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8-08-02 09:55 조회2,515회 댓글0건

본문

 

 

나만의 정의를 내리는 과정까지 왔다면 이제부터는 이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면서 공부를 이어가는 과정에 들어갑니다. 하지만 이에 앞서 먼저 짚고 넘어가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여기서 이야기하는 주제의 확장은 지난 2-3주에 걸쳐 개념의 확장을 설명하고자 간단하게 예로 들었던 ‘중력 + 식물의 번식방법 (날개를 달아 씨앗을 퍼뜨리는 식물, 동물의 털에 묻혀서 씨앗을 퍼뜨리는 식물 등)’ 또는 ‘중력 + 계절에 따른 식물의 변화 (단풍, 열매의 성숙 등)’와 같은 개념의 확장이 아닙니다. 이러한 주제는 복수의 개념이 포함되어 있기에 조금 더 훈련을 거쳐야 수월하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어지는 주제의 확장은 원 주제를 벗어나지 않는 선에서 새로운 개념 하나씩만을 더해가는 방법을 적용합니다. 즉, 여기서의 개념은 말 그대로 ‘단어’ 하나에 국한합니다.

 

1. 나만의 정의를 서술로 바꾸어 질문을 이어가기

 

먼저 지난 주 필자가 내린 중력에 대한 정의를 적고 시작하겠습니다.

 

필자의 ‘중력’에 대한 정의: 중력이란, 사과와 같이 공기 중에 매달려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물체를 땅으로 떨어뜨리거나 땅 위에서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에 있는 물체들을 낮은 위치로 끌어 내리는 힘.

 

이 정의에는 공기 중의 물체가 떨어지는 현상과 높은 위치의 물체가 낮은 위치로 굴러 내려가는 현상, 이렇게 두 가지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와 같이 정의를 내렸을 때 여러 현상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한 번에 모두 다루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이 둘을 나누어 각각을 독립된 주제로 하여 다룹니다. 지면상 두 가지 모두를 다루기는 어려우므로 사과와 관련된 현상을 주제로 하여 공부 방법에 대한 설명을 이어가겠습니다.

 

먼저 주제를 확장하는 질문으로 바로 들어가기 전에 정의를 바탕으로 질문을 만들 때 유용한 질문을 만드는 공식 하나를 적고 시작하겠습니다.

 

공식: 1. 서술문의 내용을 일반화 한 다음, 2. 6하 원칙 중 정의를 물을 때 사용했던 ‘어떻게’를 제외한 나머지 중에서 앞의 서술문에 포함하지 않은 것을 골라 우선적으로 질문을 만든다.

 

이제 아래와 같이 정의를 서술로 바꾼 후 만든 질문을 적고 이야기를 이어가겠습니다.

 

예) 사과와 같이 공기 중에 매달려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물체를 땅으로 떨어뜨리는 중력의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위 질문에서 밑줄 친 부분은 앞서 적어놓은 나만의 정의에 포함된 두 가지 내용 중 하나를 서술한 것이고 후의 질문은 이 서술에 덧붙여 만든 것입니다. 이 시점에서 다시 강조하지만 필자가 제시하는 과정들을 하나도 건너뛰지 말고 순서대로 해보시라고 제안합니다.

 

여담이지만, 비록 후에 일상생활에 필요하지 않아 기억에 오래 남지는 않을지언정 다른 사람이 전해주는 지식을 이해를 바탕으로 받아들이는 과정은 내가 굳이 머리를 쥐어짜며 질문을 하고 답을 찾지 않아도 되기에 쉽고 편안하게 느낄 수 있습니다. 반면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는 나 자신이 모든 과정을 소화해야 하므로 초창기에는 시간도 오래 걸릴 뿐 아니라 진행 속도도 상당히 느릴 수밖에 없습니다. 따라서 빨리 진행하려 시도하기보다는 느리게 갈 수밖에 없음을 인식하고 필자가 제시하는 단계별 방법들을 하나도 거르지 말고 적용하여 공부를 이어갈 수 있어야 1. 관찰력을 늘리고, 2. 서술을 구체적으로 할 수 있는 방법을 익히며, 3. 질문의 종류를 체계적으로 바꿀 수 있도록 두뇌를 훈련하고, 4. 이해를 바탕으로 쌓아온 지식의 한계를 스스로 봄으로서 사고력을 늘리겠다는 의지를 불러일으킬 수 있고, 5. 사고력을 체계적으로 늘릴 수 있습니다.

 

2.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만든 질문에서 핵심 단어를 찾아 질문을 만들기

 

앞서 6월 22일자 순서도는 자신이 가진 지식의 한계를 스스로 확인하는 방법에 적용되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이 순서도에만 의존해서 정의를 묻는 질문과 서술을 이어가는 과정을 반복하다보면 마치 108개의 구슬을 꿰어 만든 염주를 아무리 돌려봐야 제자리를 벗어나지 못하고 맴돌 듯 사고도 제자리걸음을 하게 되거나 아니면 막다른 골목에 다다라서 더 이상 갈 곳을 찾지 못하는 것처럼 느끼는 경우가 있을 것입니다.

 

사고력을 바탕으로 지식을 쌓는 공부의 핵심은 바로 이 부분에서 시작합니다. 즉, 108개의 염주가 하나 실로 연결되어 있어 맴돌고 있다면 그것을 벗어나는 방법은 바로 핵심인 실을 찾아 끊어내는 것입니다.

 

우선 앞서 중력에 대한 정의를 질문으로 바꾼 예를 다시 적고 계속하겠습니다.

 

예) 사과와 같이 공기 중에 매달려 있는 공기보다 무거운 물체를 땅으로 떨어뜨리는 중력의 힘은 어디에서 오는가?

 

이 질문을 살펴보면 다시 중력이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으로 되돌아 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제자리를 맴도는 상태를 벗어나는 방법은 만들어놓은 질문에서 핵심을 찾고 그것을 통해 사고의 틀을 벗어나야 합니다.

 

이 정의를 바탕으로 만든 질문에서 핵심은 무엇일까요? 사과가 떨어지는 마지막 지점도 땅이고 또 물체를 끌어당기는 힘의 원천도 땅이라는 점에서 ‘땅’이 핵심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즉, 사과, 물, 돌 등 각각의 염주 알들을 연결시켜주는 핵심요소인 실의 역할을 하는 것이 여기서는 ‘땅’이라는 것입니다. (참고로 앞서 다루지 않았던 정의의 두 번째 부분도 이 부분에서 합쳐집니다.)

 

따라서 핵심요소인 ‘땅’을 주제로 하여 다음 과정을 이어갈 수 있어야 맴도는 사고의 틀을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6건 10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열람중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나만의 정의를 바탕으로 주제를 확장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2516
42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두산정계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2 3878
42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서술을 종합하여 나만의 정의를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468
42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신비한 우주쇼 ‘블러드 문’, 안타깝게도 밴쿠버에서는 볼 수 없어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2645
42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동학 농민 운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6 4467
42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학교종이 땡땡땡, 서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549
42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바꾼 질문에 부합하는 서술을 만들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9 2452
41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앤트맨처럼 작아지는 것이 실제로 가능할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4573
41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과거시험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771
41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5감과 6하 원칙을 바탕으로 답을 찾을 수 있도록 질문을 바꾸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2 2608
4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승정원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166
41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지식의 한계를 확인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5 2807
41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곰탕 폭발의 미스테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4977
41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몽유도원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78
41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주제의 선택 그리고 정의를 묻는 질문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8 2536
41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백성을 가르치는 올바른 소리, 훈민정음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2988
41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공부 방법의 기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1 3543
4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선크림 방지법 - 새로운 대안을 찾아야 할 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3127
40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2350
40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4702
40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 불화, 혜허의 수월관음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3040
40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2467
40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중력이라는 이름의 코끼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88
40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설화문학과 패관문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3455
40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정리 – 천재를 넘어서는 사고력을 기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31 2584
40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삼국사기와 삼국유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3733
40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두뇌 속 생존본능의 불을 끄는 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4 2690
3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영주 부석사 무량수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492
39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라돈 침대 - 위험한 것일까? 안전한 것일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817
39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2 (두뇌의 작용)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7 2331
39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그리고 공 1 (공을 본다?)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10 2211
3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성덕 대왕 신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76
39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왜 남북은 서로 시간이 다를까-남북회담을 계기로 알아보는 국제표준시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2829
393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3)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03 1986
39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고려청자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3248
39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가야의 핏줄 김유신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602
390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2112
38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풍수지리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4705
388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플라스틱을 먹어치우는 박테리아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6301
387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석가의 깨달음 (추상적 개념, 신념, 그리고 상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9 2328
38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공부, 그리고 삶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2562
38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금동 미륵보살 반가 사유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2 5083
384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서봉총 금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022
383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남태평양 앞바다에 추락한 텐궁 1호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1944
382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원효의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4 2819
38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과 분별 (내 탓)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9 2330
38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분황사모전석탑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4616
37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스티븐 호킹, 블랙홀 수수께끼의 잠금쇠를 열고 그 안에 잠들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540
378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쉬어가는 페이지 - 깨달음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21 2618
37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신라 왕궁 월성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632
3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가르치는 사람이 갖춰야 할 조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14 2297
375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인공지능과 미래의 직업들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694
374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157
3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야외 박물관 경주 남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8 2333
372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주 감은사지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520
37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자녀 또는 학생들에게 ‘이론을 정립하는 방법’을 가르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1 2092
370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0'의 역사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6097
369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총 정리 – 1단계 방법을 바탕으로 자녀 등 학생을 가르치는 방법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2334
368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천마도와 천마총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2 1948
36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원효와 의상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5 3975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