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 교육칼럼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교육칼럼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페이지 정보

작성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작성일17-01-05 11:49 조회1,692회 댓글0건

본문

 

사회 통념에 자신을 맞추기 보다, '스스로의 나 자신'을 찾는 것이 중요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이것은 고 신해철의 노래 ‘민물장어의 꿈’ 첫 소절입니다. 이 노래를 들으며 필자는 어쩌면 신해철이라는 가수는 꿈을 이루기 위해 몸부림치는 모습을 이 노래에 담아 자신을 포함한 수많은 사람들의 삶을 이야기하려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그러면서 한편으로 필자는 ‘사람들이 정말 자신이 이루려는 꿈이 무엇인지 알고는 있는 것일까?’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이번 칼럼에서는 인간으로 태어나 다른 동물과 다른 인간의 꿈을 이야기 해 볼까 합니다.

 

‘민물장어의 꿈’은 좁은 문을 통과하기 위해 스스로를 깎고 자른다는 가사로 시작합니다. 좋은 대학이라 불리는 곳에 입학하고자 자신이 좋아하는 취미도 접고 공부에 매진하는 모습, 취업경쟁에서 살아 남기위해 하고 싶은 것을 포기하고 직장을 잡는데 필요하다는 소위 스펙을 쌓는데 돈과 시간을 쓰는 사람들의 모습, 돈과 권력을 더 얻기 위해 자신의 의지와 생각을 접고 더 많은 돈과 권력을 가진 자들에게 넙죽 엎드리는 사람들의 모습, 하지만 문은 너무도 작아 통과하는 사람들은 몇 명 되지 않는 현실, 또 통과하더라도 결국 본연의 ‘나’는 깎이고 잘려 사라지고 더 이상 ‘나’가 남지 않은 나의 모습, 이것이 바로 이 가사가 함축하고 있는 내용이라고 필자는 해석합니다. 이렇게 자신을 깎고 잘라서 좁은 문을 통과한다고 해서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었다고 할 수 있을까요? 과거와 현재를 아울러 다른 사람들보다 더 많은 돈과 권력을 가졌음에도 거기에 만족하지 못하고 영원한 젊음과 영원한 삶을 얻고자 하는 사람들의 모습은 아무리 스스로를 깎고 잘라서 문을 통과하더라도 좁은 문의 반대편 삶이 자신이 원하는 것을 충족시킬 가능성은 적다는 것을 반영한다고 할 수 있습니다. 왜 그런 것일까요?

돈과 권력이 있으면 위협이나 질병 등으로부터 안전하게 지낼 수 있고, 명예나 인기가 있어 많은 사람들이 나를 알아봐주면 곤경에 처했을 때 손을 내밀어 줄 가능성이 높듯 보편적으로 사람들이 원하는 것은 그 바탕에 생존이 있다고 필자는 이야기합니다. 젊음을 유지하고 오래 살고자 하는 인간의 욕망, 이것이 인간만의 것일까요? 이 세상의 모든 생명체가 생존을 위해 살아가고 있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이는 인간만의 꿈이 아닌 ‘민물장어’와 인간을 포함한 모든 생명체들의 본능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다면 인간은 동물과 차이가 없는 것일까요? 인간이 동물과 다른 점이 있다면 무엇이며 노래의 가사에서 이야기하듯 절실하게 ‘단 한번만이라도’ 인간이 인간으로 태어나서 이루었으면 하는 것은 또 무엇일까요?

 

그동안 칼럼에서 인간이 다른 동물과 다른 점은 논리적/객관적 사고력이라고 필자는 수시로 언급해왔습니다. 객관적/논리적 사고는 주어진 조건을 ‘나의 생존’이라는 관점이 아닌, 대상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서술/분석하고 논리적 연결고리가 만들어져 있지 않으면 질문을 통해 그 연결고리를 찾아가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얻는 방법을 찾는 것은 도구를 사용하는 동물들에서도 볼 수 있는 생존을 바탕으로 하는 두뇌의 사용법으로 인간만의 고유한 두뇌 사용능력이라고 볼 수는 없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비가 내리면 ‘비는 왜 내리지?’, 사과가 떨어지면 ‘나무에 매달린 사과를 땅으로 끌어내리는 힘은 무엇일까?’와 같이 논리적 연결고리를 찾아 연결하려는 두뇌의 기능은 다른 동물에서는 볼 수 없는 인간만의 고유 영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생존문제를 떠난 ‘진정한 나는 누구인가?’와 같은 본연의 궁금함에서 비롯한 질문의 답을 객관적/논리적 사고를 통해 스스로 찾을 수 있는 힘을 기르고자 하는 것이 바로 동물과 다른 인간만의 간절한 욕망이라고 필자는 이야기합니다. 독자 여러분께서는 ‘좁은 문’으로 들어가도록 자녀들을 깎고 자르며 그것도 모자라 자녀들 스스로 자신을 깎고 자르도록 가르치시겠습니까 아니면 자녀들이 인간으로서 자신의 꿈을 이룰 수 있도록 이끄시겠습니까? 후자를 선택하신다면 지금까지 그리고 앞으로 게재될 필자의 칼럼에서 시작하는 방법을 찾으실 수 있을 것입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육칼럼 목록

게시물 검색
Total 967건 10 페이지
교육칼럼 목록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
42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6) - 토론하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3 1813
42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4대 사화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1 1808
425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주제의 핵심요소 찾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07 1804
424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피라미드식 사회구조의 꼭대기에 오르는 방법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07 1803
42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홀로 선다는 것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3 1798
42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가지 다른 형태의 사고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5 1798
421 생활 속의 자녀교육 (16)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2 1796
420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할 수 있는 것이 없어 방황하는 경우(무기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2 1795
419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를 향한 기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08 1794
418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을 지닌 지도자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8 1792
417 [민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나무를 나무라고 부르는 이유 그리고 자녀교육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91
416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조선 전기의 문학과 예술-4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90
415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칭찬받아 춤추는 고래는 행복할까? (칭찬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6 1786
414 생활 속의 자녀교육 (18) - 아이들에게 친구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5 1784
41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가진 지식의 양이 많아야 주체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건가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1 1783
412 C3소사이어티 <제9회 리더십 컨퍼런스> 접수 시작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4 1781
411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세계 오존층 보호의 날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17 1781
41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안 돼! 하지 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26 1781
409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뉴호라이즌이 보내온 반가운 소식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80
40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28) - 다른 사람에 대한 비난과 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5 1779
407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단순히 지식으로 익히는 공부방법이 야기하는 부모와 자녀의 갈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9-24 1779
40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보이지 않는 두뇌능력으로 이루어진 피라미드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04 1777
405 공부에 필요한 요소 - 용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25 1775
404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수학 공부, 왜 그리고 어떻게? (1)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8 1770
403 [김바울의 교육칼럼] SAT 고득점을 위한 읽기와 쓰기 학습법.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0 1767
402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감정의 집단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7 1766
401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내가 지식으로서 알고 있다는 생각이 공부에 미치는 영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6 1764
400 [김바울 교육컨설팅] 특례교육컨설팅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16 1763
39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경복궁-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3-09 1762
398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예습과 복습을 통해 배우는 방법을 익히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1 1762
39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수업] 24. 신라의 건국 이야기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13 1761
396 엘리트 어학원 미국대학 입시 전략 설명회 및 장학생 시상식 안슬기 수습기자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4 1758
39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부처님의 향기로 가득한 정암사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22 1757
394 [과학 이야기] 2016년 노벨 화학상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9 1755
393 자녀들이 감정을 조절할 수 있도록 이끄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1 1753
392 생활 속의 자녀교육 (25) – 꿈과 희망의 이면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03 1751
391 생활 속의 자녀교육 (19) - 사춘기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12 1747
390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어우동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4-06 1746
389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도박에 빠지는 이유와 공부 방법이 어떤 연관이 있나요?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743
388 진정한 삶의 자유와 즐거움<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28 1741
387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1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16 1734
386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두 종류의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15 1733
385 생활 속의 자녀교육 – 화, 분노 등 감정을 조절하는 방법(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07 1730
384 [김바울의 교육칼럼] 특례전형 파헤치기 3 우선순위 파악하기 김바울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4 1729
383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인간의 두뇌는 동물의 두뇌와 어떻게 다른가?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5-25 1728
382 공부가 쉬운 주제가 가진 이면 - 욕심, 그리고 욕심을 넘어서는 방법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4 1728
381 [민동필 박사와의 일문일답] – 목표 지향적 두뇌능력이 학교공부에 미치는 영향 2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22 1717
380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5) - 대인관계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06 1716
37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임나일본부설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6-16 1715
378 사용하는 단어의 선택과 논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1-09 1713
377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4) - 우리 아이, 뛰어난 협상가가 될…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30 1711
376 [공부 방법을 익히는 공부 방법] 관찰 후 서술의 필요성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0 1711
375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 서울의 백제 고분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23 1703
374 [비센의 재미있는 과학 이야기] 중력파 석준영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2-18 1700
373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2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7-24 1699
372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8) - 경쟁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27 1698
371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한국의 서원’ – 5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8-14 1698
열람중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좁고 좁은 저 문으로 들어가는 길은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01-05 1693
369 [알기 쉽게 풀어쓰는 한국사] 7 · 4 남북 공동 성명 심창섭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0-12 1691
368 [민 박사의 학부모를 위한 자녀교육 길라잡이] 생활 속의 자녀교육 – 자녀들이 지도자의 자질을 키울 수 있… 민동필 쪽지보내기 메일보내기 홈페이지 자기소개 아이디로 검색 전체게시물 12-27 1690
회사소개 신문광고 & 온라인 광고: 604.544.5155 미디어킷 안내 개인정보처리방침 서비스이용약관 상단으로
주소 (Address) #338-4501 North Rd.Burnaby B.C V3N 4R7
Tel: 604 544 5155, E-mail: info@joongang.ca
Copyright © 밴쿠버 중앙일보 All rights reserved.
Developed by Vanple Netwroks Inc.
모바일 버전으로 보기