용은 피하는 게 좋고 대신 수동태의 활용을 권장합니다.

We consume a lot of water everyday.   è   A lot of water is consumed everyday.


 오류들을 피하여 여러가지 다양한 주제들에 대하여 실제로 라이팅을 많이 해 보시는 것이 남았습니다. 라이팅 섹션에 있어서는 정해진 시간 내에 2개의 task를 써내야 하기 때문에 실제적으로 시간적 여유가 많지는 않습니다. 이에 따라 여러 주제들에 대하여 미리 브레인 스토밍을 해서 적절한 supporting ideas를 많이 가지고 있는 것이 좋은 무기가 될 것입니다. 

다음 시간에는 실제 시험에 들어가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팁들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4건 10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사림 문화의 산실, 누정(누각과 정자)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83
42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봉총 금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86
422 [이근백의 캐나다 생활 이모저모] 건강하게 여행 떠나는 방법, 무엇일까요 ? 이근백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87
421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잔소리를 참는 부모 vs 잔소리를 할 필요가 없는 부모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1992
42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타인의 인정이 가치판단의 기준이 되도록 만드는 교육의 문제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994
4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두뇌 구조와 기능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995
4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995
41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 역사상 가장 뛰어난 항해자(voyager)는 누구일까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9 1998
416 아이와 눈높이를 맞춘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8 2003
4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이유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5 2003
41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2012
413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봉사활동 그리고 자녀교육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017
41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 역사-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2 2019
4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암흑 물질과 암흑 에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30 2019
41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좋은 글쓰기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8 2020
40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3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1 2021
40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공부만큼 글쓰기가 어렵고 힘든데 왜 그런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2021
4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과학기술의 발전도 따라잡을 수 없는 창조적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30 2022
406 자녀를 혼내야 하는 경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8 2024
405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최종 승부는 프로의 열정…나를 판매하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25
40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경험보다 더 효과적인 공부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1 2026
4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5 2027
4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이름이나 지식에 얽매이면 사고력을 키울 수 없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2 2028
401 [알기 쉽게 풀어 보는 한국사 수업] 추모(주몽)의 아들 온조가 세운 세운 백제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29
400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공부 방법에 따라 바뀌는 인생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9 2031
39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2033
39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5 2037
3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자신이 설명할 수 없는 단어의 사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2039
39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의 과정에서 필자의 역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8 2039
39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슈퍼 푸드 - '토마토'에 대한 모든 것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3 2042
3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년에 주목할 과학 이슈 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3 2045
39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어휘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6 2047
3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1000년 사찰(산사), 세계가 지켜야할 가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30 2047
39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중급과정 – 주제에 대한 두 가지 다른 접근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2047
390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재외국민 특례 방심하지 말고 미리 준비하자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7 2047
3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지도자의 자격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4 2050
3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트레스로 인한 어지럼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054
387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앨런 머스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9 2057
386 [CELPIP의 모든 것] “재주는 캐나다가 부리고 돈은 영국이 챙기는 현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1 2057
385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4 2061
38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알파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061
3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2015 노벨 물리학상과 중성미자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8 2063
38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6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0 2065
3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67
38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인슈타인의 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2071
379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사람 (특히 자녀들)을 무시한다는 것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8 2071
37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세계유산 – 10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0 2073
377 [김바울의 자기소개서 교육 컨설팅] 특례전형 파헤치기 2 지필고사와 서류전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6 2077
3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078
3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아이슈타인의 일반 상대성 이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6 2079
3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캐나다의 석면 금지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2079
373 [신년 기획연재 '엔지니어 도전하기'] 지원 회사·일자리 완전히 알고 가야 이진태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8 2082
37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085
371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 방법] 마지막회 – 개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9 2086
3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없애고 싶어 안달 나게 하던 것이 엄청난 발견이었다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7 2088
36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류의 진화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1 2090
36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학교 공부의 효과를 늘릴 수 있는 공부 방법 4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8 2094
36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객관식, 주관식, 논술, 그리고 자녀교육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2099
366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파리기후협정이 뭐길래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100
36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실수는 발명의 어머니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7 2104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